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직에는 뭐가 있나요

전문 조회수 : 3,102
작성일 : 2024-09-21 14:05:16

의사 변호가 약사 외에 

전문직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나이들어서도  할수 있는거요

중년넘어서 도전해서 될수 있는 전문직은 뭐가 있을까요 

IP : 118.33.xxx.5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9.21 2:07 PM (112.166.xxx.103)

    전문직은 대학부터 전공해서 오래 공부하고 자격증을 따야하는데..
    40대 이후에 다시 대학을 들어가거나 자격증을 따지 않은 한
    전문직은 할 수 없죠

  • 2. 중년이라면..
    '24.9.21 2:07 PM (223.38.xxx.4)

    40대 정도인데
    그 나이에 시험쳐서 전문직은 뉴스에 날 정도로 희소, 희박하지 않나요?
    글쎄요.. 계리사? 그것도 머리 팽팽돌때해야 가능하고..
    모르겠네요
    저도 댓글 기다립니다.

  • 3. .....
    '24.9.21 2:08 PM (112.152.xxx.132) - 삭제된댓글

    회계사, 변리사, 감평사, 노무사....등이 전문직이지만
    나이든 초보를 쓰지 않죠. ㅠㅠ

  • 4. ..
    '24.9.21 2:10 PM (106.102.xxx.27)

    나이든 초보자를 쓰지도 않지만 저 시험들을 어떻게 봐요. 시험에 통과하면 인간승리 아닌가요

  • 5. ㅇㅇ
    '24.9.21 2:10 PM (220.65.xxx.124)

    40넘어서 설사 된다 해도 저 직업들이 체력적으로 그 나이에는 힘들어요

  • 6. 40
    '24.9.21 2:17 PM (110.70.xxx.75)

    40넘어 내 사업 아니면 누가 써줘요?
    젋은 대졸자들 매년 졸업해서 사회 나오는데
    개네들 전문 자격증 다 따고 나오는거에요

    입장 바꿔서 내가 고용인 입장이면 내 나이랑 비슷한 사람
    데리고 있고 싶어요? 고집만 쎄고 맨날 아프다 그럴텐데

  • 7. .....
    '24.9.21 2:18 PM (106.101.xxx.121)

    그닥 추천하진않지만
    대학다시가서 한의사?

  • 8. 전문진은
    '24.9.21 2:21 PM (58.230.xxx.181) - 삭제된댓글

    말 그대로 전문가에요. 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그냥 자격증하나 딴다고 냅다 타이틀을 가지는게 아니라는겁니다. 중년 넘다는건 50대 이후라는건데 욕심이 과하시군요
    세상 보는눈에 아직 철이 없는듯

  • 9. 전문직은
    '24.9.21 2:22 PM (58.230.xxx.181)

    말 그대로 전문가에요. 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그냥 자격증하나 딴다고 냅다 타이틀을 가지는게 아니라는겁니다. 중년 넘다는건 50대 이후라는건데 욕심이 과하시군요
    세상 보는눈에 아직 철이 없는듯
    아는 사람도 거의 돈으로 한의대 대학원까지 40대 중반에 졸업했지만 결국 아무것도 지금 안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지보다 10년도 더 어린것이 자기보다 훨씬 높은 지위에 있고 자기를 만만하게 보는게 꼴보기 싫다고 자존심도 상하고

  • 10. ㅇㅇ
    '24.9.21 2:40 PM (106.101.xxx.39) - 삭제된댓글

    제 친구가 미술관련 일하다가
    세무사 자격증 따서 아주 잘나가요
    그 친구는 40대 초반에 그 자격증 땄어요
    미술쪽 일은 돈도 안되고 그랬는데
    이젠 제 2의 인생을 살더라는

  • 11. ..
    '24.9.21 2:43 PM (106.102.xxx.27)

    윗님 친구분 세무사는 학교 다닐때 공부 진짜 잘한케이스인가봐요. 이지혜 남편도 세무사5번 떨어졌다고 하더라구요

  • 12. ㅇㅇ
    '24.9.21 2:45 PM (106.101.xxx.39) - 삭제된댓글

    아뇨.. 공부 좋아하지도 잘하던 친구도 아니었어요
    근데 그 시험 붙을 정도면
    아마 머리가 나쁜 게 아니라
    그냥 공부를 안 했던 케이스가 아닐까 싶어요
    본인 말로는 자기 머리 별로 안좋다고
    그저 인생을 걸고 공부했다네요

  • 13. ㅇㅇ
    '24.9.21 3:17 PM (175.194.xxx.217)

    요리사도 미용사도 전문진이죠. 전문이잖아요. 그 분야 아주 잘하면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70까지도 불러줄 베테랑 기술자니깐요.

    의사도 의료기술자죠

  • 14. ..
    '24.9.21 3:30 PM (125.248.xxx.36) - 삭제된댓글

    윗님 기술이 숙련된걸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혼자 생각하는건 자유지만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정당성이 있어요.

  • 15. ㅋㅋㅋ
    '24.9.21 3:39 PM (112.166.xxx.103)

    전문직과
    전문적인 일과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 16. ㅇㅇ
    '24.9.21 4:23 PM (223.38.xxx.240)

    24.9.21 3:17 PM (175.194.xxx.217)
    요리사도 미용사도 전문진이죠. 전문이잖아요. 그 분야 아주 잘하면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70까지도 불러줄 베테랑 기술자니깐요.
    ------------------------------ ????????
    님 논리면 청소, 운전사등 몸쓰는일 모두 전문직이죠

  • 17. ...
    '24.9.21 4:26 PM (112.187.xxx.226)

    포털에 전문직 혹은 8대 전문직이라고 검색해 보세요.

  • 18. 8대전문직
    '24.9.21 4:52 PM (118.47.xxx.16)

    8대 전문직 종류


    변리사 (평균연봉 7,920만원)
    변호사 (평균연봉 1억 1,580만원)
    관세사 (평균연봉 5,360만원)
    회계사 (평균연봉 9,830만원)
    세무사 (평균연봉 7,230만원)
    법무사 (평균연봉 3,810만원)
    감정평가사 (평균 2,480만원)
    노무사 (평균 5,284만원)

    8대 전문직이 하는일, 되는방법

    https://allaboutwealth.tistory.com/174

    문과 8대 전문직 종류와 연봉순위

    https://njsnjsnjs.tistory.com/55

    8대 전문직이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영업력이 있어야 고객유치와 유지하는 능력이 관건이랍니다.

    공부를 하고프다면 어쩔 수 없지만, 남들이 알아주지도 않지만 꾸준히 하는것이 결국은

    전문가 못지 않는 직업을 유지할 수 있어요.

  • 19. 전문가
    '24.9.21 9:06 PM (211.250.xxx.38)

    제 기준에서는 국가 자격증 가지고 누구의 오더 없이 독립해서 개업할 수 있는 직업은 전문가예요.
    의사, 변호사부터 미용사까지..

  • 20. ..
    '24.9.22 11:26 AM (106.101.xxx.181) - 삭제된댓글

    윗님 기술이 숙련된걸 전문직이라고 하진 않죠. 혼자 생각하는건 자유지만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정당성이 있어요.
    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6872 새언니 제부상인데 21 조문 2025/01/13 3,639
1666871 명동성당 성물방 2 원글 2025/01/13 1,575
1666870 딸이 소개팅한 남자에 대해 묻네요(처음보는 유형) 49 .., 2025/01/13 4,879
1666869 기부금 영수증에 주민번호 1 ... 2025/01/13 677
1666868 나라에서 해주는 건강검진 안하면 ? 3 부자 2025/01/13 2,070
1666867 만약에 이대로 흐지부지 되면... 2 윤가 2025/01/13 1,088
1666866 대학생아이 지방자취시 전입신고 꼭 해야하나요? 8 부동산에서 .. 2025/01/13 2,222
1666865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긴급보도자료 6 ... 2025/01/13 2,721
1666864 이 와중에 이딸라 스텐 냄비로 바꾸려구요 1 주방 2025/01/13 1,160
1666863 국힘당에게 2 ㅇㅇㅇ 2025/01/13 626
1666862 LA 산불에 교민 걱정하는 윤가에 대한 교민 아짐들 반응 5 살벌하네요 2025/01/13 2,385
1666861 이분 이탄희 전의원 배우자죠? 4 .... 2025/01/13 3,350
1666860 생선 온라인으로 어디서 시키세요? 2 ... 2025/01/13 1,195
1666859 물음표글이 많네요. 2 갑자기 2025/01/13 681
1666858 40대 후반인데 국민연금 못받겠죠? 11 ㅇㅇ 2025/01/13 3,522
1666857 이혼숙려 부부들이 거의 혼전임신으로 결혼한거 보면... 6 저요저요 2025/01/13 2,857
1666856 쉽게 만드는 야채 요리를 추천해주세요 5 2025/01/13 1,390
1666855 전자레인지에 기름종이 넣어도 되나요 ? 1 ㅁㅁ 2025/01/13 1,401
1666854 10인용 전기 압력밥솥 추천요망 2 눈 예보 2025/01/13 874
1666853 조상호 변호사 SNS '무식하면 공부하고 말하세요' 14 맞아요 2025/01/13 2,900
1666852 인덕션에 곰국끓이면 전기세 폭탄? 6 ... 2025/01/13 2,734
1666851 불교계, '尹 방어권' 원명에 "부끄럽다…엄중 조치 필.. 1 ㅅㅅ 2025/01/13 1,732
1666850 심장건강 위해서 오메가3 복용할 필요 없다고 하네요 4 ㅇㅇ 2025/01/13 1,968
1666849 국방부,북도발 유도 주장 사실 아니다 4 강한부정은뭐.. 2025/01/13 1,271
1666848 너무 외로워하는 8세 외동 딸. 26 군고구마 2025/01/13 4,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