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장례 방식에 대해...

하늘에 조회수 : 2,070
작성일 : 2024-10-02 21:57:58

얼마전에 보니 장례 방식에 대해 잘못 알고 계신 분이 많더라고요. 

 

일반적으로 부고를 하고, 일가친척, 지인들의 조문을 받는 장례가 가족장이예요. 

 

많은 분들이 가족장을 조문 받지 않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는데... 그건 무빈소장례에 해당하는게 아닐까 싶고요. 

 

오늘 무빈소장례에 대한 전문가 글이 다른 커뮤니티에 올라와서  소개해요. 

 

https://www.ddanzi.com/index.php?mid=free&page=4&document_srl=821251235

IP : 183.97.xxx.10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0.2 10:07 PM (118.235.xxx.175)

    가족장 범위가 넓습니다. 빈소 유무, 빈소차리는 장소, 조문객의 범위 다 제각각 가능하고 그건 상주와 유족이 정하죠. 그러니, 가족장은 어떤것이라 자기 멋대로 예단하고 갔다가 이러쿵저렁쿵 하는거죠. 원글님처럼..

  • 2. ....
    '24.10.2 10:11 PM (106.101.xxx.238) - 삭제된댓글

    원글님 얘기가 맞는건데요 윗님?
    넓은 범위에서 가족장이 일반인의 일반적 장례를 말하는거 맞아요.
    국가장 같은거에 대응하는 의미이죠.
    댓글을 달아도 왜 저렇게 밉살맞게 다나요?
    모르는건 본인이구만.

  • 3. .....
    '24.10.2 10:23 PM (118.235.xxx.175)

    일반적으로 부고를 하고, 일가친척, 지인들의 조문을 받는 장례가 가족장이예요.
    이게 아니고,
    장례주관을 가족이 하는 게 가족장입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매우 폭이 넓구요.

  • 4. 하늘에
    '24.10.2 10:28 PM (183.97.xxx.102)

    제가 이 글을 쓴건 최근에 무빈소장례를 가족장으로 생각하고, 가족장으로 치룬다는 부고를 보고 조문 하냐 안하냐 하는 글을 봤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그 글에 달린 댓들들도 대부분 가족장은 조문을 받지 않는다는 말 같으니 조문가지 말라고...

    가족장의 사전적인 의미를 얘기한게 아니고, 일반적으로 쓰이는 의미는 얘기한거니까 윗님 오해를 푸셖으면 좋겠네요.

  • 5. 정보
    '24.10.2 10:30 PM (61.39.xxx.216)

    감사합니다

    저 무빈소장례를 정리해준 분 자체도
    안좋게 보는것처럼 대다수의 사람들이
    색안경을 끼고 보는것같군요
    ---------------------------
    무빈소 장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이유는 현재의 경제 상황과 맞물려져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그래서 다소 씁쓸하기도 합니다
    ----------------------

    이렇게 쓰셨는데 제가 남편과 서로
    무빈소장례 하기로했는데
    장례 치를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와서 고인을 기리고 추모하는 사람들보다는
    가야한다는 의무로 부담스러워하고
    얼마해야하나 고민하는 상황이 싫어서요

    그리고 자식도 없고
    부모님들이 돌아가시거나 병중이고
    형제들도 없거나 외국에살아서
    더 그렇게 하려고합니다

  • 6. 하늘에
    '24.10.2 10:32 PM (183.97.xxx.102)

    제가 인용한 타 커뮤니티 글을 쓰신분은 관련 일을 하시는 분이기도 하고..
    최근에 경제적 문제가 아니더라도 무빈소장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것에 대해 잘 모르시는 것 같더라고요 .

  • 7. .....
    '24.10.2 10:37 PM (118.235.xxx.245)

    제가 무슨 오해를 했나요?
    오해를 바로잡았죠.

  • 8. 경험
    '24.10.3 6:33 AM (220.89.xxx.38)

    저희 아빠도 가족장 했는데 코로나 극심할때라 빈소는 만들지 않고 장례식장 영안실에 아빠는 모시고 집에 아버지 빈소차리고 우리 자식들만 삼일 지키고 화장장에 사촌들이 와서 가족 납골당에 안치했어요.
    부의금은 나중에 알고 계좌로 보내시고 집으로 오셔서 주신분들
    상 다 치루고 수건셋트 보내 드렸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9614 올해도 3개월 밖에 안 남았네요. 기온 떨어지니 .. 5 ㅏㅏ 2024/10/06 2,279
1629613 오래된 굴비 냉동실에서 나왔는데 4 2024/10/06 1,625
1629612 고양이키우는데 로보락 쓰시기 괜찮나요? 3 집사 2024/10/06 1,389
1629611 카레 더 맵게 하려면 강황을 사야하나요? 26 ㅇㅇㅇ 2024/10/06 2,214
1629610 소소한 충격.. 서양 냅킨 링의 원래 용도(?) 10 충격 2024/10/06 5,899
1629609 시험기간이라 우울한데 현웃터지는 유튜브 추천해요~ 3 ㅋㅋㅋ 2024/10/06 1,238
1629608 중대 이대 경희, 시립 공대글 보고 4 밑에 2024/10/06 2,551
1629607 오랜만에 떡 맛있네요 1 ... 2024/10/06 1,788
1629606 교육부, 의대 조건부 휴학 승인 가능하게 15 ... 2024/10/06 1,778
1629605 신발은 아끼면 떵 되네요 15 모모 2024/10/06 10,159
1629604 사람마다 위기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법이 참 다르네요. 8 ㅇㅇ 2024/10/06 2,061
1629603 고깃집 오픈 준비 중인데 도움 좀 부탁드려요~ 47 준비 2024/10/06 3,974
1629602 유재하 그 주옥같은 노래들이 본인의 연애담이라네요 16 어머 2024/10/06 3,542
1629601 갑자기 밖순이가 됐네요 10 .... 2024/10/06 3,573
1629600 머리 좋은 사람들, 부러워요. 3 스마트 2024/10/06 2,773
1629599 골프 처음에는 아주 못치다 극복하신분 12 힘듬 2024/10/06 2,027
1629598 마포 공덕 잘 아시는 분 16 ㅇㅇ 2024/10/06 2,712
1629597 배고픔은 어떻게 참아야 하나요? 13 2024/10/06 3,269
1629596 고딩 첫째.. 내려놔야 하는데.. 2 .. 2024/10/06 2,170
1629595 마트에서 엄마카트에 실린 여자아이가 27 내수준 2024/10/06 7,776
1629594 지연 황재균은 의외로 참 잘산다고 생각했는데... 4 ..... 2024/10/06 6,207
1629593 서울10.16일(수) 휴일이에요? 5 잉? 2024/10/06 4,659
1629592 미대입시는...연필 깎는거부터 13 2024/10/06 2,840
1629591 서울 변두리지역 14 서울 2024/10/06 2,700
1629590 오리 영상인데 넘 귀여워요 2 귀욤 2024/10/06 1,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