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이 가사일을 전혀 안하는데요.

......... 조회수 : 1,695
작성일 : 2024-09-28 10:39:39

맞벌이고

남편은 장거리 출퇴근, 전화업무 많은 사무직입니다.

피곤하겠죠.

저는 회사가 가깝고 9시~4시 이렇게 일하는데 하루종일 서있고 몸쓰는 노동일이라 일끝나면 기진맥진이에요. 

 

남편은 진짜 가사일 전혀 안하고요.

자기 혼자  쓰는 컴퓨터방 시계 배터리를 바꾸는것도 안해요. 쓰레기 버리는 것도 버려라 버려라 잔소리 해야 1주일에 한번 버릴까말까고요.

 

저는 퇴근하면 제가 녹초가 될걸 알고 있어서 새벽에 일어나 미리 집안일을 해요.

빨래 돌려놓고 강아지 산책, 저녁에 먹을 요리 미리 해놓고 애 깨워서 밥먹이고 주방 싹 청소하고 부랴부랴 출근해요.

 

집에 퇴근하면 힘들어서 30분 정도 바로 자고요.

저녁 차리고 치우고 청소하고 

잡일도 많잖아요.

가끔씩 해야하는 수납정리, 이불빨래, 걸레질, 철 바뀌면 옷바꾸고  등등 

 

하루종일 종종 거리며 일해야되서 늘 속으로 짜증이 나있어요. 그러고 저도 제 시간을 가져야하니 저녁밥 치우고 2시간 정도는 맥주마시면서 작은방에서 영화보거나 유튜브 보고 자요.

 

음식은 외식도 자주 하고 배달도 자주 시키지만 돈이 너무 아깝고 

진짜 세 식구 삼겹살 먹고 오면 7~8만원

족발도 최소 5만원돈

왠만하면 집에서 먹으려고 하고요.

 

집에 초딩 아들하나 있는데

남편은 집안일은 전혀 안하는데

아이 태어나면서 혼자 씻을수 있을때까지 매일 씻기고, 옆에서 아이 밥수발 (잘라주고 생선 발라주고 떠먹이고)  들고

아이 3학년 되서 자기방에서 자기 전까지 옆에 꼭 데리고 잘때까지 토닥토닥해서 재웠어요.

갓난애기 때도 제가 재운적은 없고 남편이 늘 잘때까지 아기띠해서 돌아다니면서 재우고요.

 

가끔 친구 만나러 가는 것 외에는 주말은 모두 아이와 자전거, 배드민턴, 계곡 가기, 등산 .

아니면 시댁이 시골인데 거기 데려가서 놀아주고

여름에는 물놀이, 겨울에는 썰매

(저는 주말에 아점 차려주고 누워있어요)

 

평일 저녁은 남편이 매일 아이 수학문제집 풀게하고 채점하고 어린이집, 유치원,학원도 항상 남편이 알아보고 해서 다니고요.

 

암튼 아이관련은 남편이 나서서 잘하고 있는데요.

이 정도면 가사일 열받지 말고 그냥 제 일이라고 받아들이고 할까요???

 

순간 팍 열받아 있다가도 남편이 애하고 자상하게 놀아주는거보면 또 식기도 하고

제가 아버지 없이 자라서 그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 정신적으로 치유되는 느낌도 있어요.

 

반면 매일 집안일에 아둥바둥 하면서도

집은 늘 어수선해서 제가 열받아 있는 것도 사실이고요. 애도 남편도 음식은 어제 음식 안먹으려고 하고 옷도 꼭 다려달라고 하고 손이 많이 가요.

 

님들 같으면 어쩌시겠어요?

 

 

 

 

IP : 58.29.xxx.1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9.28 10:43 AM (118.235.xxx.10) - 삭제된댓글

    주 1회 가사도우미 쓰시고 (분리수거, 화장실청소 부탁드리구요) 집 청소하지마세요. 반찬은 사드시고 음식물처리기랑 식세기 활용하세요. 이렇게만해도 집안일 80프로 줄어듭니다. 남편 볶아봤자 안하는 사람은 안하더라구요 서로 스트레스만 받고.. 주 1회 도우미는 비용도 크지 않아요

  • 2. ...
    '24.9.28 10:45 AM (221.161.xxx.62) - 삭제된댓글

    남편이 출퇴근멀고 애랑 잘 놀아주면
    그냥 집안일 도와 줄 도우미를 부르세요
    님은 더러는 사서 식사준비만 하시구요

  • 3. ...
    '24.9.28 10:46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그냥 남편은 아이 담당이라고 생각하면 되는거아닌가요.?? 아이 담당 저 부분만 제대로 해결해줘도 좀 편안한거잖아요.. 저라면 그냥 남편이 아이 담당이라고 생각할것 같아요
    아이랑 잘놀아주고 씻기고 먹이고 아예 가정에 소홀한 스타일도 아니잖아요...

  • 4. ...
    '24.9.28 10:51 AM (114.200.xxx.129)

    그냥 남편은 아이 담당이라고 생각하면 되는거아닌가요.?? 아이 담당 저 부분만 제대로 해결해줘도 좀 편안한거잖아요.. 저라면 그냥 남편이 아이 담당이라고 생각할것 같아요
    아이랑 잘놀아주고 씻기고 먹이고 아예 가정에 소홀한 스타일도 아니잖아요...
    휴일에 애 데리고 놀러도 데리고 다니고 자식한테는 엄청 좋은 아버지이네요
    원글님이 버거운건 돈으로 해결할것 같네요

  • 5. ㅇㅇ
    '24.9.28 10:52 AM (183.98.xxx.166)

    흠 지금까지는 복에 겨웠네요
    다만, 이제 앞으로 아이가 점점 커가고 손더 덜 갈테니 그 부분에 대해서는 얘기하시는게 좋겠지만요
    그리고 집안일 대충 하세요

  • 6. 직장관두세요
    '24.9.28 10:55 AM (118.235.xxx.132)

    몸쓰는 일이면 돈도 적을텐데 외식하고 짜증내고 할바에는

  • 7. 그게
    '24.9.28 10:56 AM (1.227.xxx.55)

    두 분 다 힘들 거 같은데 청소,세탁 등 도우미 좀 쓰세요.
    그리고 집안일 대충 설렁설렁 하세요.
    그래도 돼요.

  • 8. 욕하려다가
    '24.9.28 10:56 AM (112.133.xxx.132) - 삭제된댓글

    그 정도면 각각 육아/가사 각자 영역 나눠서 맡고 있다고 생각되네요.
    아이가 어려도 매일 2시간씩 개인시간도 갖고 있고 뭘 더 바라나 싶네요.
    식세기, 로청 등 기계 쓰세요.

  • 9. 말그대로
    '24.9.28 11:07 AM (124.54.xxx.37)

    가사일만 안하지 육아를 다 하고 있네요 그럼 진짜 님이 조금 가사에 대해 조금만 맘을 내려놓으세요 다만 주말 강아지산책은 남편보고 시켜주라하시죠..그리고 여러댓글들 말대로 주1회는 도우미 불러서 청소빨래시키세요 그럼 님은 주중 밥먹고 치우는것만 하면 되니까요 설거지도 식세기 없으면 그거 들여서 설거지시간이라도 좀 줄이시구요

  • 10. ㅡㅡㅡㅡ
    '24.9.28 11:09 AM (61.98.xxx.233) - 삭제된댓글

    육아는 아빠가.
    가사는 엄마가.
    분담이 확실하네요.

  • 11.
    '24.9.28 11:10 AM (125.176.xxx.117)

    그냥 담당이 다른것같아요. 아이관련케어도 얼마나 에너지가 많이드는건데요~~~

  • 12. 육아
    '24.9.28 11:15 AM (118.235.xxx.132) - 삭제된댓글

    남편 가사 아내
    돈은 남편이 더 벌고 시간은 아내가 많고
    4시 퇴근이면 육아 없음 엄청 여유로운거 아닌가요?
    외식도 가끔하면

  • 13. 육아는
    '24.9.28 11:16 AM (118.235.xxx.212)

    남편 가사 아내
    돈은 남편이 더 벌고 시간은 아내가 많고
    4시 퇴근이면 육아 없음 엄청 여유로운거 아닌가요?
    외식도 가끔하면

  • 14.
    '24.9.28 11:17 AM (119.71.xxx.160)

    육아는 아빠가.
    가사는 엄마가.
    분담이 되니 나름 괜찮네요

  • 15. 육아라도하니
    '24.9.28 11:19 AM (125.132.xxx.178)

    육아라도 하니 다행이다 .. 생각하시고 첫댓님 말씀대로 가사는 돈를 써서 남의 힘을 빌리세요.

  • 16. 진짜
    '24.9.28 11:24 AM (211.211.xxx.168)

    육아가 가사의 반인데요. 서로 잘하는 것 반반씩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반찬 사 드시고 가끔 김밥 사다가 라면 끓여서 계란, 숙주 넣고 먹고 기타 청소 대충하세요.
    그럼 가사가 반으로 줍니다.

  • 17. 티니
    '24.9.28 11:24 AM (106.101.xxx.165)

    그정도면 사실은 아이 어릴 때는 남편이 하는 일이
    더 많았겠는데요…
    이제 아이가 초고 되니 상황이 역전 되신 거 같구요
    앞으로 육아의 노동은 점점 더 줄어들테니
    재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 18. ..
    '24.9.28 11:26 AM (223.39.xxx.20)

    남편이 전적으로 육아를 전담하고 계시는거같네요.
    원글님도 저녁밥 치우고 2시간 정도는 맥주마시면서 작은방에서 영화보거나 유튜브 보고 잔다고 하셨으니 자기시간이 전혀없는게 아니니
    각자 잘 하는걸 하시고있다고보여요.

    자기 혼자  쓰는 컴퓨터방은 알아서 하시게 문닫고 노터치하시고
    청소 등 집안일은 주1,2회 정도 가사도우미 쓰시고
    로봇청소기등 기계활용 최대한 하세요.

  • 19. 진짜
    '24.9.28 11:28 AM (211.211.xxx.168)

    삼겹살이야 고기 사다가 집에서 먹으면 되고요. 반찬 만드는게 힘들잖아요.
    전 추어탕이너 설렁탕, 갈비탕 맛집중에 집에 싸가면 김치도 주고 양 더 많이 주는 집들 찍어놓고 가끔 사다가 먹어요. 2인분 사오면 두끼 해결 되요. 이런 식으로 이용해 보시는 건 어떠신지.

  • 20. 어라...
    '24.9.28 11:31 AM (118.235.xxx.231)

    육아도 가사에요.
    분담 잘 해서 나눠하고 있는 중인데 원글님이 육아를 쉽게 보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애 하나 케어하는거 절대 쉬운일 아니에요. 남자애 에너지 넘치는거 평일 주말 다 감당하려면... 어후.... 차라리 집안일 하는게 더 쉬워요.

  • 21. 원글님
    '24.9.28 11:31 AM (59.8.xxx.68) - 삭제된댓글

    원글님 수입하고 남편 수입하고 같나요
    남편은 집안일까지 같이 한다면 원글님하고 왜 사나요
    먼거리 일하고 아이돌보고 집안일하고
    사람이 살겠어요
    사럼을 봐주면서 삽시다

  • 22. 아이담당이
    '24.9.28 11:37 AM (211.187.xxx.234)

    집안일보다 더커보이는데요?
    분담이 아주 잘되어있는데
    너무 바라시는듯요.

  • 23. 아이케어
    '24.9.28 11:37 AM (108.181.xxx.147)

    남편이 전담으로 하면 좋은거 같은데요. 원글님 체력에 남편이 가사해줘도 아들이랑 못 놀아줄거 같아요.
    식세기랑 건조기, 로봇 청소기 하나씩 장만하세요. 그러면 훨씬 편해요.
    건조기 사면 옷 적게 사도 되니까 철마다 옷 바꾸는 노동이 줄고 빨래 안널어도 되니까 좋아요.
    로봇 청소기도 물걸레 자동으로 빨아주고 건조시키는거 사면 편하고 바닥 훨씬 깨끗하구요. 강아지털 스트레스도 덜해요. 로봇 청소기 돌아갈 시간에 원글님은 구석이나 청소하기 어려운곳만 간단히 해주면 되구요.
    식세기도 돌아갈 동안 원글님이 부엌 정리나 다른걸 할 수 있어요. 그럼 결국 노동시간과 품이 다 줄어요. 저도 맞벌이인데 아침에 건조기 식세기 청소기 다 돌려놓고 출근합니다. 정말 편해요

  • 24. ...
    '24.9.28 11:38 AM (58.29.xxx.1)

    다들 감사합니다
    복이라 알고 받아들이고 살게요.
    힘든부분은 도우미나 전자기기 도움도 받고요
    마음이 많이 편해졌습니다. 감사해요

  • 25. 이래서
    '24.9.28 11:38 AM (211.211.xxx.168)

    부부간 조율이 어렵고 다툼이 나나봐요.
    상대가 바쁘고 시간 없어도
    육아 전적으로 해도
    내가 하는 일이 커 보이고 나누고 싶어하니깐요.
    요즘 젊은 애들 반반 타령하다 헤어지는 경우 보면 가관도 아니더라고요.

    인간 본성이라 어쩔 수 없긴 한데
    같이 놀아주면서 수학풀게 하고 채점까지 해주는 아빠 없어요.
    어릴 때부터 아이와 애착형성뿐 아니라 관계설정이 엄청 잘 된것 같아요.

    아이에게 아빠가 최고다. 널 너무 사랑한다 말해 주시고 밀어 주세요.
    사춘기때도 엄청 도움될 겁니다.

    여기 82에 사춘기에 아이랑 대치하고 상처입는 글들 보시고 마음 다잡으심이.

  • 26. ㅇㅇ
    '24.9.28 11:43 AM (59.6.xxx.200)

    솔직히 남편이 하는 일이 더 힘든일입니다 ㅎㅎ
    분담 잘하고계신거에요!

  • 27. ㅇㅇ
    '24.9.28 11:45 AM (73.109.xxx.43)

    육아가 더 힘들죠
    밥만 겨우 해먹고 집은 대충 지저분하게 살아도 괜찮아요
    너무 완벽하려고 애쓰지 마세요

  • 28. .ㅇㄹㅇ
    '24.9.28 1:06 PM (125.132.xxx.250)

    어제도 어떤 분이 열받았다고 제목 써놓고는 이상한 글 쓰시더니,
    남편이 육아 하셨다고 앞에 쓰던가, 손하나 까딱 안하는 이상한 남편처럼 써놓더니, 아래에 보니 남편이 육아의 달인. 댓글엔 저 복받은거죠? 이러고 계시네요. 적당히들 좀.ㅋㅋㅋㅋ

  • 29. ㅎㅎ
    '24.9.28 1:55 PM (211.192.xxx.227)

    도우미 좀 쓰시면 될 것 같아요
    남편분이 육아 잘 하시니까
    더군다나 아들인데 아빠와 유대관계 깊으면 정말 좋죠

  • 30. ...
    '24.9.28 3:14 PM (180.70.xxx.60)

    가사는 힘들지만
    육아는 힘들고 기 빨려요
    아이 더 커도 사춘기도 감당 해 줄 아빠인데요
    공부도 봐주니 학원도 남편이 알아볼꺼고
    남편이 더 역할이 큰게 맞습니다!!!!

  • 31. ..
    '24.9.28 3:15 PM (223.39.xxx.182)

    정작 쉬는 날 없는건 남편분이시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9356 진짜 돈 안쓰다 돈쓰니, 죄책감이 느껴지네요. 2 진짜 2024/10/05 3,292
1629355 윤외출님 참 좋아요 1 용형4 2024/10/05 1,313
1629354 T100퍼센트 친구 힘드네요 22 ㅇㅇ 2024/10/05 3,791
1629353 PT 기본시간이 40분이면 너무 짧지요? 5 .. 2024/10/05 1,906
1629352 자랑은 넘치게 하고, 안좋은 일은 숨기고 4 ㅇㅇ 2024/10/05 3,079
1629351 2NE1 공연 보는데 눈물이 나네요 11 UGLY 2024/10/05 3,950
1629350 급질 두꺼비집 내려갔는데 4 ... 2024/10/05 1,075
1629349 쯔양 복귀한다네요 8 ㅇ.ㅇ 2024/10/05 4,680
1629348 스테로이드 부작용 4 @@ 2024/10/05 2,937
1629347 혀가 쓰라리게 아파요, 계속. 18 도움 2024/10/05 2,252
1629346 갤럭시23 내일 업데이트한다고 시스템알림왔어요ㅜㅜ 4 ........ 2024/10/05 1,905
1629345 참 좋은 세상인데... 전쟁 안 나면 좋겠어요 7 ... 2024/10/05 2,590
1629344 발가락 사이 간지럽고 수포.... 무좀일까요? 6 ... 2024/10/05 1,784
1629343 어제의 푸바오예요. ㅎ 8 .. 2024/10/05 2,176
1629342 등산가방에 디팩 넣으시나요? 2 디팩 2024/10/05 1,478
1629341 나혼산 김대호 먹던 라면 뭔지 혹시 아시는 분? 3 궁금 2024/10/05 4,332
1629340 남편한테 섭섭한 마음이 드는데 4 욕심 2024/10/05 3,026
1629339 당근 싫어하는 사람들 많잖아요 17 당근 2024/10/05 4,804
1629338 내일 불꽃놀이 3 여의도 2024/10/05 2,224
1629337 어제 마리 앙뜨와네트 데쓰마스크 글이요 4 ㅇㅇ 2024/10/05 3,193
1629336 "달러가 기축통화인이상 세계에 전쟁은 끊이지 않을거라는.. 28 안유화 2024/10/05 3,660
1629335 미 학자들이 분석한 미 대선의 해리스, 트럼프 정책 1 light7.. 2024/10/05 1,775
1629334 미용실에서 염색방치시간이 좀 길었던것같은데요 5 .. 2024/10/05 3,371
1629333 한살림 일시 주소변경가능여부 6 2024/10/04 708
1629332 가정집 바퀴벌레 세스코 사용해보신분 계실까요? 5 바선생 2024/10/04 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