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는 일본 오염수 문제에 이렇게 빨리 적응할줄 몰랐어요

사람들 조회수 : 2,188
작성일 : 2024-10-03 13:50:32

소금 사재기한던 건 석기시대 일 같고

수산물 여전히 잘 팔리고  일본 오염수

신경 쓰는 사람 거의 없는듯 하네요

IP : 175.123.xxx.215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가급적
    '24.10.3 1:52 PM (211.234.xxx.83) - 삭제된댓글

    수산물 안 먹어요.
    회식은 빠질 수 없지맘
    의료상황도 이런데 가족들 병 나면 후회될까봐

    소금은 넉넉하게 사뒀고
    소금 거의 사용 안 해서 걱정은 없어요.

  • 2. 가급적
    '24.10.3 1:52 PM (211.234.xxx.83)

    수산물 안 먹어요.
    회식은 빠질 수 없지만
    의료상황도 이런데 가족들 병 나면 후회될까봐

    소금은 넉넉하게 사뒀고
    소금 거의 사용 안 해서 걱정은 없어요.

  • 3. 호순이가
    '24.10.3 1:58 PM (59.19.xxx.95)

    지역마다 계속 1인시위 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어요
    그때도 돈이 없어 소금 자재기 못했지만 주변에 한살림ㆍ우리농등에서 사먹고 있어요
    수산물 견제해야하는데 왤케 회종류가 당긴지
    모르겠어요ㅜㅜ

  • 4. 사놓았던
    '24.10.3 1:58 PM (124.5.xxx.146) - 삭제된댓글

    보금이 생각보단 넘 빨리 소비되서 걱정이고
    노르웨이 고등어 진공포장된거 잔뜩 사놓은거 아껴먹다 다시 사러갔는데 넘 비싸네요
    참치 꽁치 고등어 통조림도 방류전에 날자체크해서 사놨는데 불안불안
    미역 다시마 김 멸치도 나름 사놨는데 생각보다 먹는 속도가 장난아니라 놀랍고요
    이대로면 얼마안가 다 소진될듯요
    ㅜㅜ

  • 5. 소금
    '24.10.3 1:58 PM (125.188.xxx.2)

    평생 먹을 거 사놨어요.
    방사능 폐기물 바다에 버리기 전 소금으로요.
    마당에서 작물 키우고 있고
    최대한 피해서 살려고요.
    저는 체르노빌 피폭 생존자 다큐멘터리를 어릴 때 보고 엄청난 충격을 받았거든요.
    후쿠시마는 체르노빌처럼 시멘트로 밀봉 못 했는데 후쿠시마 방사능 폐기물은 지구의 생명을 위협하는 최악의 피해죠.

  • 6. 사놓았던
    '24.10.3 1:58 PM (124.5.xxx.146)

    소금이 생각보단 넘 빨리 소비되서 걱정이고
    노르웨이 고등어 진공포장된거 잔뜩 사놓은거 아껴먹다 다시 사러갔는데 넘 비싸네요
    참치 꽁치 고등어 통조림도 방류전에 날자체크해서 사놨는데 불안불안
    미역 다시마 김 멸치도 나름 사놨는데 생각보다 먹는 속도가 장난아니라 놀랍고요
    이대로면 얼마안가 다 소진될듯요
    ㅜㅜ

  • 7. ...
    '24.10.3 1:59 PM (124.50.xxx.169)

    그래서 지도자가 중요해요ㅡ 국민의 건강을 생각하는 마인드가 전혀 없으니 국민이 경각심도 없고 ㅠ

  • 8. 저는
    '24.10.3 1:59 PM (182.227.xxx.251)

    소금은 넉넉히 사놨고
    생선류 거의 안먹어요.
    건어물 쟁여 놓고 육수 끓여 먹던거 그냥 다시다나 코인육수로 바꿨어요. (이건 미리 사서 냉동 잔뜩 해놨어요, 버틸때까지 버티려고)

    원래 회 엄청 좋아 하고 생선 엄청 좋아 했었는데
    신기하게 딱 먹기 싫어 지더군요.

  • 9. 근데
    '24.10.3 2:06 PM (125.188.xxx.2)

    원전 사고 직후부터 지금까지
    방사능 피하는 사람만 피하며 살아요.
    저는 2011년 3월11일 이후에 82에서 일어난 일들 다 기억해요.
    방사능 관련 글도 못 쓰게 정치병 환자 대하듯이 했었죠.

  • 10. ㅇㅇ
    '24.10.3 2:07 PM (211.234.xxx.82)

    소금은 육지에서 나는 소금.. 먹어도 되지않나요? 암튼 저도 생선 잘 안먹으려고 하긴 하는데.. 어쩔 수가 없는 상황도 있어서... 경각심이 많이 느슨해진 건 사실이죠.

  • 11. 재산은
    '24.10.3 2:11 PM (211.234.xxx.153)

    못 물려줘도
    아이들 건강하게 살게 해 주고 싶어요.

    집에선 생선이나 해산물 음식 안 해요.

  • 12. 굳이 말안함
    '24.10.3 2:11 PM (125.132.xxx.178)

    굳이 말을 안할 뿐이에요
    생선 요즘 거의 안사요. 회도 참 좋아했는데 정말 어쩔 수 없을 때만 먹으러 갑니다.

    전 윗분 같은 분맘 피하고 사나봐요~ 주변에 회 먹자는 사람이 없네요.

  • 13. ㅇㅇ
    '24.10.3 2:13 PM (222.106.xxx.109) - 삭제된댓글

    다들 해산물 잘먹더군요.
    지도자가 중요하고
    언론의 영향도 크죠.
    일본여행도 다들 잘가고..

  • 14. 요즘
    '24.10.3 2:17 PM (124.5.xxx.146)

    기사화 뉴스화가 잘 안되어서 그렇지
    남녀노소 불문하고 암환자들 너무너무 많고요
    예전엔 암 몇기 어쩌고 기한이 6개월 1년 어쩌고 했었는데
    요즘암은 몸에 이상이 와서 검진해보면 암이라하고
    급성으로 3,4개월안에 금방 떠나시는 분들도 넘 많더라고요
    무슨 홍길동처럼 동에번쩍 서에번쩍 손쓸새도없이 빨리 악화되어 그렇게 되신다고요
    요즘세상이 그렇게 무서운데
    방송들 보면 한숨만 나오죠
    그저 소금 해산물 많이 먹어라 장려하고
    한쪽에선 또 원전수 8차 방류할거라는데
    다들 그러든가말던가 관심도 없고 외면하고 뉴스도 찾아보기 힘들고요

  • 15. ㅇㅇ
    '24.10.3 2:17 PM (211.192.xxx.227)

    글케 사는 사람은 글케 사는 거고요
    조심하는 사람들은 조심하며 살죠 굳이 말을 안할 뿐이죠
    재벌들이나... 돈 엄청 많은 사람들은
    재력으로 할 수 있는 한
    식재료 등 까다롭게 가릴 거라 봅니다

  • 16. 독일의
    '24.10.3 2:22 PM (125.188.xxx.2) - 삭제된댓글

    방사능 전문가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앞으로 한국의 암 발생율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죠.

    눈에 안이고 냄새도 안 난다고 해서 없는 게 아닌데 가장 무서운 건데 말이죠.

  • 17. 독일의
    '24.10.3 2:24 PM (125.188.xxx.2)

    방사능 전문가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앞으로 한국의 암 발생율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죠.

    눈에 안 보이고 냄새도 안 난다고
    없는 것처럼 사는 사람들이 너무 많네요.
    가장 무섭고 돌이킬 수 없는 게 방사능인데.......

  • 18. ..
    '24.10.3 2:30 PM (175.119.xxx.68)

    저는 일본 여행 가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에 제일 놀라워요
    여기서 아무렇지 않게 여행정보 묻는 사람들도 싫고요.

  • 19. 제가
    '24.10.3 2:43 PM (125.188.xxx.2)

    82에 상주하면서 느낀 게
    1.진짜로 나라 망한 후에 일본으로 안 돌아간 일본인들 후손이 많다는 거 느끼게 됐고요.
    그다음이
    2. 정치병 있는 분들이요.
    왜 한 쪽은 일본 편 들고 다른 한 쪽은 중국 편을 드는 걸까요?
    다 우리에게 폐끼치는 민폐국들인데요.
    암튼 일본 편 드는 정치병 있는 분들과 일본인 후손들이 일본 여행 글 자꾸 올리면서 분위기 조장하는 것 같아요.

  • 20.
    '24.10.3 2:50 PM (125.179.xxx.132)

    저는 일단 수산물은 밖에선 절대 안먹고
    집에서 해먹는것도 방사능 기준치 높게 측정하는
    한살림것 사다 먹어요

  • 21. ditto
    '24.10.3 3:12 PM (114.202.xxx.60) - 삭제된댓글

    그게 일반 사람들 인력으로 되는 일인가요 서서히 적응해서 살아가는 거죠 방사능에. 그렇게 희석된 빙사능은 지금 당장에 눈에 띄는 결과가 없어 그렇지 체내 축적되고 나의 유전자 변형이 생길 지 아닐 지 어떻게 장담하나요? 손 놓고 그냥 무방비로 당하고 있는 거죠 그 오염수는 방출하지 않는 게 맞다고 아직까지 생각하고 있어요 생먕체가 환경에 적응하며 생존에 유리힌 방향으로 적응해 나가길 바랄 뿐이죠

  • 22. 그게요
    '24.10.3 3:33 PM (125.188.xxx.2)

    방사능 폐기물 바다에 버리지말고
    소금처럼 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민폐국에서는 돈 많이 들어서 할 생각이 없고
    가장 돈 안 드는 미개하고 폐끼치는 방법을 선택했네요. 역시 민족성 어디 안 가죠.

  • 23. 먹고 죽어야죠
    '24.10.3 4:52 PM (121.165.xxx.20)

    저 천벌받을 것들때문에 제 명에 못 죽고 암걸려 죽을거예요.

  • 24. ...
    '24.10.3 5:00 PM (221.150.xxx.19)

    소금은 넉넉해서 아직 많고요 사뒀던 미역,김이 줄어드는게 섭섭합니다 방류하고 생선 딱 세번 먹었어요 그래도 외식하니 알게모르게 많이 먹겠죠 소금도 조미료로 화나고 슬퍼요 바다음식 좋아하는데

  • 25. ㅠㅠ
    '24.10.3 9:43 PM (182.210.xxx.178)

    적응이 아니라 포기한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0213 샤넬은 어쩜 스킨토너 향기도 이렇게 좋을수가 있는건가요? 9 ,,,, 2024/10/08 3,021
1630212 내일 아침 7시 골프라운딩인데 간식 뭐 가져갈까요?? 5 .... 2024/10/08 2,041
1630211 셀프등기시 매도인이나 부동산에게 받아야할 서류가 있을까요? 1 셀프 2024/10/08 713
1630210 팔꿈치가 아주 까만데 조금이라도 밝게는 어려울까요? 10 궁금 2024/10/08 2,045
1630209 클래식 음악 찾고 있어요 7 ㅇㅇ 2024/10/08 1,112
1630208 쿠션을 원래 쓰는거보다 밝게 샀는데요.. 구제할 방법 5 ........ 2024/10/08 2,144
1630207 고1 과외 처음이에요. 과외 선생님 구할때 유의사항 있을까요? 7 조이조이맘 2024/10/08 1,205
1630206 텀블러 제조사 중국,태국. 다 이런가요 3 2024/10/08 1,094
1630205 위스키만 먹을 수 있고 소주 맥주 막걸리 와인 다 못 먹어요 알콜 2024/10/08 568
1630204 종교는 없지만 명동성당이나 조계사 6 ,,, 2024/10/08 1,150
1630203 김고은, 800만원 샤넬 후디 입고 밭일을… 55 참나 2024/10/08 35,687
1630202 김건희는 왜 그럴까요? 42 ㅇㅇ 2024/10/08 4,151
1630201 윤통부부의 이 장면은 무슨 상황인지 서술하시오/펌 8 아이고야 2024/10/08 2,183
1630200 다혜씨가 왜 그런걸까요? 41 2024/10/08 6,659
1630199 교회다니시는분들께 질문 7 기도 2024/10/08 1,144
1630198 친구간에도 어장관리가 있네요.. 7 ㅣㅣ 2024/10/08 3,051
1630197 스킨보톡스 효과 3 .. 2024/10/08 2,394
1630196 다시 태어나면 살아보고싶은 남자 연예인 6 . . . .. 2024/10/08 1,888
1630195 KTX 로 갈수있는 휴양림이 있을까요? 9 자연 2024/10/08 1,649
1630194 부모님 상해보험 확인 보험 2024/10/08 452
1630193 해군, 동해 바다에서 세슘-134 WHO 기준치 초과 측정..... 6 ... 2024/10/08 1,471
1630192 중국주식 폭등 미쳤음 5 ㄷㄷ 2024/10/08 3,833
1630191 헤라 톤업 선크림 무향인가요? 3 궁금 2024/10/08 1,326
1630190 김건희 vs 이재명 35 비교 2024/10/08 1,588
1630189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는 수업내용이 어려울까요? 3 타 학과 2024/10/08 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