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은 공동체문화가 실종중이죠

ㅇㅇ 조회수 : 4,696
작성일 : 2024-09-18 17:43:27

며느리의 노동집약적인 시댁문화가 사라져도 모이는걸 좋아하지 않을거예요. 여기든 어디든 뭔 친구싫다 모임싫다 이런글만 잔뜩 올라오잖아요. 명절에 일 안하고 그냥 모여서 논다고해도 싫어해요 그냥 모여서 어울리는거 자체가 힘들고 싫은거예요.  엘레베이터에서 이웃 마주치는것도 싫고 젊은이들도 혼자 틀어박혀있길 원하고 전 진지하게 이정도로 같이 있는걸 싫어하고 고립되길 원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랑 일본밖에 없는것 같아요. 

IP : 218.155.xxx.106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9.18 5:44 PM (211.234.xxx.211)

    노는 거 좋아하고 친구 좋아하는 사람은 바빠서 82할 시간도 없지 않을까요?

  • 2. 공감해요
    '24.9.18 5:46 PM (220.117.xxx.100)

    모이는 건 둘째치고 전화공포증도 많은거 보면 사회 곳곳에 문제가 스물스물 피어오르고 있는데 다들 별거 아닌걸로 생각하는 것 같아 그게 더 문제라고 봐요
    그렇게 다 피하고 자기 방, 자기 공간으로 들어가서 박혀있는 것
    관계에서 최소한의 것만 겨우 의무처럼 한다는 인상을 받아요
    점점 그게 당연하고 누구나 그런거니 문제가 아닌 것처럼 생각하는 것도 심각하다고 보고요

  • 3. ㅇㅇㅇ
    '24.9.18 5:47 PM (1.225.xxx.212)

    젊은사람들 회식문화도 싫어한데요.

  • 4.
    '24.9.18 5:48 PM (211.234.xxx.164)

    82만 봐도 무슨 글만 올리면 트집잡고 싶어 악플만 올리고
    좀 공부한다 부자라는 현실을 올리면 질투 댓글 넘쳐나고 모이고 싶겠어요
    이해보나 질투
    정치병들은 지들 맞다고 하고 지지 안 하면 선민의식으로 가르치려 하고 피곤해

  • 5. ...
    '24.9.18 5:49 PM (180.83.xxx.74)

    개방적이라는 외국보다 더 이기적 개인적으로 변해가요

  • 6. .,.
    '24.9.18 5:50 PM (112.154.xxx.60)

    굳이 모여야되요? ㅎㅎ 회사에서 무슨 행사 따로 안해도 맨날 보고 점심시간에 맨날 같이 먹고..

  • 7. ㅇㅇ
    '24.9.18 5:50 PM (218.155.xxx.106)

    어울려사는것을 배우지도 못하고 아이들이 해결할 수 있는 범위의 문제도 다 학폭으로 신고하고 전 정말 미래가 비관적으로 느껴집니다

  • 8.
    '24.9.18 5:51 PM (58.29.xxx.96)

    개인주의해도 되요
    너어무 공동체라 문제였음

  • 9. 어린
    '24.9.18 5:53 PM (112.154.xxx.32) - 삭제된댓글

    아이들도 그렇습니다.
    공동체의식 같은건 아예 없어요
    무한 개인주의
    나는 잘했는데 왜 쟤 때문에 잔소리 들어야 되냐 하더라구요

  • 10. 선넘는문화
    '24.9.18 6:01 PM (172.225.xxx.236) - 삭제된댓글

    한국은 서로 선을 지킬 줄 몰라요
    개인주의가 필요힙니다.
    자식 부모간 선도 지킬 줄 모르잖아요.

  • 11.
    '24.9.18 6:01 PM (118.235.xxx.78)

    다른 민족에 비해 이제 시너지가 안 날 거예요
    인도, 중국인들 서로 끌어주고 친목 겸 네트워킹하고 정보 교환하고... 장난 아니예요

    어쩌면 한국은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여자들 갈아서 여기까지 온 것 같아요
    이제 여자들이 자기들이 유독 힘들고 가정도 신경 쓰고 회사에서도 1인분 해야 하는 상황이니 안 하겠다고 하는 상황

  • 12. ..
    '24.9.18 6:02 PM (202.128.xxx.48)

    개인주의 - 전체보다 개인 존중
    집단주의 - 개인보다 개인이 속한 집단이 중요
    공동체주의 - 집단주의와는 다른것. 개인을 존중하면서 모두의 공익을 위해 의견을 조율하고 협력하는게 공동체주의

  • 13.
    '24.9.18 6:03 PM (175.120.xxx.173)

    흐름이겠죠...공동체가 좋고 개인주의가 안좋은것이란 생각도 편견.

  • 14.
    '24.9.18 6:03 PM (211.234.xxx.164)

    흐름이겠죠...공동체가 좋고 개인주의가 안좋은것이란 생각도 편견.
    22222222222222222

  • 15. 부작용
    '24.9.18 6:07 PM (118.235.xxx.79)

    일본이고 우리나라고 그동안 너무 공동체, 우리만 중요시여기고 거기서 조금만 벗어나거나 다르면 난리나던 문화였잖아요. 대를 위해 개인의 희생 강요하고... 그런 문화에 질려버린거죠.. 그래서 과잉반응이 일어나는게 아닌지...

    교권 하락도 어찌보면 같은 문제같아요... 예전 교사들 부끄러운지도 모르고 촌지받고 지 기분 나쁘다고 애들에게 폭력 아무렇지 않게쓰고 ... 물론 좋은 교사들도 있었겠지만.. 암튼 이런 문화들이 결국은 거꾸로 무메랑되서 돌아오는게 아닌가 싶어요... 너무 안타깝죠 ㅠㅠ

  • 16. ㅇㅂㅇ
    '24.9.18 6:09 PM (182.215.xxx.32)

    싫은 사람들이 주로 인터넷에 빠져살기때문이에요
    좋은 사람들은 그런거 안쓰고 열심히 사교활동중

  • 17. 개인주의
    '24.9.18 6:09 PM (123.212.xxx.231) - 삭제된댓글

    좋아요
    개인이 행복해야 공동체도 유지될 수 있어요

  • 18. 부작용
    '24.9.18 6:11 PM (118.235.xxx.79) - 삭제된댓글

    피해자 인권보다도 가해자 인권을 중요시 여기게 된것도 지난날 죄없어도 붙잡아다가 고문하고 없는 죄 덮어씌우고 그런일이 좀 많았나요... 그러다 보니 어째 이제는 거꾸로 가해자 인권을 오히려 더 보호해주 우스운 상황이 된것같아요...

  • 19. 세상이
    '24.9.18 6:25 PM (112.214.xxx.166)

    얼마나 변했는데
    그걸 섭섭해하고 아쉬워 하는것도 어찌보면 내 이기심이죠
    나이들수록 과거에 연연하고 향수에 잠기는걸 좋아하지만
    우리들 앞에는 새로운 미래가 있고
    더 어리고 젊은 사람들은 앞만 보고 달리는것만으로도 정신이 없을테니깐요
    그들도 점차 뒤를 돌아보며 추억하고 아쉬워 하는 날이 오겠죠
    다들 그런 과정들을 거치며 나고 살다 죽는거니 넘 섭섭해마시길

  • 20.
    '24.9.18 6:25 PM (221.149.xxx.130)

    혈족 중심 지역 중심 공동체는 약해지지만
    취향 중심, 신념 중심 공동체는 많아지고 있죠
    동아리, 스터디, 시민단체, 덕질 등등이요.

    기존엔 태어나면서 부여된 정체성 기반의 사회활동이었다면
    이젠 개인-자기 자신이 원하는 쪽의 사회활동을 많이 하니까요.

    작용이 있음 반작용이 있기에ㅋㅋ
    그간 남존여비, 장손 우선 등 유교문화가 강했었기에 그것들 부터 사라지는 거고요.

  • 21. 그건
    '24.9.18 6:44 PM (211.118.xxx.156)

    인간들끼리 부대끼면서 쌓이는 스트레스가 많아 그래요.

  • 22. ㅇㅇ
    '24.9.18 7:17 PM (58.82.xxx.181) - 삭제된댓글

    기적적인 경제급성장과 국가발전 = 단기간에 부자가 되었음 = 졸부

    졸부가 위험한 게 경제적인 부가 갑자기 손에 쥐어져서 감당을 못한다는 것.
    같은 로또당첨이어도 기존의 직장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생활수준을 너무 급격하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적당하게 윤택함을 누리면서 서서히 적응하는 사람들은 두고두고 잘 사는데
    한국인들은 이 중요한 걸 하지못했어요.
    너무 빨리 샴페인을 터뜨렸어요.

  • 23. ...
    '24.9.18 7:24 PM (149.167.xxx.43)

    진짜 그래요. 왜 이렇게 된 걸까요?

  • 24. ..
    '24.9.18 7:33 PM (125.133.xxx.195)

    너어무 공동체문화였음 여태까지.. 제발좀 벗어나자 서로..

  • 25. ㅇㅇ
    '24.9.18 7:39 PM (210.126.xxx.111)

    우리라는 울타리속에 사람들을 가두어 놓고
    그 안에서 개개인은 실종된게 전통문화잖아요 여전히 지속형이구요
    그러니 사람들이 아예 다른이들과 교류를 안하려고 해요
    그 교류란게 내 것을 다 드러내놓고 서로 밀착된 관계를 형성해야 직성이 풀리는게
    한국 사람들 특징

  • 26. 로라이마
    '24.9.18 7:53 PM (121.200.xxx.109) - 삭제된댓글

    좋은 현상 같은데요?
    드러내고 보여주고 옭아매는 인간관계가 너무 많았어요
    젊은 사람들이 현명한 방식을 선택하는것 같아서
    좋습니다.

  • 27. 문제죠
    '24.9.18 9:16 PM (121.168.xxx.246) - 삭제된댓글

    중국처럼 함께하는 문화도 필요한데 우리는 개인주의가 아니라 이기주의로 가고 있어요.
    큰 변화가 필요합니다.
    40대보다 머리 핑핑도는 20대들이 팀웍으로 하는 일에는 결과가 더 안나와요.
    모든 일이 경계가 명확한건 아니거든요.
    그 불분명한 부분은 함께 해야 하는데 아무도 안하려하니 일이 이어지지 않더군요.
    20대들 반성해야해요.
    회사에서 직원으로 전혀 어울리지 못하고 늘 불평만하니 누가 뽑으려 하나요.

  • 28. 집단문화
    '24.9.18 11:29 PM (46.165.xxx.77) - 삭제된댓글

    집단 문화에 대한 반발로 개인주의를 넘어 이기주의로 가고 있고, 이것 또한 분명 작용 반작용이 적용될 거라 생각돼요. 우리 사회의 문제로 대두 될 때가 오겠지요. 벌써 왔을지도..

  • 29.
    '24.9.19 1:32 AM (112.150.xxx.31)

    비교와 경쟁으로인해 피곤하쟎아요.
    공동체? 그건 같은목표를 갖고 협동을 해야하는데
    거기서 비교와 경쟁으로 질투를 서로 하는데 안그런척 하고 살려니 힘들죠 피곤하죠

  • 30. ㅇㅇ
    '24.9.19 7:44 AM (210.126.xxx.111)

    학창시절 내내 좋은대학을 목표로 해서
    스카이 서성한으로 서열매매기와 경쟁으로 성장기를 거친 애들은
    경쟁심리가 내재화되어 있다고 봐야죠
    젊은애들 사이트 가보면 서열매기기가 너무나 일반화 보편화되어 있는 걸 보면서
    얘네들은 모든게 경쟁과 비교에서 시작하고 끝나는구나 싶더만요
    공동체의식이란게 싹틀수 없는 환경에서 자란 애들임

  • 31. ㅇㅇ
    '24.9.19 10:35 AM (220.117.xxx.100)

    혼자가 좋아, 혼자서도 잘해가 개인주의는 아니죠
    개인주의는 나 자신도 중요한 존재지만 다른이도 나만큼 중요한 존재라서 존중해 주고 그렇게 같이 지내는건데 한국에 무슨 개인주의?
    이기주의죠
    나만 중요하고 내 가족만 중요하고 내가 아는 사람만 중요한…
    그리고 혼자서 뭔가를 하는 경향이 많아졌지만 그게 나 혼자서도 할 일이 많고 나 개인의 어떤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단체에 질려서, 대중들 사이에 있는게 힘들어서, 귀찮아서 그런건데 그런 모습을 보며 개인주의가 되어버렸다는 생각은 안 듭니다
    진정한 개인주의라면 그런 개인들이 모인 단체나 공동체 또한 함부로 보지 않거든요
    한국은 소중한 개인들이 모여사는 나라가 아니라 나와 경쟁해야 하는 상대 내지 적 내지 넘어야 할 목표 정도로 생각하고 살아가는 나라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4835 광명역에서 2시간정도 시간이 비는데 이케아 갈만 한가요? 12 레몬 2025/01/07 1,903
1664834 얼굴 전체가 빨갛게 되서 치료 필요한데, 추천 &조언 주.. 11 홍당무 2025/01/07 1,692
1664833 섬유유연제 향기로만 보면 뭐가 젤 나은가요 6 섬유유연제 2025/01/07 2,256
1664832 올해 유행할 청바지 ㅋㅋㅋ 33 2025/01/07 20,495
1664831 남편이 감기3일째인데 엄청 힘들어하네요 11 ... 2025/01/07 3,054
1664830 미친 현수막 7 국짐 2025/01/07 2,296
1664829 진주 사시는 분 한약방, 한의원 유명한 곳 있나요? 2 .... 2025/01/07 1,361
1664828 내란죄 판단 제외, 제일 쉬운 설명 같네요 10 ㅅㅅ 2025/01/07 1,859
1664827 수치심 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25 ㄷㄷㄷ 2025/01/07 7,866
1664826 한옥호텔 좋네요 8 ㅇㅇ 2025/01/07 3,330
1664825 쿠션팩트 얼마나 쓰세요? (매일출근) 5 ㅁㅁ 2025/01/07 2,699
1664824 오징어 게임2 민수 최악인가요? 9 이까게무 2025/01/07 2,904
1664823 문화재 못질한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촬영팀 14 ㅡㅡ 2025/01/07 3,928
1664822 조언감사합니다. 25 해수 2025/01/07 4,451
1664821 'APT.', 빌보드 HOT 100 5위…K팝 여가수 새 역사.. 3 .... 2025/01/07 2,359
1664820 건강검진 결과 질염이라는데, 증세를 못 느낄 수도 있나요? 6 갸웃 2025/01/07 2,236
1664819 전남도, 무안참사 추모공원 460억 들여 짓는다 54 ........ 2025/01/07 5,600
1664818 우태하 한승& 용산피부과 잘 보나요? 3 gg 2025/01/07 1,341
1664817 김태효, 비상계엄 다음날 미 대사에게 ‘계엄불가피’ 강변 13 ..... 2025/01/07 3,138
1664816 부정선거 했으면 저짝에서 했겠지 15 ㅇㅇ 2025/01/07 1,374
1664815 민주당, 지역화폐강제법 발의 … 나라 비상인데 '이재명표 정책'.. 33 기사 2025/01/07 2,431
1664814 윤찍&국힘의 신박한 정신상태 4 .... 2025/01/07 1,532
1664813 럴수럴수 이럴수가 13 . . . 2025/01/07 4,393
1664812 돼지고기 갈은 것으로 10 체포해라 2025/01/07 1,672
1664811 몇달만에 생리를 하는데 온몸이 부서질듯 아파요ㅜㅡ 4 50대초 2025/01/0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