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택 사시는 분들 올여름 어떠신가요?

.. 조회수 : 3,147
작성일 : 2024-08-19 12:21:28

더운거야 똑같겠지만 실외기실 남의집 뜨거운 바람은 없을 듯 한데 그래도 환기하고 싶을때 맘대로 하고 마당 빨래 널고 여름밤은 아파트 보다 좀 쾌적하지 않으신가요?

겨울에 추운거 말고 한여름만 봤을때요..

IP : 118.235.xxx.237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8.19 12:23 PM (125.128.xxx.181) - 삭제된댓글

    단열 잘 된 20년 된 단층주택인데
    한여름엔 마당 나무가 우거지는데다
    한낮 땡볕은 암막커튼 치고
    에어콘 약하게 틀고
    이러면 서늘해요
    집마다 사정은 다를 듯

  • 2. ..
    '24.8.19 12:24 PM (118.235.xxx.237)

    앞으로도 이런 더위가 될 것같은 느낌이 들어요
    저녁에 실외기 열 단체로 뿜어대고 가동소음이 장난이 아닌 아파트를 좀 피해볼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ㅜㅜ

  • 3. 나는나
    '24.8.19 12:26 PM (39.118.xxx.220)

    주택의 습기는 어떤가요? 기온보다 습도가 더 무서워서요.

  • 4. ...
    '24.8.19 12:26 PM (125.128.xxx.181) - 삭제된댓글

    습도 높습니다
    제습기 필수고요
    제습기 있으면 별 불편은 없어요

  • 5. 올여름
    '24.8.19 12:28 PM (118.235.xxx.237)

    습기는 아파트도 대단하네요 주택은 더 심하다는 거겠지요?

  • 6. 주택
    '24.8.19 12:29 PM (106.101.xxx.79) - 삭제된댓글

    습도높고
    일거리 많고..
    저는 젤 걱정되는게 보안문제요.(캡스같은거 달면 되겠지만..)
    아파트가 그래도 젤 보안걱정없는듯 해서
    한여름 한달정도 더위땜에 주택이사는..

  • 7. ㅁㅁ
    '24.8.19 12:34 PM (112.187.xxx.168) - 삭제된댓글

    차원 다르죠
    층간소음 스트레스 받을일없고
    습도 ?에어컨 없던 시절얘기죠
    그놈의 보안타령도 웃기고

    안살아본이들이 보통 그런말 하죠

  • 8.
    '24.8.19 12:36 PM (222.120.xxx.110)

    8년째 단독들 모여있는 타운하우스살고있는데 에어컨은 항상 25로 맞춰놓고 자기전에 송풍3시간 예약하고 자요. 자다가 더워서 깨는 일은 없었구요. 습기는 거실의경우 에어컨 제습으로 틀고
    각 방에는 제습기 가끔 돌려주니 괜찮아요.
    요즘 해가 좋아서 이불빨래 널기 너무 좋긴해요. 이불이나 베개ㅠ인형들 모조리 일광소독되라고 건조대에 그냥 널어놓으면 금새 뜨거워집니다.
    잔디는 오후쯤 나가서 물한번 쫙 뿌려주니 아주 잘 자라네요.
    저는 단독의 맛을 알아버려서 이제 아파트로 다시 이사못갈듯합니다.

  • 9. 윗님
    '24.8.19 12:36 PM (106.101.xxx.212) - 삭제된댓글

    저 주택에만 17년 살았어요
    보안타령아니고
    도둑 들어요ㅠ
    근데 요즘은 캡스같은거 있으니까
    돈쓰면 괜찮긴하겠죠

  • 10. 222님
    '24.8.19 12:42 PM (118.235.xxx.237)

    댓글보고 또 두근거리네요 작년부터 주택이 아른거려요 남편은 저만 선택하면 가자는쪽이고요 아파트의 편리성으로 밀어내고 있는데 올여름은 유독 아파트가 답답하고 힘겹네요

  • 11. 저는
    '24.8.19 12:43 PM (182.219.xxx.134)

    오래된 주택(빨간 벽돌 단층) 태양광 설치해서 살아요.
    제습기 2대 돌리고 방마다 실링팬 달고 벽걸이 에어컨으로 살만합니다. 댓글처럼 주택은 집집마다 상황따라 진짜 케바케입니다.

  • 12. ..
    '24.8.19 12:48 PM (58.79.xxx.33)

    주택은 캐바캐에요.

  • 13. . .. .
    '24.8.19 12:50 PM (59.29.xxx.152)

    장점 :주차 (바로앞이집이니), 층간소음없는거,빨래나 가전제품 맘대로가동, 계절을 그대로 느낄수 있는거, 상당히 조용함

    단점: 여름습도,겨울눈(마당쓸기 등), 벌레와동거 , 집 안밖으로 관리(이거 돈많이 듬), 보안문제 (캡스나 cctv로 해결가능)

  • 14.
    '24.8.19 12:50 PM (175.120.xxx.173)

    습도는 에어컨 약하게 틀어도 금방 잡혀요.
    바퀴는 일년에 두번 정도 왕바퀴 본 적 있고
    층간소음 없어서 좋고
    옥상 있으니 소소한 행복 누리기에 좋았어요.

  • 15. 시골주택
    '24.8.19 12:52 PM (182.214.xxx.63)

    차광막 사다 옥상이랑 서향부분에 달았더니 한결 시원해요.
    태양광 있어서 에어컨 돌려도 부담 덜하고요.
    지금은 실링팬+선풍기로 시원해요.

    동네 끝집이라 사람들 간섭도 없고(동네 분들이 점잖으심.)
    3년 사는동안 누구 들어오고 이런적도 없어요.

    요새는 밤에 풀벌레들이 우는데 너무나 좋네요.
    초여름에는 개구리가 우는데 이젠 벌레소리로 바뀌었어요.

    30년된 주택 싹 고쳐서 왔는데 벌레나 모기 들어오고 이런것도 없어요.
    불편한 점은 분리수거요.
    어르신들은 그냥 봉투에 다 버리시는것 같은데
    차마 그럴수가 없어서 차타고 5분 가면 있는 곳에 가서 버리거든요.

  • 16. . .. .
    '24.8.19 12:54 PM (59.29.xxx.152)

    돈있으면 주택 강추해요

  • 17. 그리고
    '24.8.19 12:57 PM (222.120.xxx.110)

    태양광을 2개 달아서 전기세는 한여름제외하고는 기본료만 내고있어요. 저번달에 전기세 2만원 나왔네요.
    보안이 걱정된다면 나홀로 단독말고 저처럼 모여있는 단독으로 가는게 안전하죠. 마당이 옆집이랑 붙어있긴하지만 담을 어느정도 높이 쌓으면 프라이버시 걱정안해도되구요.
    전 단독으로 이사와서 제일 좋은게 주차하고 바로 집으로 들어간다는거 ㅋㅋ. 눈비올때 짐많을때 차에 놓고온 물건가지러갈때 최고 편해요.
    단점은. . 마당이나 폴딩설치되어있는 테라스같은 공간들 관리가 필요하다는거. 근데 대저택아니면 사실 이것도 할만합니다.
    저도 어느순간 아파트에서 사는게 갑자기 너무 싫어져서 단독으로 가게된거였어요. 한번 가고싶다는 생각들면 웬만해선 포기가 안되서 그때부터 열심히 알아보고다녔어요. 꼭 실제로 현장답사해보세요.
    경제적 여유가 있으시다면 도심에서 멀지않은 단독주택 타운하우스 추천합니다. 전 아무리 집이 근사하고 멋져도 도심이랑 멀리 떨어진 집은 제외시켰어요.

  • 18.
    '24.8.19 1:41 PM (39.7.xxx.74)

    자세한 설명들 너무 감사드립니다 고민을 한참 더 해야겠지만 주신 댓글들이 그래도 도움이 많이 될듯합니다

  • 19. 아~
    '24.8.19 3:45 PM (223.39.xxx.198)

    나름 주택도 케바케~~모두 다르겠지요

    주택은 여러가지 ᆢ집관리,ᆢ보수가 제일
    신경쓰일것 같아요

    ᆢ현재 주거하는 분들 ᆢ어떻게 하나요?
    1년에 못1개 안박는 솜씨여서요

    아파트는 관리실이 있으니 인터폰하면
    관리실에서 직원ᆢ보내서 후다닥ᆢ아니면
    어떻게 수리하라고 하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5934 여론조사 조작질 이거 사형감 7 성괴 2024/11/02 1,013
1635933 동재 드라마 너무 재밌어요 14 동재 2024/11/02 2,083
1635932 월계 이마트앞인데 11 ........ 2024/11/02 3,304
1635931 민주당 야당 단독 개헌 추진으로 대통령 하야 시킬수있는건가요 17 ........ 2024/11/02 1,890
1635930 아고다에서 호텔보고 있는데요 3 현소 2024/11/02 1,196
1635929 새치머리인데 염색 vs 펌 뭘 할까요 4 00 2024/11/02 1,860
1635928 어릴때 그림책 좋아하면 학습능력도 좋나요? 13 아이 2024/11/02 1,147
1635927 거실에 놔둘 세련된 카페트 살수있는곳 추천해주세요 3 카페트 2024/11/02 738
1635926 한동훈딸도 조사할수 있겠죠?? 15 ㄴㄷ 2024/11/02 2,051
1635925 인터넷이며 티비접속이 안되는데요.. Lg U .. 2024/11/02 244
1635924 나솔 22기 어제 다 보고 느낀 점요 5 너무 늦었어.. 2024/11/02 3,365
1635923 차인표 보고 유시민인가 했어요 9 지나가다 2024/11/02 3,270
1635922 尹 지지율 17%, 모든 여론조사기관 통틀어 역대 최저치 8 엠브레인퍼블.. 2024/11/02 2,428
1635921 [조언 요청] 길냥이의 눈알; 하나가 사라져버렸는데요... ㅜㅜ.. 9 phrena.. 2024/11/02 1,009
1635920 세수하고 맨처음 뭐 바르세요? 3 모모 2024/11/02 1,481
1635919 화장 지우는 기계 써 보신분 있나요? 2 2024/11/02 1,222
1635918 고등아이 영양제 추천부탁드려요 8 궁금이 2024/11/02 743
1635917 단풍여행 시작인가봐요 5 당일치기 2024/11/02 1,868
1635916 왜 마트에 참조기가 없을까요 조기 2024/11/02 370
1635915 잡곡 90%로 먹는데 너무 많이 나와요 4 잡곡 2024/11/02 3,467
1635914 단풍철 호암미술관 예약안하고 가도 될까요? 2 ㅇㅇ 2024/11/02 1,270
1635913 서울에 집 살 수 있을까요? 15 정착 2024/11/02 3,485
1635912 아빠가 이제 지치는지 19 .. 2024/11/02 4,914
1635911 예비고1 수학 최상위권 아이들은 고등 전에 어디까지 선행하나요?.. 5 예비고1 2024/11/02 1,554
1635910 홍준표.../펌 jpg 13 2024/11/02 2,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