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직에는 뭐가 있나요

전문 조회수 : 3,090
작성일 : 2024-09-21 14:05:16

의사 변호가 약사 외에 

전문직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나이들어서도  할수 있는거요

중년넘어서 도전해서 될수 있는 전문직은 뭐가 있을까요 

IP : 118.33.xxx.5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9.21 2:07 PM (112.166.xxx.103)

    전문직은 대학부터 전공해서 오래 공부하고 자격증을 따야하는데..
    40대 이후에 다시 대학을 들어가거나 자격증을 따지 않은 한
    전문직은 할 수 없죠

  • 2. 중년이라면..
    '24.9.21 2:07 PM (223.38.xxx.4)

    40대 정도인데
    그 나이에 시험쳐서 전문직은 뉴스에 날 정도로 희소, 희박하지 않나요?
    글쎄요.. 계리사? 그것도 머리 팽팽돌때해야 가능하고..
    모르겠네요
    저도 댓글 기다립니다.

  • 3. .....
    '24.9.21 2:08 PM (112.152.xxx.132) - 삭제된댓글

    회계사, 변리사, 감평사, 노무사....등이 전문직이지만
    나이든 초보를 쓰지 않죠. ㅠㅠ

  • 4. ..
    '24.9.21 2:10 PM (106.102.xxx.27)

    나이든 초보자를 쓰지도 않지만 저 시험들을 어떻게 봐요. 시험에 통과하면 인간승리 아닌가요

  • 5. ㅇㅇ
    '24.9.21 2:10 PM (220.65.xxx.124)

    40넘어서 설사 된다 해도 저 직업들이 체력적으로 그 나이에는 힘들어요

  • 6. 40
    '24.9.21 2:17 PM (110.70.xxx.75)

    40넘어 내 사업 아니면 누가 써줘요?
    젋은 대졸자들 매년 졸업해서 사회 나오는데
    개네들 전문 자격증 다 따고 나오는거에요

    입장 바꿔서 내가 고용인 입장이면 내 나이랑 비슷한 사람
    데리고 있고 싶어요? 고집만 쎄고 맨날 아프다 그럴텐데

  • 7. .....
    '24.9.21 2:18 PM (106.101.xxx.121)

    그닥 추천하진않지만
    대학다시가서 한의사?

  • 8. 전문진은
    '24.9.21 2:21 PM (58.230.xxx.181) - 삭제된댓글

    말 그대로 전문가에요. 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그냥 자격증하나 딴다고 냅다 타이틀을 가지는게 아니라는겁니다. 중년 넘다는건 50대 이후라는건데 욕심이 과하시군요
    세상 보는눈에 아직 철이 없는듯

  • 9. 전문직은
    '24.9.21 2:22 PM (58.230.xxx.181)

    말 그대로 전문가에요. 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그냥 자격증하나 딴다고 냅다 타이틀을 가지는게 아니라는겁니다. 중년 넘다는건 50대 이후라는건데 욕심이 과하시군요
    세상 보는눈에 아직 철이 없는듯
    아는 사람도 거의 돈으로 한의대 대학원까지 40대 중반에 졸업했지만 결국 아무것도 지금 안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지보다 10년도 더 어린것이 자기보다 훨씬 높은 지위에 있고 자기를 만만하게 보는게 꼴보기 싫다고 자존심도 상하고

  • 10. ㅇㅇ
    '24.9.21 2:40 PM (106.101.xxx.39) - 삭제된댓글

    제 친구가 미술관련 일하다가
    세무사 자격증 따서 아주 잘나가요
    그 친구는 40대 초반에 그 자격증 땄어요
    미술쪽 일은 돈도 안되고 그랬는데
    이젠 제 2의 인생을 살더라는

  • 11. ..
    '24.9.21 2:43 PM (106.102.xxx.27)

    윗님 친구분 세무사는 학교 다닐때 공부 진짜 잘한케이스인가봐요. 이지혜 남편도 세무사5번 떨어졌다고 하더라구요

  • 12. ㅇㅇ
    '24.9.21 2:45 PM (106.101.xxx.39) - 삭제된댓글

    아뇨.. 공부 좋아하지도 잘하던 친구도 아니었어요
    근데 그 시험 붙을 정도면
    아마 머리가 나쁜 게 아니라
    그냥 공부를 안 했던 케이스가 아닐까 싶어요
    본인 말로는 자기 머리 별로 안좋다고
    그저 인생을 걸고 공부했다네요

  • 13. ㅇㅇ
    '24.9.21 3:17 PM (175.194.xxx.217)

    요리사도 미용사도 전문진이죠. 전문이잖아요. 그 분야 아주 잘하면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70까지도 불러줄 베테랑 기술자니깐요.

    의사도 의료기술자죠

  • 14. ..
    '24.9.21 3:30 PM (125.248.xxx.36) - 삭제된댓글

    윗님 기술이 숙련된걸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혼자 생각하는건 자유지만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정당성이 있어요.

  • 15. ㅋㅋㅋ
    '24.9.21 3:39 PM (112.166.xxx.103)

    전문직과
    전문적인 일과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 16. ㅇㅇ
    '24.9.21 4:23 PM (223.38.xxx.240)

    24.9.21 3:17 PM (175.194.xxx.217)
    요리사도 미용사도 전문진이죠. 전문이잖아요. 그 분야 아주 잘하면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70까지도 불러줄 베테랑 기술자니깐요.
    ------------------------------ ????????
    님 논리면 청소, 운전사등 몸쓰는일 모두 전문직이죠

  • 17. ...
    '24.9.21 4:26 PM (112.187.xxx.226)

    포털에 전문직 혹은 8대 전문직이라고 검색해 보세요.

  • 18. 8대전문직
    '24.9.21 4:52 PM (118.47.xxx.16)

    8대 전문직 종류


    변리사 (평균연봉 7,920만원)
    변호사 (평균연봉 1억 1,580만원)
    관세사 (평균연봉 5,360만원)
    회계사 (평균연봉 9,830만원)
    세무사 (평균연봉 7,230만원)
    법무사 (평균연봉 3,810만원)
    감정평가사 (평균 2,480만원)
    노무사 (평균 5,284만원)

    8대 전문직이 하는일, 되는방법

    https://allaboutwealth.tistory.com/174

    문과 8대 전문직 종류와 연봉순위

    https://njsnjsnjs.tistory.com/55

    8대 전문직이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영업력이 있어야 고객유치와 유지하는 능력이 관건이랍니다.

    공부를 하고프다면 어쩔 수 없지만, 남들이 알아주지도 않지만 꾸준히 하는것이 결국은

    전문가 못지 않는 직업을 유지할 수 있어요.

  • 19. 전문가
    '24.9.21 9:06 PM (211.250.xxx.38)

    제 기준에서는 국가 자격증 가지고 누구의 오더 없이 독립해서 개업할 수 있는 직업은 전문가예요.
    의사, 변호사부터 미용사까지..

  • 20. ..
    '24.9.22 11:26 AM (106.101.xxx.181) - 삭제된댓글

    윗님 기술이 숙련된걸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혼자 생각하는건 자유지만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정당성이 있어요.
    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9025 석열이 이제부터 모든 날들이 흉흉할 거야 13 ㅡ ᆢㅡ 2024/12/23 1,919
1659024 건강히 살날이 1만일 정도 남았어요 3 만일 2024/12/23 1,617
1659023 평상형침대 퀸 사이즈 받침에 킹 매트리스 괜찮을까요? 2 ㅇㅇ 2024/12/23 628
1659022 어떤말과 힘으로 4 농민 2024/12/23 686
1659021 조국을 이렇게 털었음.jpg 20 .. 2024/12/23 3,669
1659020 불매 작가, 연예인, 제품. 누구 있어요? 19 ... 2024/12/23 2,169
1659019 조선일보 2 조선일보 2024/12/23 1,001
1659018 엉덩이 묶어놓는 벨트 없나요. 6 자우마님 2024/12/23 1,594
1659017 제일 답답한게 이번 친위쿠테타가 정치영역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 17 한심 2024/12/23 1,314
1659016 유시민칼럼)내란을 끝내는 현명한 방법 15 Dghjj 2024/12/23 2,943
1659015 댓글 지우기 합시다 3 박하 2024/12/23 738
1659014 한덕수, 굥 욕받이로 고생중 6 내그알 2024/12/23 1,246
1659013 유지니맘 님 힘내세요 감사합니다. 53 .. 2024/12/23 3,346
1659012 이상한글들 아예 열지맙시다 13 .. 2024/12/23 621
1659011 소고기 구이와 잘 어울리는 5 문의 2024/12/23 1,177
1659010 유지니맘도 그만 뛰어다니셨으면 좋겠어요. 51 ㅇㅇ 2024/12/23 5,457
1659009 해가 나니 좋네요 ㅁㅁ 2024/12/23 480
1659008 트랙터 시위대 순수한 시위대가 아닙니다. 27 .. 2024/12/23 2,630
1659007 대통령 국힘 그 gr들 떤거... 2 ........ 2024/12/23 813
1659006 남태령 트랙터 농민들이 쓰던게 아니네요. 5년전에 판건데 28 트랙터 2024/12/23 3,511
1659005 피곤하면 1 .... 2024/12/23 586
1659004 종부세 없애준다하면 22 ㄱㄴ 2024/12/23 1,669
1659003 기름값 미쳤네요 3 ㅠㅠ 2024/12/23 2,776
1659002 구미시 "오는 25일 가수 이승환 콘서트 취소…안전상 .. 37 ... 2024/12/23 4,166
1659001 내란수괴 변호하는 거 쪽팔리지 않습니까~~~~? 8 팩폭질문 2024/12/23 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