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0대인데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거 비정상 일까요

ㅇㅇ 조회수 : 2,421
작성일 : 2024-09-23 10:58:29

만 46살이구요

 

요새 죽음에 관한 책을 계속 읽고 싶은데

 

좀 비정상인가 싶어서요

 

어느날 죽음이 나에게 물었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죽을때 후회하는 스물다섯가지 

 

등등 

 

노년에 읽어야 할 책일까요?

 

요즘 갱년기가 온건지 아무튼 우울한 생각이 많이 들긴 했는데

 

그런 영향인건지....

 

어떻게 보면 좀 우울하기도 하고 우중충하기도 하고 

 

아직은 저랑 먼 이야기의 내용들인데

 

문득 내가 많이 이상한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전 어디 심각하게 아픈곳은 없고 (물론 소소하게 아픈곳은 많지만요)

 

부모님은 70대신데 엄마가 요즘 살 좀 빠지신거 외에는 건강하신편이긴 해요

 

아빠도 건강하시구요.

 

저 이상한가요?

IP : 183.98.xxx.166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9.23 11:00 A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큰일났다 비정상이다는 아니고
    미리 준비하고 생각해보는건 좋지만

    지금 이 나이에 그 주제에만 빠진건
    정상은 아닙니다

  • 2. ...
    '24.9.23 11:00 AM (114.200.xxx.129)

    정상 비정상이 어디있어요..ㅠㅠ 저는 그런류의 생각하면 우울해서 잘 생각안하는 스타일이예요..
    내노후는 어떻게 살아가야 될까 이런류의 생각만 해요..
    아직 죽고 싶은 마음은 1도 없는것 같아요..ㅎㅎ

  • 3. ..
    '24.9.23 11:01 AM (73.148.xxx.169)

    이상할 게 뭐 있어요?
    책으로 쓰여진 모르는 분야 읽으면
    배우는 것도 있고 즐겁죠.

  • 4. ....
    '24.9.23 11:01 AM (175.201.xxx.167)

    아니 그게 왜 비정상이에요?
    삶과 죽음은 하나다
    많은 철학자와 심리학자들이 외치는 말이에요
    웰다잉.
    생은 영원하지 않으니
    생의 한계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루하루 일상에 충실할 수 있다가 모토라서
    저도 그런책 종종 즐겨읽어요
    저도 40초입니다

  • 5. ㅇㅂㅇ
    '24.9.23 11:03 AM (182.215.xxx.32)

    미리 읽어보고 생각해보는거 필요하다고봐요
    죽음에 대해 너무 부정적으로 보고
    입에 못올리게 하는게 더 부자연스럽죠
    항상 우리옆에 있는거잖아요
    언제라도 죽을수 있는데
    어떻게 살지 어떻게 죽을지
    생각하면서 살아야하지 않나요

  • 6. 살다보면
    '24.9.23 11:04 AM (175.120.xxx.173)

    그런 시기가 있어요.

  • 7.
    '24.9.23 11:04 AM (58.76.xxx.65) - 삭제된댓글

    정상입니다
    그게 현실이 되면 엄청난 우울증에 휩싸여요
    저는 종교로 극복했고 동생은 이번에 같이
    성당 다니면서 많이 좋아 졌어요

  • 8. ..
    '24.9.23 11:15 AM (119.197.xxx.88)

    그 나이대면 지극히 정상적임.
    돌연사 심심찮게 나오는 나이예요.

  • 9.
    '24.9.23 11:16 AM (121.185.xxx.105)

    선불교 법문 들어보세요. 마음이 편해집니다.

  • 10. 죽음이
    '24.9.23 11:30 AM (183.97.xxx.120)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아졌으니
    이상한 건 아닌 것 같아요
    야탑 칼부림 예고 같은건 예전엔 상상도 못하던 일이였고요

  • 11. 문제없어요
    '24.9.23 11:32 AM (220.117.xxx.100)

    소설, 동화책도 죽음이란 소재는 흔하게 나와요
    사람이 태어나서 존재하고 언젠간 죽는데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게 왜 문제죠?
    문제가 되려면 죽음에 대한 생각에 빠져 일상을 망치거나 생활을 못할 정도여야…
    오히려 틈틈이 죽음을 상기하며 현재를 살 수 있다면 아무 생각없이 사는 것보다 조금은 나을 수 있어요

  • 12. ..
    '24.9.23 11:32 AM (202.128.xxx.167)

    너무 깊게 생각하지 말고
    현재를 즐기세요

  • 13.
    '24.9.23 11:33 AM (39.7.xxx.74)

    또래인데 저는 이번생이 힘들어서 아이들 성인되면 딱 죽어도 좋다 생각해요. 스스로 죽고 싶은 단계는 지났고 하늘이 부르면 감사합니다하고 가려구요.

  • 14. 너무
    '24.9.23 11:55 AM (106.101.xxx.179)

    몰입하거나 너무 죽음만 생각하는게 아니라면
    건전하게 죽음에 대해서 미리 생각해 놓는건 좋은거같습니다

    아무생각없이 사는거보단 죽음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내 삶을 보다 주도적으로 살아낸다거나 삶에 대한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적극적으로 변할수도있으니까요 ^^

  • 15. 동년배
    '24.9.23 12:42 PM (223.38.xxx.146)

    저도 죽음을 늘생각하고 서울대교수님인지 유투브도 찾아봐요
    이제는 태어난날보다 죽을날이 더가까워진 나이라고 생각하고 더이상 인생에 낙과 즐거움이 있을까싶고 죽어도 괜찮다라고 생각들도 그런생각이 듭니다

  • 16. ...
    '24.9.23 12:52 PM (210.100.xxx.228)

    전 죽음은 생각도 하기 싫은 주제였는데 유튜브에서 황창연신부님 관련 강의 듣고 생각이 바뀌고 준비하는 마음으로 말씀하신 책들 읽고 싶었는데 아직 못읽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2812 구로구청장 사퇴한대요 근데 이유가 7 2024/10/15 4,746
1632811 월세 받으시는 분 계시나요. 8 .. 2024/10/15 1,688
1632810 약속 안 지키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네요 3 신뢰 2024/10/15 2,939
1632809 부모님이 내명의로 집을 사서 거주하고 싶어하세요 12 모지리 2024/10/15 4,944
1632808 대한민국 국회가 되게 할 일이 없는가봐요 7 ㅇㅇ 2024/10/15 1,121
1632807 일룸 소파 어떤가요? 1 소파구입 2024/10/15 1,427
1632806 윗집 이사가네요 15 ㅇㅇ 2024/10/15 4,847
1632805 사과가 맛있어요 15 10월 2024/10/15 3,642
1632804 지하철에서 2 ㄷㄷㄷ 2024/10/15 921
1632803 동네 안과에서 녹내장 의심된다는데 19 .. 2024/10/15 3,382
1632802 지인이 본인 딸사진을 자꾸 보여주는데 20 밥밥 2024/10/15 6,107
1632801 어딜 가나 13 2024/10/15 1,040
1632800 광주 관련해서 기억나는건 3 swe 2024/10/15 1,046
1632799 시판 갈비탕요. 6 ㅇㅇ 2024/10/15 1,517
1632798 대선전에 김건희에 대해 강진구기자가 12 ㄱㄴㄷ 2024/10/15 2,967
1632797 캡슐 커피머신 일리vs 네스프레소 고민중입니다 14 ㅇㅇ 2024/10/15 1,794
1632796 뉴진스 하니, 블라인드앱에서 욕먹어.. 29 2024/10/15 5,153
1632795 잘 사는 나라로 갈수 있다 4 조작 2024/10/15 1,329
1632794 중딩 Ct까지 찍었는데 염증을 못찾았어요 5 아흐 2024/10/15 1,664
1632793 여자기사님 버스라 그런가요 10 ㅇㅇ 2024/10/15 2,578
1632792 영화표가 있어서요, 영화 2024/10/15 415
1632791 100만년만에 호텔 뷔페에서 점심 19 0-0 2024/10/15 5,112
1632790 피싱전화라는데 그냥 끊는건 어떤 경우인가요? 3 ..... 2024/10/15 1,073
1632789 사복 실습 겨우 끝냈는데요..... 5 50 중반 2024/10/15 1,971
1632788 롱 치마에 외투는 어떻게 입어야 할까요? 7 옷차림 2024/10/15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