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은 불황 없는 명품공화국

... 조회수 : 1,013
작성일 : 2024-10-09 11:12:03

 

세계 최고 수준의 명품 소비력은 한국인들의 명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깊이 깔려 있다는 게 통설이다. 컨설팅 업체 맥킨지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22%만이 명품 사용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일본(45%), 중국(38%)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명품은 한 번 사면 오랫동안 쓸 수 있다'는 높은 브랜드 가치와 함께 명품 소비 자체를 일종의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더해져 불경기 속에서도 명품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블런 효과에 에·루·샤 'n차 인상'

비쌀수록 더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는 올해도 한국 명품시장에서 통하고 있다. 주요 명품 브랜드들은 연초나 연말 등 정례화된 인상 방식 대신 제품군별 가격을 수시로 올리는 'n차 인상'을 고집하고 있다. 샤넬은 올해 1월, 2월, 3월, 8월 등 총 네 차례에 걸쳐 주얼리와 시계, 향수 등 뷰티제품과 인기 가방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루이뷔통도 지난 2월에 이어 5개월 만인 지난 7월 캐리올 PM 모노그램과 네오노에BB 모노그램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4~6%가량 올렸다. 에르메스 역시 올해 1월 로얄 로퍼와 오란 등 일부 신발 가격을 인상한 데 이어 지난 6월에는 가든파티 백 가격을 상향했다. 구찌도 같은 달 오피디아 미디엄 GG 토트백 등 일부 가방 제품 가격을 5~8% 인상했다. 명품 브랜드들이 내세우는 주요 가격 인상 이유는 원자잿값 인상과 환율이다. 하지만, 한국인들의 독특한 명품 사랑 현상을 가격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는 시선도 팽배하다.
 
특히 '에루샤(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 등 하이엔드급은 브랜드의 상징성에다 경기 영향을 사실상 받지 않는 부유층이라는 점도 가격 인상 요인과 무관치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역설적으로 다른 사람이 갖고 싶어 하지만 갖기 어려운 제품을 탐내는 경향 때문에 오히려 'n차 인상' 방식이 명품 수요를 더욱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을 더 올리면 올렸지 떨어뜨릴 일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v.daum.net/v/20240922171549168
IP : 175.223.xxx.10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2167 저체중인 사람이 10개월전보다 체중이 더 줄었는데 컨디션은 나쁘.. 9 익명 2024/10/13 1,493
    1632166 전세사기, 안 막나 못 막나…‘전세지옥’ 청년들의 절규 9 ... 2024/10/13 1,417
    1632165 박위 송지은 결혼식에서 남동생 축사라는데... 61 ..... 2024/10/13 47,356
    1632164 키로 베이커리 잘 아시는분 2 판교나 정자.. 2024/10/13 673
    1632163 7막7장에 밑줄 긁고 읽었던 사람 ㅋㅋㅋ 15 ㅇㅇ 2024/10/13 3,625
    1632162 데이트 가는 길 9 데이트 2024/10/13 956
    1632161 자전거 운동 3 103308.. 2024/10/13 703
    1632160 노량진에서 꽃게 사가요 1 워리워리 2024/10/13 1,279
    1632159 경솔해서 사람을 안만나게 되네요 8 아니 2024/10/13 2,905
    1632158 자디앙 복용 후 부작용 극복 2 걱정인형 2024/10/13 1,030
    1632157 잡채용 돼지고기 활용방법? 6 돼지고기 2024/10/13 716
    1632156 LG 올레드 티비 노란색이 탁하게 나와요 1 섬아씨 2024/10/13 1,003
    1632155 박나라와 캠핑 하는 거 보니 김숙 사는 게 부럽네요 9 50대 2024/10/13 5,758
    1632154 러닝 아닌 조깅도 좋아요 3 디리링 2024/10/13 1,629
    1632153 한 강 작가님 수상이 18 2024/10/13 2,901
    1632152 생강쳥만드는데요 왜 전분을 넣으면 안되나요? 14 모모 2024/10/13 2,271
    1632151 환절기에 몸 아픈거요 3 ㅡㅡ 2024/10/13 977
    1632150 이 정도 집안일도 너무 힘든데 다들 어떻게 병행하시는건지 17 ㅇㅇ 2024/10/13 4,599
    1632149 공염불 같은 소리이긴 하지만… 2 나라걱정 2024/10/13 687
    1632148 안 봐도 전국노래자랑 틀어놔야 일요일 같아요. 13 2024/10/13 1,616
    1632147 내 마음 속에 독기를 빼고 3 .. 2024/10/13 1,283
    1632146 다음에서 한강 검색하니까 16 ㅎㅎㅎ 2024/10/13 2,606
    1632145 글포인트가 -5 레벨7인데 4 글포인트 2024/10/13 499
    1632144 한강 소설과 함께한 주말. 6 독자 2024/10/13 1,151
    1632143 식구들이 1 책 읽기 2024/10/13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