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택 사시는 분들 올여름 어떠신가요?

.. 조회수 : 3,079
작성일 : 2024-08-19 12:21:28

더운거야 똑같겠지만 실외기실 남의집 뜨거운 바람은 없을 듯 한데 그래도 환기하고 싶을때 맘대로 하고 마당 빨래 널고 여름밤은 아파트 보다 좀 쾌적하지 않으신가요?

겨울에 추운거 말고 한여름만 봤을때요..

IP : 118.235.xxx.237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8.19 12:23 PM (125.128.xxx.181) - 삭제된댓글

    단열 잘 된 20년 된 단층주택인데
    한여름엔 마당 나무가 우거지는데다
    한낮 땡볕은 암막커튼 치고
    에어콘 약하게 틀고
    이러면 서늘해요
    집마다 사정은 다를 듯

  • 2. ..
    '24.8.19 12:24 PM (118.235.xxx.237)

    앞으로도 이런 더위가 될 것같은 느낌이 들어요
    저녁에 실외기 열 단체로 뿜어대고 가동소음이 장난이 아닌 아파트를 좀 피해볼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ㅜㅜ

  • 3. 나는나
    '24.8.19 12:26 PM (39.118.xxx.220)

    주택의 습기는 어떤가요? 기온보다 습도가 더 무서워서요.

  • 4. ...
    '24.8.19 12:26 PM (125.128.xxx.181) - 삭제된댓글

    습도 높습니다
    제습기 필수고요
    제습기 있으면 별 불편은 없어요

  • 5. 올여름
    '24.8.19 12:28 PM (118.235.xxx.237)

    습기는 아파트도 대단하네요 주택은 더 심하다는 거겠지요?

  • 6. 주택
    '24.8.19 12:29 PM (106.101.xxx.79) - 삭제된댓글

    습도높고
    일거리 많고..
    저는 젤 걱정되는게 보안문제요.(캡스같은거 달면 되겠지만..)
    아파트가 그래도 젤 보안걱정없는듯 해서
    한여름 한달정도 더위땜에 주택이사는..

  • 7. ㅁㅁ
    '24.8.19 12:34 PM (112.187.xxx.168) - 삭제된댓글

    차원 다르죠
    층간소음 스트레스 받을일없고
    습도 ?에어컨 없던 시절얘기죠
    그놈의 보안타령도 웃기고

    안살아본이들이 보통 그런말 하죠

  • 8.
    '24.8.19 12:36 PM (222.120.xxx.110)

    8년째 단독들 모여있는 타운하우스살고있는데 에어컨은 항상 25로 맞춰놓고 자기전에 송풍3시간 예약하고 자요. 자다가 더워서 깨는 일은 없었구요. 습기는 거실의경우 에어컨 제습으로 틀고
    각 방에는 제습기 가끔 돌려주니 괜찮아요.
    요즘 해가 좋아서 이불빨래 널기 너무 좋긴해요. 이불이나 베개ㅠ인형들 모조리 일광소독되라고 건조대에 그냥 널어놓으면 금새 뜨거워집니다.
    잔디는 오후쯤 나가서 물한번 쫙 뿌려주니 아주 잘 자라네요.
    저는 단독의 맛을 알아버려서 이제 아파트로 다시 이사못갈듯합니다.

  • 9. 윗님
    '24.8.19 12:36 PM (106.101.xxx.212) - 삭제된댓글

    저 주택에만 17년 살았어요
    보안타령아니고
    도둑 들어요ㅠ
    근데 요즘은 캡스같은거 있으니까
    돈쓰면 괜찮긴하겠죠

  • 10. 222님
    '24.8.19 12:42 PM (118.235.xxx.237)

    댓글보고 또 두근거리네요 작년부터 주택이 아른거려요 남편은 저만 선택하면 가자는쪽이고요 아파트의 편리성으로 밀어내고 있는데 올여름은 유독 아파트가 답답하고 힘겹네요

  • 11. 저는
    '24.8.19 12:43 PM (182.219.xxx.134)

    오래된 주택(빨간 벽돌 단층) 태양광 설치해서 살아요.
    제습기 2대 돌리고 방마다 실링팬 달고 벽걸이 에어컨으로 살만합니다. 댓글처럼 주택은 집집마다 상황따라 진짜 케바케입니다.

  • 12. ..
    '24.8.19 12:48 PM (58.79.xxx.33)

    주택은 캐바캐에요.

  • 13. . .. .
    '24.8.19 12:50 PM (59.29.xxx.152)

    장점 :주차 (바로앞이집이니), 층간소음없는거,빨래나 가전제품 맘대로가동, 계절을 그대로 느낄수 있는거, 상당히 조용함

    단점: 여름습도,겨울눈(마당쓸기 등), 벌레와동거 , 집 안밖으로 관리(이거 돈많이 듬), 보안문제 (캡스나 cctv로 해결가능)

  • 14.
    '24.8.19 12:50 PM (175.120.xxx.173)

    습도는 에어컨 약하게 틀어도 금방 잡혀요.
    바퀴는 일년에 두번 정도 왕바퀴 본 적 있고
    층간소음 없어서 좋고
    옥상 있으니 소소한 행복 누리기에 좋았어요.

  • 15. 시골주택
    '24.8.19 12:52 PM (182.214.xxx.63)

    차광막 사다 옥상이랑 서향부분에 달았더니 한결 시원해요.
    태양광 있어서 에어컨 돌려도 부담 덜하고요.
    지금은 실링팬+선풍기로 시원해요.

    동네 끝집이라 사람들 간섭도 없고(동네 분들이 점잖으심.)
    3년 사는동안 누구 들어오고 이런적도 없어요.

    요새는 밤에 풀벌레들이 우는데 너무나 좋네요.
    초여름에는 개구리가 우는데 이젠 벌레소리로 바뀌었어요.

    30년된 주택 싹 고쳐서 왔는데 벌레나 모기 들어오고 이런것도 없어요.
    불편한 점은 분리수거요.
    어르신들은 그냥 봉투에 다 버리시는것 같은데
    차마 그럴수가 없어서 차타고 5분 가면 있는 곳에 가서 버리거든요.

  • 16. . .. .
    '24.8.19 12:54 PM (59.29.xxx.152)

    돈있으면 주택 강추해요

  • 17. 그리고
    '24.8.19 12:57 PM (222.120.xxx.110)

    태양광을 2개 달아서 전기세는 한여름제외하고는 기본료만 내고있어요. 저번달에 전기세 2만원 나왔네요.
    보안이 걱정된다면 나홀로 단독말고 저처럼 모여있는 단독으로 가는게 안전하죠. 마당이 옆집이랑 붙어있긴하지만 담을 어느정도 높이 쌓으면 프라이버시 걱정안해도되구요.
    전 단독으로 이사와서 제일 좋은게 주차하고 바로 집으로 들어간다는거 ㅋㅋ. 눈비올때 짐많을때 차에 놓고온 물건가지러갈때 최고 편해요.
    단점은. . 마당이나 폴딩설치되어있는 테라스같은 공간들 관리가 필요하다는거. 근데 대저택아니면 사실 이것도 할만합니다.
    저도 어느순간 아파트에서 사는게 갑자기 너무 싫어져서 단독으로 가게된거였어요. 한번 가고싶다는 생각들면 웬만해선 포기가 안되서 그때부터 열심히 알아보고다녔어요. 꼭 실제로 현장답사해보세요.
    경제적 여유가 있으시다면 도심에서 멀지않은 단독주택 타운하우스 추천합니다. 전 아무리 집이 근사하고 멋져도 도심이랑 멀리 떨어진 집은 제외시켰어요.

  • 18.
    '24.8.19 1:41 PM (39.7.xxx.74)

    자세한 설명들 너무 감사드립니다 고민을 한참 더 해야겠지만 주신 댓글들이 그래도 도움이 많이 될듯합니다

  • 19. 아~
    '24.8.19 3:45 PM (223.39.xxx.198)

    나름 주택도 케바케~~모두 다르겠지요

    주택은 여러가지 ᆢ집관리,ᆢ보수가 제일
    신경쓰일것 같아요

    ᆢ현재 주거하는 분들 ᆢ어떻게 하나요?
    1년에 못1개 안박는 솜씨여서요

    아파트는 관리실이 있으니 인터폰하면
    관리실에서 직원ᆢ보내서 후다닥ᆢ아니면
    어떻게 수리하라고 하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0686 강혜경 "김 여사, 명태균 조언 듣고 엘리자베스 여왕 .. 18 0000 2024/10/22 6,069
1640685 요새 좋은 신곡들 많네요!! 12 ... 2024/10/22 2,108
1640684 미테구청, 소녀상 설치 반대 위해 온갖 논리 총동원 1 light7.. 2024/10/22 585
1640683 마라톤 여러개 신청하는 분들 계세요? 2 초보 2024/10/22 823
1640682 어려운 일과 쉬운 일 중 어느 걸 먼저 하세요? 14 2024/10/22 2,332
1640681 저도 친구한테 호구일까요?? 29 ㅇㅇ 2024/10/22 6,499
1640680 이 상황에서 어떤일을 가장 먼저 하시는지요? 40 아기와나 2024/10/22 4,927
1640679 요즘 나오는 설도 복숭아는 저장했다 나오는건가요? 5 궁금 2024/10/22 1,577
1640678 크라운 치료할때 돈을 50프로 미리 내는게 일반적인가요 7 00 2024/10/22 1,399
1640677 김과 명, 그들의 과거가 악몽의 현실이 되었다 6 쥴리와 폰팔.. 2024/10/22 1,778
1640676 고양이 입양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10 캣할맘 2024/10/22 1,635
1640675 나는 윤거니가 10 ㅇㅇㅇ 2024/10/22 2,495
1640674 극세사 이불 좋아요 12 극세사 2024/10/22 3,167
1640673 지금 로마나 피렌체에 계시는 분 3 떠나자 2024/10/21 1,160
1640672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 강강스포 11 이친자 2024/10/21 4,137
1640671 삼성폰 외국에서 12 쌤쏭 2024/10/21 2,598
1640670 안 낳으려다가 낳은 자식.. 50 막내딸 2024/10/21 20,211
1640669 근데 유재석은 어찌됐든 정말 대단한거같아요 9 유유 2024/10/21 5,193
1640668 요즘 과일 뭐 드시나요? 27 비싸 2024/10/21 5,495
1640667 그 부인은 그 어마어마한 친정배경에도 어떻게 22 ㅑㅑㅑ 2024/10/21 19,387
1640666 와 이젠 손으로 대충 써도 텍스트 변환이 거의 되네요 ..... 2024/10/21 1,124
1640665 단기 테솔 해보신 분 얘기 듣고 싶어요.  2 .. 2024/10/21 829
1640664 전 제니노래가 더 좋은데 16 ㅌㅊㅊ 2024/10/21 2,868
1640663 진짜 가난의 힘든 점은 57 ㄷㅈㅂ 2024/10/21 25,519
1640662 근데 박지윤은 이혼의 결정적 원인이 된 58 .. 2024/10/21 26,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