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차(TEA) 는 어디서부터 공부하죠?

··· 조회수 : 963
작성일 : 2024-10-04 10:38:39

어떤 책을 참고하고

어떤 제품부터 먹어볼까요?

어디서 공부하구요...

까마득합니다.

 

IP : 211.118.xxx.24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집에 굴러다니는
    '24.10.4 10:40 AM (121.190.xxx.146)

    집이나 사무실에 굴러다니는 티백들부터 정량의 물과 적절한 온도로 맛있게 우려내는 데 도전해보세요.

  • 2. ...
    '24.10.4 10:48 AM (211.218.xxx.194)

    문화센터나, 다도 하는데 찾아보실수도 있구요.
    그냥 교양차원에서 하실거면 도서관 가셔서 차 있는 쪽 한번 살펴보세요.

    거기서 내눈에 들어오는 책을 읽어보세요.

  • 3. ...
    '24.10.4 11:44 AM (118.221.xxx.25)

    일단 관심있는 차 골라서 마구잡이라로도 많이 마셔보고 그때 알아보시는게...
    차의 세계가 너무 방대해서 기본적으로 지역별로 구분해도 종류가 너무 많고, 녹차, 홍차, 백차, 황차 기타 등등 제조법, 발효정도, 가공방법, 생산량, 생산형태에 따라 너무나 많은 것들이 있어서 그걸 책으로 공부하고 마시는게 굳이 좋은 방법은 아닐 수도 있어요
    일단 이것저것 마셔보고 궁금하면 그때 찾아보시는 걸 권하고요

    우리나라에 나온 차 관련 책이 전문적인 걸 찾기 참 힘들어요
    인터넷 글 짜집기해서 내놓는 책이 거의 90%는 되는 걸로 보이고요(이런 수준으로 책을 낸다는게 한심스런 수준인 책이 태반입니다)
    초심자라면 진짜 알짜배기 책을 구분할 능력이 아직 안될거니까 마셔보고 대충 이것저것 검색해보면서 알아가는게 나을 거예요.

    공부보다 우선 마셔보는게...
    제일 좋은 공부는 매장에서 구경해보고 시음도 해보고 매장직원한테 물어보고 선택해서 사보고 자주 마셔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시라 권하고 싶네요

  • 4.
    '24.10.4 11:54 AM (14.44.xxx.94) - 삭제된댓글

    녹차 종류쪽이면 차강좌 개설된 사찰들 많아요
    저는 통도사 성보박물관 자봉할 때 무료로 배웠는데 제 스타일은
    아니어서 그냥 간단히 티백 잎차 말차 마시는 법 차 종류 정도만
    기억나네요
    선암사 가면 차 체험관 있어요
    쌍계사 근처 차박물관에 가도 온갖 차 종류 다기 차 정보에 대해서 가르쳐 줘요

  • 5.
    '24.10.4 12:23 PM (110.70.xxx.187)

    차공부 해봤는데
    후회해요
    차가 맛도 맛인데
    분위기 사람 상황에 많이 좌우되고
    가보시면 도인이나
    무당같은 분위기의 아줌마들 많아요
    선생님 될 거 아니면 비추

    그냥 맛있게 드십쇼

    저라면 와인이나
    위스키 공부하겠습니다
    음식과 페어링도 더 좋고요

  • 6. . .
    '24.10.4 12:40 PM (115.143.xxx.157)

    지유명차가서 수십만원 바가지 쓰고 그런것만 안하면 돼요.
    백화점 오설록이 제일 깨끗하고 좋았어요
    너무 큰 기대나 환상을 갖지않고 차는 그냥 차일뿐 이라는 마음으로 시작하는 게 좋아요.

  • 7.
    '24.10.4 1:15 PM (58.231.xxx.145)

    차가 가지는 특별함이 있죠
    가볍게 차 엿보기를 하고싶으시다면 문화센타같은데서
    육대다류부터 교육하기도 하고요
    ...지나고 알고보니 차가 중국에서 한국 ㅡ일본으로 퍼져나가면서 특히 일본은 불교의 선사상과 함께 차문화가 굉장히 발달해있어요.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르죠.
    저는 우리것을 알기전에 일본의 차문화를 먼저 접했다는게 기분이ㅈ별로였어요.
    우리나라 차문화는 궁중다례는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명원에서 교육,전수하고 있고요.
    궁중다례는 아무래도 예법이 엄격하겠죠.
    일반 사대부가의 차 예법은 규방다례라고 인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요.
    가장 전통있고 품격있는 우리의 차문화를 배우시려면 이 두곳부터 먼저 알아보세요.
    교육 수료후에는 차 지도자 자격증도 딸수있어요.
    참고로 차의 종주국은 중국이예요. 중국에서 맨처음 차를 마시기시작했으니 역사가 깊고요. 중국차류들도 검색해보시면 수입판매처에서 같이 다도수업하는곳들도 많아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7호 궁중다례의식
    출처 : 오늘 블로.. | 블로그
    - https://naver.me/GoDfcGbR

    명원문화재단
    - https://naver.me/xorPZ6ZE

    [교육] 여인들의 차문화 규방다례 1회차 (7/20)
    출처 : (사)푸른차.. | 블로그
    - https://naver.me/5rZmUzyU

  • 8.
    '24.10.4 1:16 PM (58.231.xxx.145) - 삭제된댓글

    앗 잘려서 올라갔네요
    방금 검색해 본 링크들 드립니다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7호 궁중다례의식
    출처 : 오늘 블로.. | 블로그
    - https://naver.me/GoDfcGbR

    명원문화재단
    - https://naver.me/xorPZ6ZE

    '규방다례'정기전승 시연
    출처 : 미종 | 블로그
    - https://naver.me/F6lH9VuC

  • 9.
    '24.10.4 1:17 PM (58.231.xxx.145) - 삭제된댓글

    '규방다례'정기전승 시연
    출처 : 미종 | 블로그
    - https://naver.me/F6lH9VuC

  • 10.
    '24.10.4 1:18 PM (58.231.xxx.145)

    '규방다례'정기전승 시연
    출처 : 미종 | 블로그
    - https://naver.me/F6lH9VuC

  • 11.
    '24.10.4 1:24 PM (58.231.xxx.145)

    참고로
    차도 배우면서 알아가면서 마시면 향과 맛이 다릅니다.
    우리나라 녹차도 오설록이나 보성녹차, 하동녹차는
    품종도 다르고 맛도 다르죠.
    혼자서 책 보는것보다는 교육기관에서
    기본 육대다류를 천천히 배우고 마시며 알아가기를
    추천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1084 오늘 본 회의 중 국힘 의원들에게 돌았던 메세지 내용 7 .... 2024/12/07 2,877
1651083 한동훈 저거 ㅋㅋㅋ 14 토토즐 2024/12/07 4,542
1651082 이재명 “尹 반드시 탄핵, 크리스마스 선물 드리겠다” 27 될때까지탄핵.. 2024/12/07 3,111
1651081 윤석열 임기를 국짐에게 넘기지 3 2024/12/07 1,037
1651080 당이 아니라 무슨 조폭집단 같아요 3 어이없네 2024/12/07 778
1651079 우리나란 그냥 직접 민주주의 해야해요 7 Gma 2024/12/07 1,247
1651078 국민의 70%이상이 원하고 2 .. 2024/12/07 1,358
1651077 노영희 변호사 방송 듣는데 외려 국짐 내분 싸움 난다 하네요 10 0000 2024/12/07 6,598
1651076 나라가 꼴랑 그 100명때문에 2 100 2024/12/07 1,255
1651075 몇일 동안 윤돼지와 국짐이 벌인 쇼 3 ㅇㅇㅇ 2024/12/07 975
1651074 국힘은 분명 내부분열 합니다 7 ... 2024/12/07 2,428
1651073 매번오물풍선 온다고 4 ..., 2024/12/07 1,898
1651072 추경호 다시 등극 7 아니 2024/12/07 2,882
1651071 한동훈…조만간 질질 짜며 14 2024/12/07 4,305
1651070 추경호 재신임. 22 ... 2024/12/07 6,691
1651069 국짐 소장판가 뭔가 걔네들이 더 밥맛떨어지네요 ㅋㅋ 7 아이스아메 2024/12/07 1,124
1651068 명태균씨 이 참에 그냥 다 불어주시죠 4 ..... 2024/12/07 1,522
1651067 오늘 집회가서 느낀 점 18 탄핵 2024/12/07 6,325
1651066 집회 다녀 왔어요. 3 될때까지 2024/12/07 771
1651065 국힘 의원들 다시 생각하길.. 2 도봉구민 2024/12/07 854
1651064 대구 일요일 집회 3 아다지오12.. 2024/12/07 740
1651063 실망은 개나 줘버려.(집회참석후기) 5 ... 2024/12/07 1,963
1651062 집회 다녀오니 살것 같네요 20 고고 2024/12/07 3,089
1651061 안되면 전기라도 끊어라! 2 이런 2024/12/07 1,439
1651060 분위기가 어떤가요 우리가 남이가를 5 지금 경상도.. 2024/12/07 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