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진심으로 에어컨 없이 사신 선조들 존경합니다.

sai 조회수 : 2,472
작성일 : 2024-08-19 13:01:04

 

 

선조들뿐만 아니라 에어컨 없이 35까지 살았던 나에게도

 

위로 반 존경 반을 보냅니다... 

IP : 183.102.xxx.42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8.19 1:05 PM (222.233.xxx.137)

    저도 식구들이랑 옛날에 어떻게 살았을까 저절로 대화를 나눴네요
    반팔도 못입고 제대로 씻지도 못하고 얼마나 괴로워
    더위에 죽은 사람도 제법 있었을거야 하고

    저도 고등학생때까지 에어컨 없이 선풍기 두대로 어떻게 다섯식구가 살았는지 대단했네요

  • 2. 예전엔
    '24.8.19 1:06 PM (175.208.xxx.164)

    이정도로 덥지 않았어요. 7월 마지막주, 8월 첫주..2주만 무더웠어요. 어릴때 어른들이 10일 넘으면 바닷물에 못들어간다고 했거든요. 더위가 이렇게 길어진건 2016년부터..

  • 3. 도심
    '24.8.19 1:13 PM (219.249.xxx.181)

    건물 1층 가게들 밖에 세워진 대형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뜨거운 열기 체험해보신적들 있으신가요?
    소리는 또 얼마나 시끄럽고 거기서 뿜여져 나오는 불가마 수준의 열기에 1분만 서있으면 화상 입겠더라구요
    에어컨만 안틀어도 지구가 2-3도는 시원하겠다 생각했어요

  • 4. ...
    '24.8.19 1:13 PM (219.255.xxx.142) - 삭제된댓글

    어릴때는 정말 더운줄 몰랐던것 같아요.
    더워도 구슬땀 뚝뚝 흘리고 찬물에 씻으면 시원하고
    밤에도 선풍기로 그럭저럭 잘 만 했던 기억이네요.
    저 이십대 까지도 두꺼운 청바지 입고 삼복 더위에
    지리산 설악산 다 다녔어요.
    지금은 일단 공기가 너무 뜨거운게 각종 매연
    에어컨 실외기 바람등등 으로도 뜨겁고
    예전 흙바닥은 아스팔트 보다 덜 덥거든요.
    지열도 어마어마하고
    제가 약해진 이유도 있겠지요.

  • 5. 에이
    '24.8.19 1:14 PM (58.123.xxx.123)

    예전엔 이렇게 안더웠죠
    2000년 초반만해도 에어컨 없거나 안켜고.지내는 집들 많았고요.
    더워야 말복즈음 바짝 더웠고. 열대야도 없었고요

    30도 넘긴게 그리오래되지 않았어요
    아주 더울때 장마랑 겹쳐서 그럭저럭 시원하게 지나갔고요

  • 6.
    '24.8.19 1:14 PM (121.152.xxx.21)

    예전엔 이정도로 안더웠죠. 여름이 살기 좋던 시절였죠. 불 땔 걱정없고 먹거리 풍부하고. 겨울이 추워서 문제였죠.

  • 7. 80년대 학생
    '24.8.19 1:21 PM (211.234.xxx.180) - 삭제된댓글

    푹푹 찌는 더위에 보충수업 한다고 방학에도 등교 했던 기억 없으신가요?
    이사갔는데도 다니던 곳 다닌다고 초등 저학년 여름방학에
    버스 타고 한여름에 피아노 레슨 다닌 기억도 나요.
    더웠지만 그러려니 하고 타파 물통이라고 양념병 같은것을
    엄마가 물통이라고 사서 물 꽁꽁 얼려서 갖고 다녔네요.

  • 8. 222
    '24.8.19 1:21 PM (223.38.xxx.200) - 삭제된댓글

    건물 1층 가게들 밖에 세워진 대형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뜨거운 열기 체험해보신적들 있으신가요?
    소리는 또 얼마나 시끄럽고 거기서 뿜여져 나오는 불가마 수준의 열기에 1분만 서있으면 화상 입겠더라구요
    에어컨만 안틀어도 지구가 2-3도는 시원하겠다 생각했어요2222

    아파트도 실외기없는 1층은 꽤 선선해요.
    실외기 쭉 설치해놓고 뿜어대니 에어컨 안 켜고
    창문 열고 선풍기 커는 집은 그 실외기 열기 다 들어감.
    이런 말 하면 잡아먹으려고 하는게 82
    진심 세상이 미쳐돌아가는 중.
    모두가 에어컨 안 돌리면
    2도는 떨어짐
    2도면 하늘과 땅차이.
    인식의 변화가 없으면
    이제 한국 도심은 답이 없음
    갈수록 애를 안 낳을수 밖에

  • 9. 점점
    '24.8.19 1:22 PM (222.117.xxx.76)

    아파트숲을.이루고 더위가 극악스러워진거같아요 마당있고 이런 집에서 살때는.그늘은.서늘했어요

  • 10. 2222
    '24.8.19 1:23 PM (223.38.xxx.200)

    건물 1층 가게들 밖에 세워진 대형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뜨거운 열기 체험해보신적들 있으신가요?
    소리는 또 얼마나 시끄럽고 거기서 뿜여져 나오는 불가마 수준의 열기에 1분만 서있으면 화상 입겠더라구요
    에어컨만 안틀어도 지구가 2-3도는 시원하겠다 생각했어요2222

    아파트도 실외기없는 1층은 꽤 선선해요.
    실외기 쭉 설치해놓고 뿜어대니 에어컨 안 켜고
    창문 열고 선풍기 커는 집은 그 실외기 열기 다 들어감.
    진심 세상이 미쳐돌아가는 중.
    모두가 에어컨 안 돌리면
    2도는 떨어짐
    2도면 하늘과 땅차이.
    인식의 변화가 없으면
    이제 한국 도심은 답이 없음.
    갈수록 애를 안 낳을수 밖에
    이런말 하면 마구 비난하는게 82수준.

  • 11. 30도
    '24.8.19 1:25 PM (119.195.xxx.153) - 삭제된댓글

    어릴적 기억이
    여름에 30도 넘으면, 30도 넘었다고 뉴스에서 호들갑 떨었어요
    이제는 30도는 당연히 넘는것이 되어버렸지만

  • 12. ㅇㅇ
    '24.8.19 1:26 PM (223.38.xxx.63)

    예전엔
    80~90년대엔 대구가 33도라고 뉴스에 나왔어요.
    다른 지역은 그 이하였다는 얘기죠, 여름이어도.
    한여름이어도 28, 29도… 그럼 살 만하죠. 덜 더운 날도 있으니까.

    한여름에 시골 놀러갔을 때
    찬물로 씻고 수박 먹고 앉아 있으면 발이 차가워질 정도로 시원했던 거
    다들 비슷한 기억이 있지 않나요?

    …도시화가 여름을 더 덥게 만든 게 맞는 거죠. 우리가 다 느끼고 있잖아요 ㅠ

  • 13. ㅇㅇ
    '24.8.19 1:28 PM (223.38.xxx.63)

    어릴 때
    기와집 있는 시골에 놀러간 기억이 있는데요.

    대청마루에 앉아 있으면 집 뒤의 산 쪽에서 바람이 불었어요. 그 바람이 대청을 지나 집 마당 쪽으로 빠져나갔죠.
    에어컨 바람 같아! 생각한 기억이 있는데요,
    바람이 정말, 찼어요! 낮은 온도의 바람이었어요.

    우리 조상님들 사시던 때는 지금보다 훨씬 나았을 거예요…

  • 14. 맞아요
    '24.8.19 1:29 PM (211.234.xxx.70) - 삭제된댓글

    한여름도 28도쯤
    복중에 29~30이면 더운거고
    30도 늘 넘는 대구 보며 더워서 어떻게 사냐고 걱정했음

  • 15. ㅁㅁ
    '24.8.19 1:32 PM (112.187.xxx.168) - 삭제된댓글

    아주 옛날 농경사회시절엔 이런 불볕엔 안나갔어요
    새벽에 바짝 당겨 들일하고

    그리고 환경자체가 사방이 시멘트가 아닌 흙이며 나무라
    호홉이된다고 하나
    이렇게 튀기듯 삶듯 공포스런 더위는 아니었다는거요

  • 16. 이상기후
    '24.8.19 1:33 PM (172.225.xxx.224)

    기후변화로 지구 온도가 매년 오르고 있잖아요. 앞으로 더할거임

  • 17. 옛날엔
    '24.8.19 1:38 PM (183.100.xxx.131)

    열대야란 말이 없었어요
    낮에도 그늘은 시원했고
    밤에 모깃불 피워 놓아도 시원했죠

  • 18. 7월
    '24.8.19 1:45 PM (183.97.xxx.120)

    마지막 주엔 중소기업이나 상가들 전부 여름 휴가로
    다들 쉬었어요
    시골이 고향인 사람들은 시골로 내려가고
    바다로 산으로 수영가고 나무 그늘에 텐트치고 지냈고요
    도시가 34도 최고치라고 뉴스에 나와도
    설악산 나무그늘 텐트속엔 30도가 안넘고
    새벽엔 추웠어요
    대구에선 팔공산 근처 공원에 텐트를 쳐놓고
    출퇴근하던 사람들도 tv 뉴스로 나왔고요
    더 어린 시절엔 어름 사서 수박화채 만들어 먹고
    너무 더우면 등목을 하거나
    밤에 개울에 들어가 목욕을 했고요
    복날엔 농삿일을 멈추고 솥단지 가지고 냇가로 가서
    닭을 삶아 먹기도 했지요
    한 여름에도 땔감으로 아궁이에 불피우면서
    더위에 적응된 것도 있고요

  • 19. ..
    '24.8.19 2:07 PM (203.236.xxx.4) - 삭제된댓글

    예전엔 교실에 70명씩 있었어도 선풍기하나 없었는데요. 그때도 여름은 더웠지만 그늘은 시원했고, 무엇보다 여름이 습하진 않았어요.

  • 20. 그땐
    '24.8.19 2:13 PM (211.114.xxx.107) - 삭제된댓글

    이렇게 덥지 않았어요.

    저 어릴때 아주 깡촌에서 살았는데 그 당시엔 선풍기 있는 집도 별로 없어 다들 부채로 버텼죠. TV가 귀하던 시대라 저녁 먹고나면 동네 어르신들이 죄다 우리집으로 몰려와 선풍기 바람 쐬면서 TV도 보고 야식도 나눠먹고 그랬어요.

  • 21. ㅇㅇ
    '24.8.19 2:33 PM (118.220.xxx.220)

    옛날엔 샤워하고 누우면 선풍기 안틀고도 한여름에 잘 잤는데 온도가 많이 달라졌어요

  • 22. ㅇㅇ
    '24.8.19 2:37 PM (222.235.xxx.193)

    73년생인데
    어려서 열대야란 말이 없던건 아니었죠
    밤 온도가 25도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면 열대야였고
    다음날 뉴스에 나왔어요. 일년에 서너번.
    너무 더워서 한강변 나왔요 하는 인터뷰 하고

  • 23. 나는
    '24.8.19 2:57 PM (58.29.xxx.66)

    평생 에어컨 안 사고 살겠다
    더운건 참을 수 있다, 추운것이 힘들지………했는데

  • 24. 2000년도
    '24.8.19 4:16 PM (222.119.xxx.18)

    부산 해운대로 이사왔는데
    선풍기 켜지 않고 여름을 보냈어요.
    실화입니다.

  • 25. al
    '24.8.20 10:14 AM (221.145.xxx.235) - 삭제된댓글

    어렸을때 동네 아줌나가 '아유 오늘은 25도까지 올라간대. 어떻게 살아?' 라는 멘트가 기억나네요. 수십년전에는 그렇게 안 더웠던것 같아요

  • 26. nn
    '24.8.20 10:15 AM (221.145.xxx.235)

    어렸을때 동네 아주머니의 '아유~ 오늘은 25도까지 올라간대. 어떻게 살아?' 라는 멘트가 기억나네요. 수십년전에는 그렇게 안 더웠던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1820 라자냐 냉동보관 어떻게 할까요? ………… 2024/10/20 577
1631819 레이지보이 스트레스리스? 14 ㅇㅇ 2024/10/20 1,833
1631818 가방안에 먹을거 뭐 있으세요? 26 저는 2024/10/20 3,235
1631817 고구마줄기용 고구마가 따로 있나요? 10 고구마 2024/10/20 1,642
1631816 생리통, 생리대 - 딸만 있는 아빠들은 늘상 사용하는 용어지요?.. 13 생리 2024/10/20 3,291
1631815 커피숍 인테리어가 2억이라는데 3 샤호 2024/10/20 2,421
1631814 포스코도 처음으로 희망퇴직 받고 줄줄이 몸집 줄이는데 7 희망 2024/10/20 3,015
1631813 라디오 FM 실황음악 오래 들으시는 분~  6 .. 2024/10/20 812
1631812 남자들은 ㅈ@뺑이 친다는 말 정도를 흔하게 쓰나요? 15 .... 2024/10/20 3,961
1631811 견과류 먹고 변비생기나요? 1 견과 2024/10/20 1,062
1631810 이토록 친밀한. . . 찰떡인 배우 13 . . . 2024/10/20 4,557
1631809 앞으로도 집값 쭉쭉 오른대요. 25 무조건 2024/10/20 8,111
1631808 윤리와사상 777 2024/10/20 637
1631807 K-차녀 힘드네요. 18 .. 2024/10/20 5,060
1631806 금수저 전문직의 스타일 9 ... 2024/10/20 3,714
1631805 미국여행 3주 가는데요 6 여행무식자 2024/10/20 1,962
1631804 초등 학폭위 관련 여러 질문 5 ㅇㅇㅇ 2024/10/20 1,054
1631803 아킬레스건 끊어줄게"…'욕설 협박' 친윤·친한 감정 대.. 3 천박해 2024/10/20 1,426
1631802 모카포트로 라떼 만드는 법요 10 알려주세요 2024/10/20 1,356
1631801 부동산은 82 반대로 26 000 2024/10/20 3,184
1631800 문다혜보니 경력단절되면 재취업 진짜 어려운 것 같아요 53 apple 2024/10/20 7,033
1631799 축의금요 1 이월생 2024/10/20 716
1631798 며늘 전화. 방문 필요없는 시모. 24 .... 2024/10/20 5,677
1631797 정년이 연기가 너무 과장된거 아닌가요 34 ... 2024/10/20 6,252
1631796 유산 얼마나 받으시나요 41 ... 2024/10/20 6,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