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종대왕을 비롯 학자들께 감사드려요

한글날 조회수 : 1,059
작성일 : 2024-10-09 00:21:29

우수한 문자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려요
다른거 다 제껴놓더라도 한글은 정말 국뽕 자부심 가질만하지 않나요?

IP : 118.235.xxx.3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0.9 12:29 AM (61.79.xxx.23)

    저도 감사드립니다
    특히 타자칠때 오른손 왼손 자음 모음 번갈아 칠수 있고
    정말 과학적인 문자에요

  • 2. 맞아요~
    '24.10.9 12:46 AM (125.248.xxx.44)

    한글없었다면...
    끔찍하네요~

  • 3.
    '24.10.9 12:49 AM (122.203.xxx.243)

    우리나라가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것도
    한글 덕분인것 같아요

  • 4. 무수한 단어문장
    '24.10.9 2:45 AM (58.140.xxx.39) - 삭제된댓글

    자음19개 모음21개만으로
    무궁무진한 단어와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셔서
    세종대왕 및 집현전 학자들에게 감사합니다.

  • 5. Gma
    '24.10.9 3:50 AM (175.120.xxx.236)

    세종대왕님이 만드신거고 집현전 학자들은 아니예요
    오히려 대국 중국의 한자가 있는데 왜 한글을 만드냐며 상소 올리고 그랬어요
    세종대왕이 그래서 니네가 음운학을 아냐며 얘기하기도 했구요
    다 실록에 나오는 얘기예요!

  • 6. ...
    '24.10.9 5:02 AM (58.140.xxx.39)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널리 퍼뜨리는 데에는 집현전 대제학 정인지(鄭麟趾, 1396-1478)와 박팽년(朴彭年, 1417-1456), 신숙주(申叔舟, 1417-1475), 성삼문(成三問, 1418-1456) 등 집현전 학사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이들은 세종대왕을 도와 문자 훈민정음의 해설서《훈민정음》 해례본을 1446년에 완성하였다.

    또한, 이들은 훈민정음(한글)을 이용해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다양한 책들을 편찬하며, 세종대왕이 새로 만든 문자인 한글을 사람들이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국립한글박물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글을 세종대왕이 창제한 것은 맞으나
    집현전 학사 모두가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것은 아니에요.
    정인지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등은 훈민정음 창제 후 한글이 정착발전할 수 있도록 도왔어요.
    집현전 학사들의 노고가 없었다면 한글이 이렇게 사람들에게 널리 쓰일 수 없었을 겁니다.

  • 7. ...
    '24.10.9 5:09 AM (58.140.xxx.39)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널리 퍼뜨리는 데에는 집현전 대제학 정인지(鄭麟趾, 1396-1478)와 박팽년(朴彭年, 1417-1456), 신숙주(申叔舟, 1417-1475), 성삼문(成三問, 1418-1456) 등 집현전 학사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이들은 세종대왕을 도와 문자 훈민정음의 해설서《훈민정음》 해례본을 1446년에 완성하였다.

    또한, 이들은 훈민정음(한글)을 이용해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다양한 책들을 편찬하며, 세종대왕이 새로 만든 문자인 한글을 사람들이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국립한글박물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훈민정음(한글)을 세종대왕이 창제한 것은 맞으나
    집현전 학사 모두가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것은 아니에요.
    정인지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등은 훈민정음 창제 후 한글이 정착발전할 수 있도록 도왔어요.
    집현전 학사들의 노고가 없었다면 한글이 이렇게 사람들에게 널리 쓰일 수 없었을 겁니다.

  • 8. 정말
    '24.10.9 7:19 AM (223.39.xxx.135)

    감사하죠. 스마트폰 문자 시대가 되어보니
    더 더 우수성을 알게되네요.

  • 9. 세종대왕님 감사
    '24.10.9 8:49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천재였잖아요.
    세종대왕 혼자서 한글 창체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집현전 유명학자들이 다 반대했어요. 그냥 한문 쓰면 된다고.
    세종대왕은 앉아서 책보고 연구하고 ..비만 심각했대요.

  • 10. 세종대왕님 감사
    '24.10.9 8:55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혼자 창체하셨어요

    세종대왕의 어명으로

    그후 집현전에서 훈민정음 해석본(해례본) 만든거죠.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게 해석한거요

  • 11. 세종대왕님 감사
    '24.10.9 8:56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혼자 창제하셨어요

    세종대왕의 어명으로

    그후 집현전에서 훈민정음 해석본(해례본) 만든거죠.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게 해석한거요

  • 12. 세종대왕님 감사
    '24.10.9 8:57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천재였잖아요.
    세종대왕 혼자서 훈민정음 한글 창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집현전 유명학자들이 다 반대했어요. 그냥 한문 쓰면 된다고.
    세종대왕은 앉아서 책보고 연구하고 ..비만 심각했대요.

  • 13. 세종대왕님 감사
    '24.10.9 8:58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세종대왕이 혼자 창제하셨어요

    세종대왕의 어명으로

    그후 집현전에서 훈민정음 해석본(해례본) 만든거죠.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게 해석한거요

  • 14. 세종대왕님이 창제
    '24.10.9 9:05 AM (220.122.xxx.137)

    세종대왕이 혼자 창제하셨어요

    세종대왕의 어명으로

    그후 집현전에서 훈민정음 해석본(해례본) 만든거죠.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게 해석한거요

  • 15. 세종대왕님이 창제
    '24.10.9 9:08 AM (220.122.xxx.137)

    세종대왕이 천재였잖아요.

    혼자 연구해서 훈민정음 한글 창제 하셨어요.

    앉아서 연구만 하느라 비만이 심각했대요.

    집현전 유명학자들이 반대했어요. 그냥 한문 쓰면 된다고.

  • 16. 정말
    '24.10.9 9:31 AM (121.166.xxx.230)

    한글없었다면 지금껏한자나
    영어로소통했을듯
    중국아이들 학교가면
    한자공부 빡쎄게시키고
    중국시 외우게하고
    우리도그랬을듯
    감사합니다
    세종대왕님

  • 17.
    '24.10.9 10:37 AM (175.120.xxx.236) - 삭제된댓글

    집현전 학자들은 나중에 도왔지만 반대했어요
    성상문 같은 학자가 한글창제 반대하던 상소 올렸던 사람이예요
    국립국어원 정말 이상한 자료도 많고 싫어하는 기관
    집현전 학자들이 도왔네 어쨌네 하는 게 일제에서 퍼트린 정보

  • 18. fhfh
    '24.10.9 10:46 AM (116.40.xxx.17)

    립국어원 정말 이상한 자료도 많고 싫어하는 기관
    집현전 학자들이 도왔네 어쨌네 하는 게 일제에서 퍼트린 정보
    --------------------------------
    그렇군요!

  • 19. ㅎㅁ
    '24.10.9 11:33 AM (175.120.xxx.236)

    훈민정음은 1443년 12월(세종 25),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사들과 창제해 반포됐다는 것이 정론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글의 글자 기원에 대해 조선전기 학자 성현(1439~1504)은 그의 저서「용재총화」에서 “훈민정음은 범자(梵字, 산스크리스트어)에 의해 만들어 졌다”고 했고, 조선 후기 언어학자 황윤석(1729~1791)은 “우리 훈민정음의 연원은 대저 범자에서 근본하였으며, 범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했다.

    그렇다면 과연 집현전 학사들 중에 범자나 서장어 등에 능통한 사람이 있었던가? 당시 대표적인 학사들은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등인데, 최항은 세종16년(1434)에 알성시 장원 급제해 1443년 한글이 반포될 때에야 집현전 학사가 되었고, 신숙주는 1439년(세종21) 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부수찬이 되었다가 1442년 훈련주부가 돼 일본에 서장관으로 건너갔다.

    박팽년은 세종16년(1434)에 문과에 급제해 집현전 학사가 됐고 성삼문은 세종20년(1438)에 문과에 급제했기에 한글창제에 주도적으로 일 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성삼문, 신숙주가 한글 창제의 주역이라는 말은 없다고 여증동 경상대 국문과 교수는 말하고 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창제(1443) 4년 전부터 자주 병석에 누워있었고, 집현전 학사들 모르게 누군가에게 한글 창제를 시켰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집현전 부제학 실무담당인 최만리는 훈민정음이 반포되자 2개월 후에 ‘이제 여럿의 의논도 듣지 아니하고, 가볍게 옛 사람이 이미 이룬 운서(韻書)를 터무니없는 언문(諺文)으로 억지로 들어 맞추고…’ 등 6가지 이유를 들어 한글창제 반포에 대해 반대 상소문을 올렸다.

    집현전 학사들은 한글 창제에 대한 깊은 이해도 못하다가 한글 창제가 공식화 되자 신석조, 김문, 정창손 등 집현전의 기성학사들은 격렬히 반대한 것이다. 그리고 세종대왕 사망 후 집현전 학사들은 한글을 화장실에 앉아서 배우는 뜻의 ‘통시 글’이라 멸시했다. 과연 학사들이 만들었으면 스스로 한글을 비하하겠는가?

    출처 : 해남우리신문(http://www.hnwoori.com)
    ==========
    집현전 학자들은 세종대왕 죽어서도 한글을 멸심했어요
    최만리 같은 사람은 세종이 한글 창제도중에도 왜 만드냐 상소 올렸구요
    저도 세종때 일이 궁금해서 실록까지 읽어봤습니다.
    저런 얘긴 왜 안 퍼지는지 참.

  • 20. 그런데 맞춤법을
    '24.10.9 12:41 PM (118.218.xxx.85)

    왜 그리도 많이 바꾸었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1157 한강 작가님 작가명은 본명인가요? 9 한강 2024/10/11 3,510
1631156 한국계 美 작가 김주혜, 러시아 톨스토이 문학상 수상 14 .. 2024/10/11 3,018
1631155 금리 내린게 내수가 나빠서 인가요? 8 .. 2024/10/11 2,143
1631154 어르신들 잘 계시나 집안에 카메라 놓고 싶습니다 14 노랑병아리 2024/10/11 2,580
1631153 “민심은 대통령 영부인 악마화 걱정”···친윤계의 현실인식 15 쯧쯧 2024/10/11 2,529
1631152 한강작가 뉴욕타임스 기고에 조선일보 “딴죽걸기” 재조명 9 ㅇㅇ 2024/10/11 2,788
1631151 시동생이 일을 안하고 돈을 빌려달라고... 3 음... 2024/10/11 3,029
1631150 양평고속도로 토지보상금 420억 4 ........ 2024/10/11 2,993
1631149 울세라 하지말라는 글 보고 적어봐요. 스킨부스터도 안좋겠죠? 3 ,,, 2024/10/11 2,647
1631148 썅뗴클레어 섬유유연제와 같은향의 캡슐세제 1 ㅇㅇ 2024/10/11 480
1631147 한강작가님 책이 밀리에 없는 이유 47 ㅇㅇ 2024/10/11 15,499
1631146 저번 그 모듬해초 톡딜 떴던데… 2024/10/11 516
1631145 변비있으신분 드루와~(더러움주의) 1 2024/10/11 1,171
1631144 한강 책 추천 좀 부탁해요 7 잘될 2024/10/11 1,231
1631143 한강 작가님 오빠 분이 받침없는 동화 시리즈 쓰신분이 시네요.. 6 축복 2024/10/11 3,510
1631142 남자 고딩은 학교 책가방 어떤거 쓰나요? 5 가방 2024/10/11 600
1631141 성당글에 아주 긴 정성스런 댓글 썼었는데 ㅠ 10 아쉬움 2024/10/11 1,959
1631140 오십 중반입니다. 14 성겨 2024/10/11 5,079
1631139 헬스장 운동복 대여 15 .. 2024/10/11 1,634
1631138 멘부커상 축전 거부한 박근혜, 한강의 답변 9 .. 2024/10/11 3,607
1631137 업무용오피스텔인데 세입자가 주거용으로도 사용했는데.. 11 임대인 2024/10/11 1,208
1631136 국어 하위권, 수학 전교권 고1 도움 부탁드립니다. 13 국어 2024/10/11 1,247
1631135 김영하 작가 한강 축전...글 보세요 50 .... 2024/10/11 30,020
1631134 그분은 한강이 뭐썼는지도 모를거 같은데요 10 포로리 2024/10/11 1,714
1631133 유튜브에서 2 찾지못했어요.. 2024/10/11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