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문직에는 뭐가 있나요

전문 조회수 : 3,087
작성일 : 2024-09-21 14:05:16

의사 변호가 약사 외에 

전문직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나이들어서도  할수 있는거요

중년넘어서 도전해서 될수 있는 전문직은 뭐가 있을까요 

IP : 118.33.xxx.5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9.21 2:07 PM (112.166.xxx.103)

    전문직은 대학부터 전공해서 오래 공부하고 자격증을 따야하는데..
    40대 이후에 다시 대학을 들어가거나 자격증을 따지 않은 한
    전문직은 할 수 없죠

  • 2. 중년이라면..
    '24.9.21 2:07 PM (223.38.xxx.4)

    40대 정도인데
    그 나이에 시험쳐서 전문직은 뉴스에 날 정도로 희소, 희박하지 않나요?
    글쎄요.. 계리사? 그것도 머리 팽팽돌때해야 가능하고..
    모르겠네요
    저도 댓글 기다립니다.

  • 3. .....
    '24.9.21 2:08 PM (112.152.xxx.132) - 삭제된댓글

    회계사, 변리사, 감평사, 노무사....등이 전문직이지만
    나이든 초보를 쓰지 않죠. ㅠㅠ

  • 4. ..
    '24.9.21 2:10 PM (106.102.xxx.27)

    나이든 초보자를 쓰지도 않지만 저 시험들을 어떻게 봐요. 시험에 통과하면 인간승리 아닌가요

  • 5. ㅇㅇ
    '24.9.21 2:10 PM (220.65.xxx.124)

    40넘어서 설사 된다 해도 저 직업들이 체력적으로 그 나이에는 힘들어요

  • 6. 40
    '24.9.21 2:17 PM (110.70.xxx.75)

    40넘어 내 사업 아니면 누가 써줘요?
    젋은 대졸자들 매년 졸업해서 사회 나오는데
    개네들 전문 자격증 다 따고 나오는거에요

    입장 바꿔서 내가 고용인 입장이면 내 나이랑 비슷한 사람
    데리고 있고 싶어요? 고집만 쎄고 맨날 아프다 그럴텐데

  • 7. .....
    '24.9.21 2:18 PM (106.101.xxx.121)

    그닥 추천하진않지만
    대학다시가서 한의사?

  • 8. 전문진은
    '24.9.21 2:21 PM (58.230.xxx.181) - 삭제된댓글

    말 그대로 전문가에요. 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그냥 자격증하나 딴다고 냅다 타이틀을 가지는게 아니라는겁니다. 중년 넘다는건 50대 이후라는건데 욕심이 과하시군요
    세상 보는눈에 아직 철이 없는듯

  • 9. 전문직은
    '24.9.21 2:22 PM (58.230.xxx.181)

    말 그대로 전문가에요. 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그냥 자격증하나 딴다고 냅다 타이틀을 가지는게 아니라는겁니다. 중년 넘다는건 50대 이후라는건데 욕심이 과하시군요
    세상 보는눈에 아직 철이 없는듯
    아는 사람도 거의 돈으로 한의대 대학원까지 40대 중반에 졸업했지만 결국 아무것도 지금 안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지보다 10년도 더 어린것이 자기보다 훨씬 높은 지위에 있고 자기를 만만하게 보는게 꼴보기 싫다고 자존심도 상하고

  • 10. ㅇㅇ
    '24.9.21 2:40 PM (106.101.xxx.39) - 삭제된댓글

    제 친구가 미술관련 일하다가
    세무사 자격증 따서 아주 잘나가요
    그 친구는 40대 초반에 그 자격증 땄어요
    미술쪽 일은 돈도 안되고 그랬는데
    이젠 제 2의 인생을 살더라는

  • 11. ..
    '24.9.21 2:43 PM (106.102.xxx.27)

    윗님 친구분 세무사는 학교 다닐때 공부 진짜 잘한케이스인가봐요. 이지혜 남편도 세무사5번 떨어졌다고 하더라구요

  • 12. ㅇㅇ
    '24.9.21 2:45 PM (106.101.xxx.39) - 삭제된댓글

    아뇨.. 공부 좋아하지도 잘하던 친구도 아니었어요
    근데 그 시험 붙을 정도면
    아마 머리가 나쁜 게 아니라
    그냥 공부를 안 했던 케이스가 아닐까 싶어요
    본인 말로는 자기 머리 별로 안좋다고
    그저 인생을 걸고 공부했다네요

  • 13. ㅇㅇ
    '24.9.21 3:17 PM (175.194.xxx.217)

    요리사도 미용사도 전문진이죠. 전문이잖아요. 그 분야 아주 잘하면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70까지도 불러줄 베테랑 기술자니깐요.

    의사도 의료기술자죠

  • 14. ..
    '24.9.21 3:30 PM (125.248.xxx.36) - 삭제된댓글

    윗님 기술이 숙련된걸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혼자 생각하는건 자유지만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정당성이 있어요.

  • 15. ㅋㅋㅋ
    '24.9.21 3:39 PM (112.166.xxx.103)

    전문직과
    전문적인 일과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 16. ㅇㅇ
    '24.9.21 4:23 PM (223.38.xxx.240)

    24.9.21 3:17 PM (175.194.xxx.217)
    요리사도 미용사도 전문진이죠. 전문이잖아요. 그 분야 아주 잘하면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70까지도 불러줄 베테랑 기술자니깐요.
    ------------------------------ ????????
    님 논리면 청소, 운전사등 몸쓰는일 모두 전문직이죠

  • 17. ...
    '24.9.21 4:26 PM (112.187.xxx.226)

    포털에 전문직 혹은 8대 전문직이라고 검색해 보세요.

  • 18. 8대전문직
    '24.9.21 4:52 PM (118.47.xxx.16)

    8대 전문직 종류


    변리사 (평균연봉 7,920만원)
    변호사 (평균연봉 1억 1,580만원)
    관세사 (평균연봉 5,360만원)
    회계사 (평균연봉 9,830만원)
    세무사 (평균연봉 7,230만원)
    법무사 (평균연봉 3,810만원)
    감정평가사 (평균 2,480만원)
    노무사 (평균 5,284만원)

    8대 전문직이 하는일, 되는방법

    https://allaboutwealth.tistory.com/174

    문과 8대 전문직 종류와 연봉순위

    https://njsnjsnjs.tistory.com/55

    8대 전문직이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영업력이 있어야 고객유치와 유지하는 능력이 관건이랍니다.

    공부를 하고프다면 어쩔 수 없지만, 남들이 알아주지도 않지만 꾸준히 하는것이 결국은

    전문가 못지 않는 직업을 유지할 수 있어요.

  • 19. 전문가
    '24.9.21 9:06 PM (211.250.xxx.38)

    제 기준에서는 국가 자격증 가지고 누구의 오더 없이 독립해서 개업할 수 있는 직업은 전문가예요.
    의사, 변호사부터 미용사까지..

  • 20. ..
    '24.9.22 11:26 AM (106.101.xxx.181) - 삭제된댓글

    윗님 기술이 숙련된걸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혼자 생각하는건 자유지만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정당성이 있어요.
    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3668 탄핵해야 경제불확실성 제거 2 ㅇㅇㅇ 2024/12/12 680
1653667 한섬 더캐시미어는 젊은층이 주소비층이죠? 5 질문 2024/12/12 2,509
1653666 나는 솔로 광수 영호 결이 비슷해서 울었군요 2 2024/12/12 2,088
1653665 내란은 사형 7 아웃 2024/12/12 1,279
1653664 윤상현이 진짜 욕나오네요 20 진짜 2024/12/12 4,373
1653663 군통수권자 - 이 정도는 되어야... 4 ... 2024/12/12 1,500
1653662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이 국힘 후보 아니고 5 ... 2024/12/12 1,549
1653661 민주당정권에서 살고싶다 13 ㅇㅇㅇ 2024/12/12 1,004
1653660 차기대통령은 24 ........ 2024/12/12 2,797
1653659 토욜에 여의도 시위가보려고하는데 어디로 가면 되나요 7 메리앤 2024/12/12 1,622
1653658 김민석 의원 말에 의하면 계엄 성공 했다면 김거니 대통령 9 ㅇㅇ 2024/12/12 6,913
1653657 계엄령이라는 구시대적인 법대신 전시특별법을 .. 2024/12/12 716
1653656 셰익스피어의 멕베스를 읽어 보세요 2 여러분 2024/12/12 2,008
1653655 국민이 몸으로 총칼 막을 때 집에 숨어 말한마디 못한 법관들과 .. 3 정청래 2024/12/12 2,803
1653654 정치후원금 세액공제에 대해 문의합니다 3 궁금 2024/12/12 899
1653653 민주당이 망해야 52 .. 2024/12/12 5,354
1653652 도이치모터스 밤샘 수사한답니다ㅋㅋㅋ 12 중앙지검 2024/12/12 5,587
1653651 김혜경 법카 42 .. 2024/12/12 4,247
1653650 두살 많은 손위 시누가 2 시누가 넷 2024/12/12 3,623
1653649 34세까지 윤석열과 이재명의 인생 비교 18 링크 2024/12/12 3,880
1653648 도와주세요. 1 독일 2024/12/12 1,523
1653647 김거니 윤석열 사주 보실수 있는분 있나요? 5 ㅇㅇㅇㅇ 2024/12/12 2,363
1653646 "쿠데타 모의한 복지장관, '의료민영화' 정책 즉각 멈.. 3 ㅇㅇ 2024/12/12 2,820
1653645 마조히스트 국민. 새디스트 3 .. 2024/12/12 1,109
1653644 달러 2 00ㅣㅣ 2024/12/1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