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은 불황 없는 명품공화국

... 조회수 : 1,006
작성일 : 2024-10-09 11:12:03

 

세계 최고 수준의 명품 소비력은 한국인들의 명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깊이 깔려 있다는 게 통설이다. 컨설팅 업체 맥킨지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22%만이 명품 사용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일본(45%), 중국(38%)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명품은 한 번 사면 오랫동안 쓸 수 있다'는 높은 브랜드 가치와 함께 명품 소비 자체를 일종의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더해져 불경기 속에서도 명품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블런 효과에 에·루·샤 'n차 인상'

비쌀수록 더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는 올해도 한국 명품시장에서 통하고 있다. 주요 명품 브랜드들은 연초나 연말 등 정례화된 인상 방식 대신 제품군별 가격을 수시로 올리는 'n차 인상'을 고집하고 있다. 샤넬은 올해 1월, 2월, 3월, 8월 등 총 네 차례에 걸쳐 주얼리와 시계, 향수 등 뷰티제품과 인기 가방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루이뷔통도 지난 2월에 이어 5개월 만인 지난 7월 캐리올 PM 모노그램과 네오노에BB 모노그램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4~6%가량 올렸다. 에르메스 역시 올해 1월 로얄 로퍼와 오란 등 일부 신발 가격을 인상한 데 이어 지난 6월에는 가든파티 백 가격을 상향했다. 구찌도 같은 달 오피디아 미디엄 GG 토트백 등 일부 가방 제품 가격을 5~8% 인상했다. 명품 브랜드들이 내세우는 주요 가격 인상 이유는 원자잿값 인상과 환율이다. 하지만, 한국인들의 독특한 명품 사랑 현상을 가격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는 시선도 팽배하다.
 
특히 '에루샤(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 등 하이엔드급은 브랜드의 상징성에다 경기 영향을 사실상 받지 않는 부유층이라는 점도 가격 인상 요인과 무관치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역설적으로 다른 사람이 갖고 싶어 하지만 갖기 어려운 제품을 탐내는 경향 때문에 오히려 'n차 인상' 방식이 명품 수요를 더욱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을 더 올리면 올렸지 떨어뜨릴 일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v.daum.net/v/20240922171549168
IP : 175.223.xxx.10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0887 결국 '5만전자'로…"당분간 SK하이닉스와 격차 좁히기.. 4 .. 2024/10/10 2,546
    1630886 한가인이 부러워요. 11 .. 2024/10/10 4,509
    1630885 예비고3 겨울방학 학원 고민 2 제주도 푸른.. 2024/10/10 686
    1630884 평촌쪽 안과 추천 부탁드려요 9 ㅇㅇ 2024/10/10 419
    1630883 운전면허 필기시험 며칠이나 공부해야할까요? 11 ㅡㅡ 2024/10/10 968
    1630882 아. 팔뚝이 아파요 5 2024/10/10 821
    1630881 여성호르몬 뭐 드세요? 6 여성 2024/10/10 1,525
    1630880 살인자 만나는 꿈을 꿨어요. 너무 생생한데 해몽 알고 싶어요. 2024/10/10 397
    1630879 공항라운지 일행 중 라운지 입장 안될때 24 공항라운지 2024/10/10 5,149
    1630878 제가 보려고 정리해놓은 맞춤법 29 .. 2024/10/10 2,677
    1630877 허리통증 3 허리 아파요.. 2024/10/10 712
    1630876 설경구는 재혼이후 비호감만 급상승인줄 알았는데… 11 ㅁㅁㅁ 2024/10/10 5,559
    1630875 올영에 콜라겐팩 그거 사용해보신분 4 까페 2024/10/10 1,202
    1630874 안방을 드레스룸으로 쓰는 거 어떨까요? 17 움직일시간 2024/10/10 2,301
    1630873 1인 가구의 최소한의 식비... 어느 정도면 살 수 있을까요? .. 14 식비 2024/10/10 2,577
    1630872 카톡 열면 저장공간 부족이라고 뜨는데요. 3 .. 2024/10/10 1,431
    1630871 명신이 얼굴이 오늘은 멀쩡하네요? 20 ???? 2024/10/10 4,109
    1630870 지금 이 순간 전 모든걸 가졌습니다 24 0011 2024/10/10 6,067
    1630869 영등포역이나 여의도 가족모임 식당 추천 좀 6 ㅇㅇ 2024/10/10 875
    1630868 일본, 독도 해양조사 지속 방해…중국은 이어도에 출몰 2 .. 2024/10/10 415
    1630867 고등아이가 꽃을 사서 방에다 시들게 하고 있네요 10 .. 2024/10/10 2,845
    1630866 챗gpt 그림그려주는거 되나요? 7 아이참 2024/10/10 1,020
    1630865 저 지금 로봇청소기랑 대화해요 4 난주인님 2024/10/10 1,149
    1630864 관리자님 82 댓글 공지 다시 수정하셨네요 30 ,,,, 2024/10/10 2,795
    1630863 요즘 삼성전자 사내 분위기는 어떤가요 2 ... 2024/10/10 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