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젓국 먹던 기억

호랑이 조회수 : 1,384
작성일 : 2024-09-17 07:18:38

저 60년대 중반에 태어났어요

어렸을 때는 

뭐든 귀하던 시절이었는데

제사와 차례가 일년에 여덟 번 이상 있었어요

증조부모까지 제사 지냈었거든요

차례 지낼 때 두분씩

제사밥 세번 올리던 기억나네요

 

제사에만 먹을 수 있었던

커다란 조기

정말 짰었어요

조기살 아주 작게 한 점에 밥 한숫갈 크게 떠야 간이 맞았었지요

다음날이면 꼭 쌀뜨물에 생선이 몸을 담그기만 했던 거 같은 국이 밥상에 올랐어요

어제 저녁에 살 다 뜯어먹고 가시와 머리만 남은 조기에 쌀뜨물을 붓고 파,마늘과 미원 한 꼬집, 새우젓 한 숟가락 넣어 찌개를 끓인 거예요

조기는 냄새만 났었는데 조그마한 살점이라도 발견하면 그렇게 행복할 수가 없었어요

우리는 그 음식을 조기 젓국이라고 불렀어요

가시와 머리까지 아까워서 그냥 버릴 수 없었던 거지요

가난의 상징이던 조기 젓국이

이제는 생선을 통째로 넣거나

쇠고기등 고급 재료를 넣으니

별미가 되었네요

생선가시도 먹어야했던 그 시절을

알뜰하게 살아냈던 우리 부모님들

살아계실 때 한번 더 뵈려구요

 

 

 

IP : 125.178.xxx.16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처음
    '24.9.17 7:45 AM (210.100.xxx.239)

    70년대생이지만 가시와 머리를 넣은 국은
    처음들어요

  • 2. 그리운 비린내
    '24.9.17 8:06 AM (118.235.xxx.173)

    신경숙 소설에 나오는 말이에요.
    그리운 비린내.

    소금항아리에 갈치를 담아 뒀대요.
    그 갈치에 귀한 손님 오실 때에나 맛볼 수 있는 거였고
    주인공은 양치하려고 소금을 꺼낼 때나 그 비린내를 맡을 수 있다고 나와 있어요.

    그걸 읽으면서 생선을 싫어하는 저는 생각만으로도 속이 안 좋았었거든요.
    한 편으로는 생선을 얼마나 좋아하면 그 비린내를 그립다고 했을까하는 생각도 했고요.
    이 글을 읽으니 생각났어요.

  • 3. 젓국
    '24.9.17 8:13 AM (119.64.xxx.75)

    엄마가 안면도 사람인데 외가에서 젓국 자주 끓여먹었어요.
    뼈랑 머리만 넣고 끓인건 아니고, 조기나 박대같은 말린 생선을 넣고 쌀뜨물에 고춧가루 살짝풀고 풋고추 대파도 송송 썰어넣고 두부도 들어갔었던 기억이 나요. 새우젓 넣어 끓인 젓국.
    발음은 젓국이 아니라 쩍꾹에 가까왔어요
    가끔 생각이 나는 맛.
    박대젓국은 진짜 맛있었거든요

  • 4. 흰살생선
    '24.9.17 8:31 AM (39.7.xxx.127) - 삭제된댓글

    뭘해도 맛았죠.

  • 5.
    '24.9.17 8:52 AM (223.38.xxx.81)

    궁금하네요, 그 음식
    음식에 대한 다양한 추억 있으신 분들이 부러워요.

  • 6. ㅅㅇ
    '24.9.17 9:13 AM (106.101.xxx.41)

    여섯 식구 닭한마리 사서 몇번을 재탕 끓여서 먹던 생각이 나네요

  • 7. ...
    '24.9.17 9:29 AM (175.114.xxx.108) - 삭제된댓글

    박대, 양태, 조기...
    차례상에 올라왔던 쪄서 양념얹은 생선을 손으로 뜯어서 먹고 머리와 뼈를 고춧가루 약간 넣고 마늘 파 청양고추 넣고 푹 끓이면 뽀얀국물이 우러나는데 비릿하고 시원했던 기억이 있네요

  • 8. ㅇㅂㅇ
    '24.9.17 10:46 AM (182.215.xxx.32)

    정말 알뜰하게 사셨네요
    고생 많았던 세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5228 부산 집회 왔어요 3 부산시민(임.. 2024/12/14 803
1655227 저대신해서 아들이 갔어요 4 아들 2024/12/14 1,416
1655226 지금 2호선 당산 .. 2024/12/14 907
1655225 지금 공덕역에서 30분째 8 .... 2024/12/14 3,500
1655224 선동 27 .. 2024/12/14 2,123
1655223 성시경도 문재인 정부때는 소신발언 신나게 하더니 36 ㅇㅇ 2024/12/14 7,348
1655222 잠시죄송) 김장김치 며칠동안 실내에 빼놔야하는걸까요? 12 ..... 2024/12/14 1,750
1655221 여의도 주차 상황 아시는 분 3 여의도 2024/12/14 1,006
1655220 5호선 여의도역 정차한대요~! 1 참고 2024/12/14 1,381
1655219 요즘 항공사 승무원 18 굴금 2024/12/14 3,913
1655218 집회 갔을때의 모습 상상 vs 현실 3 어머 2024/12/14 2,097
1655217 부산 집회 현장입니다 9 ㅡㆍㅡ 2024/12/14 1,797
1655216 탄핵 yes 93% 2 폴리마켓 2024/12/14 2,423
1655215 을사5적 처럼 갑진105적으로 역사에 길이길이 2 대대로 2024/12/14 650
1655214 하자로 패딩을 교환했는데 제작일자가 달라요 4 질문 2024/12/14 1,524
1655213 “탄핵되면 눈물이 한반도 적실것"..탄핵반대 친윤계 15 ... 2024/12/14 3,698
1655212 5호선 여의도 무정차! 여의나루에서 내려야겠어요. 6 솔나무 2024/12/14 882
1655211 나갔다 들어올때 인사안하는 고등아들 10 2024/12/14 2,392
1655210 일상글)무선 청소기 소리 어느 정도 일까요? 1 ㅇㅇ 2024/12/14 488
1655209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 무정차 통과 1 ㅇㅇ 2024/12/14 650
1655208 탄핵 전문 가수 이승환 어제 레전드 무대 2 ........ 2024/12/14 1,916
1655207 제 남편에게 미안하네요 6 Jxjsks.. 2024/12/14 3,082
1655206 다음 정권은 돈받고 댓글쓰면 24 ㄱㄴㄷ 2024/12/14 1,778
1655205 82,부산 통신원 뮤즈82입니다.(집회장소 변경) 5 뮤즈82 2024/12/14 1,119
1655204 지금 동역사인데 1 ... 2024/12/14 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