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복비는 왜 퍼센테이지로 하나요..

-- 조회수 : 2,938
작성일 : 2024-09-27 12:47:32

건당 얼마 이런식이 아니고 매매값의 몇프로.. 일까요.

가끔 궁금해요. 

 

IP : 122.44.xxx.13
3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관례가
    '24.9.27 12:49 PM (121.162.xxx.227)

    법이 된 케이스같은데
    건당 얼마로 법을 바꾸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 2. 그게
    '24.9.27 12:50 PM (1.240.xxx.21) - 삭제된댓글

    가장 합리적이라서 아닐까요?
    오랜 세월을 걸쳐 결정된?

  • 3. ㅁㅁ
    '24.9.27 12:50 PM (1.240.xxx.21)

    가장 합리적이라서 아닐까요?
    외국에서도 그렇게 하는 거 보면요.
    오랜 세월을 걸쳐 결정된?

  • 4. 웃기는 이야기
    '24.9.27 12:53 PM (59.10.xxx.174)

    부동산업자들의 조직과 카르텔이 워낙 커져서 정부에서도 눈치를 심하게 봐요
    10억 이상은 0.7%인가하던데
    20억 부동산에 1400만원이 복비래요 ㅋㅋㅋㅋ
    대신 서민들은 싸게 내려주고 돈 있는 사람들에게 더 받아먹어라?
    그래도 협의사항이니 미리 0.5정도로 합의 하면 됩니다

  • 5. ...
    '24.9.27 12:53 PM (58.234.xxx.222)

    그게 뭐가 합리적인가요??
    싼집이나 비싼집이나 부동산에서 하는건 똑같고, 책임지는 것도 없고.
    그야말로 비합리적인 관례죠.

  • 6. ㅡㅡ
    '24.9.27 12:57 PM (58.120.xxx.112)

    웬 합리?
    제일 부당한 거래 같은데
    집 한 번 보여주고
    전화 몇 번 돌리고
    몇 백, 천 단위가 합당해요?

  • 7. .......
    '24.9.27 12:57 PM (211.248.xxx.146) - 삭제된댓글

    그나마 정부에서 요율 정해준것도
    최대를 정해준건데
    그게 마치 기본요율인것처럼 받아먹죠.
    진짜 없어져야 되는 직업 1순위 같아요
    책임지는건 없으면서 양쪽에서 수수료 과다하게 챙겨먹고.
    그래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직거래 한다잖아요
    아마 점점 사양산업 될 거예요

  • 8.
    '24.9.27 12:57 PM (125.181.xxx.35)

    20억짜리 집 없는 지역에서 부동산하고 있는데
    15년전 쯤 15만원 수수료 받고 1800만원 물어줬어요

    국회의원.도의원들이 뭘 몰라서 비싸게 매겼겟나요?
    다 이유가 있겟죠

  • 9. ...
    '24.9.27 12:58 PM (223.38.xxx.79)

    비율대로 하니 중개업자들이 자꾸 전화해 전세가 올립니다. 비싸져야 수수료가 더 높아지니까요. 재계약하면 수수료 못받으니 다른 세입자 들여준다고요.

    학군지인 우리 동네 이런 중개업자에 놀아나서 단지내 한 집 결국 이사나가고 4집이 다른 동으로 돌려막기로 이사한적 있어요.

  • 10. ..........
    '24.9.27 12:58 PM (211.248.xxx.146)

    그나마 정부에서 요율 정해준것도
    최대를 정해준건데
    그게 마치 기본요율인것처럼 받아먹죠.
    진짜 없어져야 되는 직업 1순위 같아요
    책임지는건 없으면서 양쪽에서 수수료 과다하게 챙겨먹고.
    그래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직거래 한다잖아요
    아마 점점 사양산업 될 거예요

    그리고 그게 무슨 합리예요
    % 수수료는 거래규모,거래액에 따른 리스크도 우상향일때 정당한거지
    1역짜리 매물이나
    100억짜리 매물이나
    부동산 중개인들이 뭐 책임지는거 하나 있어요?
    똑같은데 왜 수수료만 %로 받나요.

  • 11. 이거 진심
    '24.9.27 1:00 PM (125.128.xxx.139)

    바뀌어야 하는데

  • 12. ...
    '24.9.27 1:01 PM (1.237.xxx.240)

    전세 복비도 웃겨요
    6억이하는 0.3프로 6억이상은 0.4프로가 복비에요
    하는건 똑같고 책임도 안지면서 복비 요율만 올라감
    어차피 요율 똑같이 해도 가격 비싸면 더 많이 받을텐데...
    이러니 공인중개사들이 집값 올린다는 소문이 돌지요

  • 13. ㅇㅇ
    '24.9.27 1:04 PM (223.38.xxx.88)

    그나마 정부에서 요율 정해준것도
    최대를 정해준건데
    그게 마치 기본요율인것처럼 받아먹죠.
    진짜 없어져야 되는 직업 1순위 같아요
    책임지는건 없으면서 양쪽에서 수수료 과다하게 챙겨먹고.
    그래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직거래 한다잖아요
    아마 점점 사양산업 될 거예요

    그리고 그게 무슨 합리예요
    % 수수료는 거래규모,거래액에 따른 리스크도 우상향일때 정당한거지
    1역짜리 매물이나
    100억짜리 매물이나
    부동산 중개인들이 뭐 책임지는거 하나 있어요?
    똑같은데 왜 수수료만 %로 받나요.
    222222222222222

  • 14. ㅡㅡ
    '24.9.27 1:05 PM (106.102.xxx.224)

    집값비싸다고 일을 더하는것도 아닌데 .

  • 15. 맞아요!
    '24.9.27 1:07 PM (58.224.xxx.94)

    불합리합니다

  • 16. --
    '24.9.27 1:11 PM (122.44.xxx.13)

    세금도 아니고 너무 비합리적인거같은데요 ㅠㅠㅠㅠ

  • 17. ㅇㅂㅇ
    '24.9.27 1:11 PM (182.215.xxx.32)

    퍼센티지로 하는거까진 이해한다쳐도
    고가부동산의 수수료 퍼센티지는 왜 더 높죠?

  • 18. ㅜㅜ
    '24.9.27 1:11 PM (211.58.xxx.161)

    20억부동산 사고팔면 총2800이 수수료란거에요?????

  • 19. ㅜㅜ
    '24.9.27 1:13 PM (211.58.xxx.161)

    사고나면 책임져주는게 년 1억한도잖아요
    그것도 이미 4천다른데서 썻다면 6천밖에 보상못받음요
    20억짜리아파트라도

  • 20. 윈도우
    '24.9.27 1:44 PM (122.42.xxx.82) - 삭제된댓글

    외제차 판매 온도 수수료가 얼마죠?
    궁금하네요 클리어하지 않는 모든 수수료들이
    관공서 납품과는 왜 정가일까요

  • 21. 사와와
    '24.9.27 1:46 PM (122.42.xxx.82)

    20억짜리 양타 치는 애들이 얼마나 있다고
    난 이글이 왜 이렇게 웃긴지

  • 22. ㅜㅜ
    '24.9.27 1:48 PM (211.58.xxx.161)

    요즘 서울 왠만한 국평 20억이에요
    저도 이번에 18억짜리팔고 23억짜리로 갈아타기하려고하는데
    진짜 부동산수료 넘해요

  • 23. ...
    '24.9.27 2:07 PM (223.39.xxx.120)

    수수료가 비싼만큼 서비스와 책임을 져야하는데
    정말 집 보여주는것 외에 책임지는게 너무 없어요.

  • 24. ..
    '24.9.27 2:11 PM (223.39.xxx.120)

    저만큼 법정수수료 기준 정하는데도 부동산업계 반대가 엄청났었어요. 그땐 집값이 이렇게 폭등한게 아니였어서
    과거엔 진짜 미리 딜하지않으면 빨리 팔아줬으니 더내라 싸우고 ㅡㅡ

  • 25. ....
    '24.9.27 2:15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는 진짜 너무 하는거 없이 많이 받아요.
    책임지는 것도 없고 그 수많은 사기도 이렇게 무책임하니까 벌어질 수 있는 것.
    중개하는 놈이 되려 사기를 치니...
    받아먹는게 많으면 책임을 지게 하던가...
    책임지는거 없이 하는거 없으면 수수료를 낮게 받던가..
    부동산가격 이렇게 천정부지로 올랐으면 수수료율도 낮춰야 하는거 아닌가요?
    너무 불합리한 가격이죠.

  • 26. ......
    '24.9.27 2:17 PM (110.13.xxx.200)

    우리나라는 진짜 너무 하는거 없이 많이 받아요.
    책임지는 것도 없고 그 수많은 사기도 이렇게 무책임하니까 벌어질 수 있는 것.
    중개하는 놈이 되려 사기를 치니...
    받아먹는게 많으면 책임을 지게 하던가...
    책임지는거 없이 하는거 없으면 수수료를 낮게 받던가..
    부동산가격 이렇게 천정부지로 올랐으면 수수료율도 낮춰야 하는거 아닌가요? 너무 불합리한 가격이죠.
    거기에 돈미새들은 어찌나 많은지....

  • 27. ...
    '24.9.27 2:18 PM (210.178.xxx.91)

    수수료 너무 비싸요. 이거 정말 개선돼야해요

  • 28. ㅇㅇ
    '24.9.27 2:21 PM (1.225.xxx.227)

    맞아요 너무 비쌈

    다른 나라는 수수료가 어느 정도인가요?
    유난히 우리나라만 높은것 같은데..
    그리고 언젠가 티비에 다른나라 중개인들 업무 보니깐
    별거 별거 다 하던데..
    우리는 집 보여주고 설명하고 땡인데..
    직접 거래만이 답인것 같기도 합니다

  • 29. 직거래가
    '24.9.27 2:48 PM (106.102.xxx.231)

    활성화 되면 좋겠어요

  • 30. 외국
    '24.9.27 3:25 PM (67.160.xxx.104)

    미국은 일반적으로 6%정도 되고 독일은 3-7% 정도가 집 사고 팔때 부동산 수수료에요. 한국보다 많이 비싸죠. 미국은 보통은 파는 사람이 6%의 수수료를 내면 사는 사람 부동산과 파는 사람 부동산이 반씩 나눠갖는 구조였는데 올해부터 바뀌어서 파는 사람 사는 사람 양쪽에서 다 부동산 수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하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렇게 된다면 파는 사람은 수수료를 덜 부담해도 되고 사는 사람은 파는 사람이 대신 내주던 수수료를 내야되는게 되겠죠. 그런데 미국도 인터넷 부동산 에이전트들은 수수료를 1-2% 포인트 덜ㅊ받기도 해요.

  • 31. 근데
    '24.9.27 3:35 PM (118.235.xxx.107)

    건당으로 해서 단일요금하면 1억짜리 집이나 100억짜리 집이나 같은 책임인건데

  • 32. ...
    '24.9.27 3:39 PM (211.176.xxx.192)

    그러니 아파트 상가에 부동산이 4개나 주루륵 있어도

    안 망하고 있겠죠?

    복비 아까워 이사다니기도 무서워요.

  • 33. 미국
    '24.9.27 3:56 PM (118.235.xxx.229)

    중개업자는 우리처럼 거저먹지 않아요 .

  • 34. 흠흠
    '24.9.27 4:12 PM (122.44.xxx.13)

    책임책임하는데 무슨 책임을 지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지금은 저렴한 중개비 받으면 책임이 없다는 것인지...당연히 얼마를 받든 같은 책임으로 일해야되는거 아닌가요.
    근래에도 거래를 했지만 잘못된 정보를 알려준것도 많고
    그래도 거래되고 나면 책임하나 없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3189 상담심리 사이버 대학 어디가 좋을까요? 2 상담심리 2024/11/22 1,100
1643188 병원에서 허리사이즈 잴때 8 궁금 2024/11/22 1,946
1643187 비트코인 늦었지만 해보고싶어요 11 ㅇㅇ 2024/11/22 6,851
1643186 웬지 마음이 무자게 심난합니다 8 82cook.. 2024/11/22 3,232
1643185 모성이란 무엇인지 3 .. 2024/11/22 1,556
1643184 주얼리 이지현 인스타 37 ㅇㅇㅇ 2024/11/22 25,182
1643183 2 했을 듯한 분들 근황 15 .. 2024/11/22 2,809
1643182 다음주면 드디어 수도권 영하로 떨어지네요. ..... 2024/11/22 1,610
1643181 호스피스 시설은...병원에만 있나요? 5 백프로 2024/11/22 1,304
1643180 타로를 많이보면 정신이 오락가락해지나요? 4 타로 2024/11/22 2,356
1643179 지하철타보니 사람마다 냄새가 44 기생충 2024/11/22 16,971
1643178 카톡자판칠때마다 구글이 떠요 2 핸드폰을바꿧.. 2024/11/22 630
1643177 집에있지말고 일해vs 집에있어보니 ㅇㅇ안좋으니 일을 해보렴 4 ㅇㅇ 2024/11/22 2,702
1643176 미국주식하면 다 돈버는 줄 아시죠? 13 ㅇㅇ 2024/11/22 6,127
1643175 티빙은 5천원짜리 결재하면 다운도 되나요? 6 22 2024/11/22 1,212
1643174 남자냄새 나는 회원들이 왜이리 많죠? 36 여기 2024/11/22 5,531
1643173 여쭤보다 vs 물어보다 7 ㅓㅓ 2024/11/22 2,493
1643172 지인이 지난 선거는 6 ㅗㅎㄹㄹ 2024/11/22 1,471
1643171 생리 안한지 2.5달이네요 8 ㅇㅇ 2024/11/22 2,696
1643170 금 비트코인 미장 달러 투자등 5 11월 2024/11/21 3,613
1643169 "더는 못버텨" 줄도산 최대‥열달만에 1,38.. 8 .. 2024/11/21 6,227
1643168 엄마. 아빠란 단어를 들으면 떠올리는 느낌 9 엄마아빠 2024/11/21 1,818
1643167 (교통사고) 합의안된 채 퇴원했을경우 5 ㅇㅇ 2024/11/21 1,431
1643166 청량리 해링턴플레이스 9 ㄷ.ㄷ 2024/11/21 2,538
1643165 당뇨 전단계가 라면 먹는 방법? 9 ... 2024/11/21 5,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