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차(TEA) 는 어디서부터 공부하죠?

··· 조회수 : 965
작성일 : 2024-10-04 10:38:39

어떤 책을 참고하고

어떤 제품부터 먹어볼까요?

어디서 공부하구요...

까마득합니다.

 

IP : 211.118.xxx.24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집에 굴러다니는
    '24.10.4 10:40 AM (121.190.xxx.146)

    집이나 사무실에 굴러다니는 티백들부터 정량의 물과 적절한 온도로 맛있게 우려내는 데 도전해보세요.

  • 2. ...
    '24.10.4 10:48 AM (211.218.xxx.194)

    문화센터나, 다도 하는데 찾아보실수도 있구요.
    그냥 교양차원에서 하실거면 도서관 가셔서 차 있는 쪽 한번 살펴보세요.

    거기서 내눈에 들어오는 책을 읽어보세요.

  • 3. ...
    '24.10.4 11:44 AM (118.221.xxx.25)

    일단 관심있는 차 골라서 마구잡이라로도 많이 마셔보고 그때 알아보시는게...
    차의 세계가 너무 방대해서 기본적으로 지역별로 구분해도 종류가 너무 많고, 녹차, 홍차, 백차, 황차 기타 등등 제조법, 발효정도, 가공방법, 생산량, 생산형태에 따라 너무나 많은 것들이 있어서 그걸 책으로 공부하고 마시는게 굳이 좋은 방법은 아닐 수도 있어요
    일단 이것저것 마셔보고 궁금하면 그때 찾아보시는 걸 권하고요

    우리나라에 나온 차 관련 책이 전문적인 걸 찾기 참 힘들어요
    인터넷 글 짜집기해서 내놓는 책이 거의 90%는 되는 걸로 보이고요(이런 수준으로 책을 낸다는게 한심스런 수준인 책이 태반입니다)
    초심자라면 진짜 알짜배기 책을 구분할 능력이 아직 안될거니까 마셔보고 대충 이것저것 검색해보면서 알아가는게 나을 거예요.

    공부보다 우선 마셔보는게...
    제일 좋은 공부는 매장에서 구경해보고 시음도 해보고 매장직원한테 물어보고 선택해서 사보고 자주 마셔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시라 권하고 싶네요

  • 4.
    '24.10.4 11:54 AM (14.44.xxx.94) - 삭제된댓글

    녹차 종류쪽이면 차강좌 개설된 사찰들 많아요
    저는 통도사 성보박물관 자봉할 때 무료로 배웠는데 제 스타일은
    아니어서 그냥 간단히 티백 잎차 말차 마시는 법 차 종류 정도만
    기억나네요
    선암사 가면 차 체험관 있어요
    쌍계사 근처 차박물관에 가도 온갖 차 종류 다기 차 정보에 대해서 가르쳐 줘요

  • 5.
    '24.10.4 12:23 PM (110.70.xxx.187)

    차공부 해봤는데
    후회해요
    차가 맛도 맛인데
    분위기 사람 상황에 많이 좌우되고
    가보시면 도인이나
    무당같은 분위기의 아줌마들 많아요
    선생님 될 거 아니면 비추

    그냥 맛있게 드십쇼

    저라면 와인이나
    위스키 공부하겠습니다
    음식과 페어링도 더 좋고요

  • 6. . .
    '24.10.4 12:40 PM (115.143.xxx.157)

    지유명차가서 수십만원 바가지 쓰고 그런것만 안하면 돼요.
    백화점 오설록이 제일 깨끗하고 좋았어요
    너무 큰 기대나 환상을 갖지않고 차는 그냥 차일뿐 이라는 마음으로 시작하는 게 좋아요.

  • 7.
    '24.10.4 1:15 PM (58.231.xxx.145)

    차가 가지는 특별함이 있죠
    가볍게 차 엿보기를 하고싶으시다면 문화센타같은데서
    육대다류부터 교육하기도 하고요
    ...지나고 알고보니 차가 중국에서 한국 ㅡ일본으로 퍼져나가면서 특히 일본은 불교의 선사상과 함께 차문화가 굉장히 발달해있어요.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르죠.
    저는 우리것을 알기전에 일본의 차문화를 먼저 접했다는게 기분이ㅈ별로였어요.
    우리나라 차문화는 궁중다례는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명원에서 교육,전수하고 있고요.
    궁중다례는 아무래도 예법이 엄격하겠죠.
    일반 사대부가의 차 예법은 규방다례라고 인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요.
    가장 전통있고 품격있는 우리의 차문화를 배우시려면 이 두곳부터 먼저 알아보세요.
    교육 수료후에는 차 지도자 자격증도 딸수있어요.
    참고로 차의 종주국은 중국이예요. 중국에서 맨처음 차를 마시기시작했으니 역사가 깊고요. 중국차류들도 검색해보시면 수입판매처에서 같이 다도수업하는곳들도 많아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7호 궁중다례의식
    출처 : 오늘 블로.. | 블로그
    - https://naver.me/GoDfcGbR

    명원문화재단
    - https://naver.me/xorPZ6ZE

    [교육] 여인들의 차문화 규방다례 1회차 (7/20)
    출처 : (사)푸른차.. | 블로그
    - https://naver.me/5rZmUzyU

  • 8.
    '24.10.4 1:16 PM (58.231.xxx.145) - 삭제된댓글

    앗 잘려서 올라갔네요
    방금 검색해 본 링크들 드립니다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7호 궁중다례의식
    출처 : 오늘 블로.. | 블로그
    - https://naver.me/GoDfcGbR

    명원문화재단
    - https://naver.me/xorPZ6ZE

    '규방다례'정기전승 시연
    출처 : 미종 | 블로그
    - https://naver.me/F6lH9VuC

  • 9.
    '24.10.4 1:17 PM (58.231.xxx.145) - 삭제된댓글

    '규방다례'정기전승 시연
    출처 : 미종 | 블로그
    - https://naver.me/F6lH9VuC

  • 10.
    '24.10.4 1:18 PM (58.231.xxx.145)

    '규방다례'정기전승 시연
    출처 : 미종 | 블로그
    - https://naver.me/F6lH9VuC

  • 11.
    '24.10.4 1:24 PM (58.231.xxx.145)

    참고로
    차도 배우면서 알아가면서 마시면 향과 맛이 다릅니다.
    우리나라 녹차도 오설록이나 보성녹차, 하동녹차는
    품종도 다르고 맛도 다르죠.
    혼자서 책 보는것보다는 교육기관에서
    기본 육대다류를 천천히 배우고 마시며 알아가기를
    추천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1404 북한 중국과 동급됨 1 독재 2024/12/08 613
1651403 이제 민주당이 삭감한 예산안대로 통과 시켜도 9 ㅇㅇ 2024/12/08 2,904
1651402 의원에게 문자 1 /// 2024/12/08 549
1651401 앵커출신 국회의원중에서요. 11 ,. 2024/12/08 3,141
1651400 계엄 현행범과 적극 동조자들 재산도 몰수해야죠 3 그냥 2024/12/08 483
1651399 국힘빨갱이 4 레드 2024/12/08 527
1651398 핫팩 50개짜리 사고 넘 많이 샀나 했은데.. 7 아이스아메 2024/12/08 3,041
1651397 지금도 영장없이 윤석렬 긴급체포 가능하다는데 왜 안 하는 거야 5 미치겠네 2024/12/08 2,061
1651396 2찍 빨갱이 국힘수준 제발 이성적으로 보셈 ㄴㄴ 2024/12/08 479
1651395 뉴욕타임스 “尹대통령 대국민담화, 당과 정치적 거래 후 은폐한 .. 12 아오 2024/12/08 3,364
1651394 국짐당 의원집집마다 앞에 가서 5 ㄴㅇㄹㄹ 2024/12/08 1,078
1651393 내가 하고픈 말이 이미 82에.. 다 있다 2024/12/08 871
1651392 주말인데 길거리에 차랑 사람들이 없어요 17 ... 2024/12/08 4,014
1651391 윤 상왕,대리청정 한덕수,한동훈 5 .. 2024/12/08 719
1651390 게엄이 내란이기 때문에 국무회의 참석자도 내란공모 4 하늘에 2024/12/08 1,059
1651389 질서있는 퇴진은 헌법에 적혀있는대로 하는 것! 1 ㅇㅇ 2024/12/08 557
1651388 한동훈은 아무자격도 없답니다. 24 2024/12/08 4,458
1651387 아시아 계엄령에 한국도 떠올려…"5100만 국민, 할부.. 8 oo 2024/12/08 1,050
1651386 아우터 좀 봐주세요. 2 질문 2024/12/08 750
1651385 대통이 자기 권력을 당근하네 20 미친 2024/12/08 2,519
1651384 동훈이 조중동 4 ..... 2024/12/08 1,219
1651383 2025년 을사년에 다시 돌아온다는 일본 1 이뻐 2024/12/08 1,637
1651382 한덕수 계엄전에 사직서라도 냈어요? 9 ... 2024/12/08 1,332
1651381 옥씨부인전 연기 별로인데요 12 과찬 2024/12/08 4,201
1651380 나경원박덕흠김현아수사하라 3 ㄱㄴㄷ 2024/12/08 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