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 집값 5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 배경, 무주택자에 '무리한 대출' 부르는 부동산 규제 완화

어쩔 조회수 : 2,771
작성일 : 2024-08-22 15:17:01

광수네복덕방] 서울 집값 5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 배경, 무주택자에 '무리한 대출' 부르는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 등등 / 뉴스공장

 

복덕방 어떻게 돼 가고 있어요.

총수가 물어봅니다.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좀 만들어졌습니까?

총수가 다시 물어봅니다.

뭐 고민 중에 계속 있습니다.

뭔 고민을 1년째 하시고 계시죠.

자, 오늘 주제는 서울 집값이

지금 심상치 않다. 그런 거죠.

정부가 부단히도 이걸 밀어 올리려고

사실은 노력했는데 지금 밀려

올라가고 있는 중인 것 같아요. 보니까

총수가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그렇습니다.

의도가 어떻게든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요.

사실은 여기에서 좀 당혹스러운 게

굥 정부가 집값 안정을

최대의 치적이라고 생각했잖아요.

굥이 그런 말을 했죠.

집값이 막 바닥을 길 때 나의 치적이다.

이렇게 말을 했죠.

총수가 덧붙입니다.

그래서 최근에 그런데

집값이 급등하고 있어서

어쨌든 뭐 정부도 당혹스러워하는

그런 상황입니다.

과연 당혹스러워할까요?

총수가 덧붙입니다.

그래프를 한번 보시죠.

 

저희가 그 한 거의 1년 가까이 했는데.

그러니까 지금 집이 안 팔리고 쌓여 있는 거를

그런 부동산, 그런 건설회사들이 망해야 되는데

그게 아니라 정부가 대출을 받게 해 주고.

그래서 그 사람들이 그 쌓여 있는,

안 팔리던 아파트들을 사게 만들고 있다.

그거를 부동산 정책으로 내놓고 있다.

빚내서 집 사라, 인데. 또 다른

총수가 얘기합니다.

 

그런데 그동안 사실은 무주택자들이

예를 들어서 아 이 정도면 내가 못 사, 뭐랄까,

내가 살 수가 없어, 좀 기다려 봐야지.

이런 심리가 컸었거든요.

그런데 최근에 무주택자를 중심으로 해서

대출이 크게 증가하고

갑자기 집을 막 사기 시작한 거예요.

공포 마케팅이 성공한 거죠.

 

 

집을 사는 사람도 중요하지만

누가 파는 사람도 있을 거 아니에요.

그런데 사실은 저기에는

집을 오랫동안 보유했던 사람들

그리고 투자하는 사람들

다주택자들이 집을 팔고 있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만약에

집값이 계속 올라 거라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 집 안 팔죠

지금 해치우는 거 아닙니까? 찬스가 왔다.

 

 

ㅡㅡㅡㅡㅡㅡㅡ

 

그래프와 함께 보십시오. 참 큰일이네요. 지금 빚내서 집 사고 있는 2030들....

IP : 125.184.xxx.7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펌(뉴스공장 출연)
    '24.8.22 3:17 PM (125.184.xxx.70)

    https://www.ddanzi.com/index.php?mid=free&page=2&document_srl=818170065

  • 2. 부동산
    '24.8.22 3:23 PM (183.109.xxx.110)

    최근 중국에서 큰 이슈인 94년생 엘리트 여성의 죽음
    https://theqoo.net/square/3372501951
    ------------------------------------------------
    중국에서 엘리트 코스 달리던 여성이
    30억 주택을 20억 대출 내서 구매하고
    경기가 안 좋아지자 연봉 높던 좋았던 직장도
    연봉이 깍이게 된 이후 ...
    이게 남일같지 않아서 참 걱정됩니다.

  • 3. ..
    '24.8.22 3:23 PM (182.214.xxx.17)

    새마을금고가 상반기에만 대출금 등 채권 2조원을 부실채권(NPL)으로 정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분기에만 1조원이 넘는 추가 부실채권을 매각할 것으로 예상되며 재정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에도 2조원어치 부실채권을 추가로 매각했다. 올해 3분기 매각 예정분(1조2000억원)까지 고려하면 지난해와 올해를 합쳐 6조원가량의 대출금이 부실채권으로 처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실채권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실행한 대출 가운데 정상적으로 회수할 가능성이 낮은 금액을 뜻한다

    연체율도 좀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5.07%에서 올해 초 7%대 수준으로 오른 뒤 정체 수순이다.



    ....

  • 4. 인터뷰
    '24.8.22 3:24 PM (125.184.xxx.70) - 삭제된댓글

    길어도 충분히 다 볼 가치가 있네요..이 정부의 꼼수가 뭔지,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모르고 있다 당하는 것 보다 알고는 있어야겠습니다.

  • 5. 인터뷰
    '24.8.22 3:28 PM (125.184.xxx.70)

    길어도 충분히 다 볼 가치가 있네요..이 정부의 꼼수가 뭔지,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모르고 있다 당하지 말고 알고는 있어야겠습니다.

  • 6. 내용중
    '24.8.22 3:30 PM (125.184.xxx.70)

    집값을, 집값이 떨어져서
    불만인 사람들이 그리고 집은 여러 채 있는데.
    집값이 떨어져서 지금 팔아봐야
    손해날 사람들이 이 정책을 하는 거예요.
    그래서 집값 쭉 끌어올릴 때 빨리 팔아. 떠넘기고
    총수가 얘기합니다.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런 어떤 시장의 엄중한 상황이잖아요.
    가격이 폭등하고 있고 정책이 나오고 있는데.
    이 언론의 반응이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그러니까 언론이 그러면 집값을 안정시켜라.
    이런 요구들을 해야 되는데
    기사를 한번 보실까요? 환호로 바뀌었어요

  • 7. 내용중
    '24.8.22 3:31 PM (125.184.xxx.70)

    그러니까 예전에 집값이 오를 때 하고는
    완전히 다른 반응이에요.
    그러니까 이렇게 나오면 무주택자는
    어떻게 집 사냐, 빨리 집값 안정시켜야,
    이런 얘기들이 나와야 되잖아요.

  • 8. 내용중
    '24.8.22 3:32 PM (125.184.xxx.70)

    무주택자에 대한 주거 안정책은
    무주택자도 집을 쉽게 살 수 있게
    만들어 줘야 되는 게, 정책이지.
    집값을 끌어올린 다음에 대출을 받아야
    어떻게 무주택자에 대한 정책일 수가 있어요.
    총수가 얘기합니다.

    근데 그걸 비판하고 얘기를 해야 되는데
    이제 환호로 바뀌었습니다.
    이게 극명하게 다른 점인데.
    문재인 정부 때 집값이 크게 오를 때
    여러 가지 문제가 컸지 않습니까?

    그때는 정책 실패. 막 분노. 파탄 막

  • 9. ...
    '24.8.22 4:23 PM (1.237.xxx.240)

    부동산 불패신화 대단했던 중국 70~80프로 폭락했다고 하던데...
    우리도 결국 일본 중국 따라갈 듯

  • 10. 언론쓰렉
    '24.8.22 4:32 PM (14.63.xxx.106)

    그러니까요. 집값 올라 다 벼락거지 됐다면서 계층 사다리를 끊었네 어쩌네 하던 언론들이 최근 집값 오르고 거래량 늘었다고 설레는 투로 기사를 쏟아내던데요. ㅎㅎㅎ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레기들의 한입으로 두말하기가 마치 선생님들은 음료 한 잔도 사드리면 안되지만 대통령 부인에겐 디올백 정도는 감사의 표시라고 하는 검찰같네요 ㅎㅎㅎ

  • 11. 1111
    '24.8.22 4:43 PM (218.48.xxx.168)

    벼락거지들 어쩌나요 윤 밀어줬을텐데 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7070 잠적이라는 다큐? 3 ㅇㅇ 2024/08/28 1,077
1617069 결국 다 이렇게 될일이었나. 3 올것이오고있.. 2024/08/28 2,883
1617068 고1 학교 상담 가나요? 9 gj 2024/08/28 850
1617067 코로나 새변이 기승… 기존 백신만 755만회분 수입한 정부 17 .. 2024/08/28 3,177
1617066 스타우브 그릴팬 7 .. 2024/08/28 864
1617065 남자들은... 여행 숙소 진짜 이상한데 잡네요 11 .. 2024/08/28 3,938
1617064 “초 단위로 때려…내 새끼 살해해 좋냐” 태권도장 5살 학대 사.. 28 아이고 2024/08/28 5,510
1617063 자기 방 놔두고 거실에서 공부하는 딸 88 .. 2024/08/28 7,298
1617062 국민학교때 즐기던 문화는 떠오르면 좀 슬픈 감정이 드는데 1 .. 2024/08/28 1,076
1617061 아로마 오일 라벤더 긴장감 완화에 도움될까요? 2 5010 2024/08/28 556
1617060 통밀빵 검색하는 데 쿠팡리뷰 4 ㄱㄴㄷ 2024/08/28 1,905
1617059 아침 저녁으로 시원해서 행복했는데 3 ........ 2024/08/28 2,630
1617058 14억정도 상가인데 12 ㄴㅇㄷ 2024/08/28 3,999
1617057 전세 살고 있는데, 집주인이 집을 팔고 싶어 합니다. 20 심란함 2024/08/28 3,523
1617056 신사역에서 택시 타고 동탄가는게 버스보다 느릴까요? 7 .. 2024/08/28 904
1617055 50대 말많은 남자분 왜이리 거슬리죠 ㅠ 6 00 2024/08/28 2,223
1617054 증여세요 4 ..... 2024/08/28 1,167
1617053 드디어 길 고양이 데려왔어요. 27 나비 2024/08/28 2,481
1617052 정보사 군무원, 7년 전 중국 요원에게 포섭...1억 6천만원 .. 10 ㅇㅇ 2024/08/28 1,531
1617051 금방 담근 얼갈이김치 냉장고 언제 넣을까요? 2 얼갈이김치 2024/08/28 496
1617050 님들 최애과자는 뭔가요? 전 후렌치파이 ㅋㅋ 52 글쓴이 2024/08/28 2,815
1617049 옷태가 나는 비결을 알았어요 42 2024/08/28 24,709
1617048 가족력 아닌 유방암 6 유방암 2024/08/28 2,489
1617047 코스요리는 원래 포만감은 없나요? 15 이건 2024/08/28 1,303
1617046 자기 할말만 하고 뚝뚝 끊어버리는 상사 11 ryy 2024/08/28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