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고딩 자녀 동기부여는 어떻게 해주시나요?

조회수 : 1,075
작성일 : 2024-08-16 14:53:39

중고등 두 아들 공부 안합니다.

할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자녀 동기부여는 아이들 스스로 생겼나요?

부모 둘다 전문직이라 나쁜 유전자는 아닐건데..

중고등 열심히 하는 아이들은 부모님께서 어떤 말씀들을 해주시나요?

아니면 아이 스스로 그냥 해야 한다 생각하고 학원도 열심히 다니고 공부도 알아서 하나요?

 

공부 잘하는거 바라는거 아니고요..

그냥 학원 가는것도 당연하게, 공부 해야 하는것도 당연하게 여기면 좋겠는데

그게 안됩니다.

결핍이 없어서 그런걸까요??

 

정말 갑갑합니다.

 

부모는 학창시절 모범생, 일도 철저히 하기에 ....

불성실하고, 학원도 맨날 빠지고, 자주 옮기고, 학원 숙제도 잘 안해가고, 공부도 시험기간 아니면 아예 손도 안대고...이해할수가 없네요..공부에 재능이 없는건 알겠는데....뭐 그렇다고 포기할 수도 없고,

도대체 동기 부여를 어찌 해줘야 할지..모르겠습니다.

 

IP : 14.50.xxx.7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8.16 2:56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부모가 전문직이면 더 잘 아실텐데요.
    보통 과제나누기를 해서 목표에 대한 부담을 줄여 따라가게 해주죠.

  • 2.
    '24.8.16 3:05 PM (219.241.xxx.152)

    과제나누기란 과제를 줄여주라는 건가요?
    원글은 아니지만 이해가 안 가네요
    고등엄마로서 전문직이 아니라 이해가 안 가나

  • 3. 원글
    '24.8.16 3:13 PM (14.50.xxx.77)

    이런거 저런거 해봐도 애가 안따라 오네요.
    고2 아들은 중등까지 올백받았을정도로 잘했는데 고등와서 아예 공부를 놔버렸고,
    중3아들은 그런 고등 형아 보면서 덩달아...일찌감치 놔버렸어요.

  • 4.
    '24.8.16 3:14 PM (106.101.xxx.63)

    거창하게는 얘기도 안되는 아들.

    먹는거 좋아하는 아이라서 돈 많아야 니가 먹고싶은거 사먹을수있다. 소고기 먹고싶어도 돈없으면 돼지고기먹는거고 그마저도 없으면 라면 먹어야된다.

    일단 넌 다른 재능은 없으니(예체능 다못함) 공부를 해야 좋은직업 가질수있다.

    나중에 결혼해서 최소한 자식한테 분유, 기저귀 등등을 최상급은 아니더라도 중간정도는 해주고싶지않냐고 했는데...이건 뭐 결혼 안한대요ㅠㅠ

    나름 동기부여 해줬는데 효과는 좀 있었어요. 공부열심히 하는 고딩됬어요. 돈벌어서 맛있는거 사먹는다고...

  • 5.
    '24.8.16 3:18 P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우리집 애들은 때가 아닌 것 같아서
    그냥 사이좋게만 지내고 있어요.
    군대만 다녀 왔네요.

    우리 부부만 열심히 사는 것 같아요 ㅎㅎㅎㅎ

    뭔가 찾아가겠죠.

  • 6. .....
    '24.8.16 3:31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주변에서 아무리 말로 뭐라해도 다 소용없어요.
    스스로 느껴야 그제야 움직이더라구요.
    수학머리 되는 애 중딩때 설렁설렁해도 성적 좀 나오니 프로게이머한다고 설치다가
    코로나를 중딩 중요시기에 ㅊ맞아서 그때 더더 게임몰입.. 헐..
    주거지가 경기권인데 대학가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않겠냐 했더니
    걍 주변에 있는 대학 가면 되는거 아니냐고...
    아니 공부잘하면 좋은데 갈수 있는데 왜 암데나 가냐..ㅎ고 말해줫지만 본인이 느끼질 못하니...

    그러다 집근처말고 일부러 자극받으라고 과고영재고떨이 오는 거리있는 학교로 보내려고
    1지망넣었고 그학교가 됐어요.
    평준화라 애들 다 잘하는 학교는 아닌데 최상위권은 과학선행 다 마치고 오는 애들있어서 접해보니 현실은 깨달은듯..
    고1때 그런 애들보고 충격받더니 목표세우고 열심히 달리더군요.
    이게 애마다 자극받는 지점과 동기부여 포인트가 다른 것 같아요.
    그 지점을 최대한 빨리 찾아내는 게 중요한데 어딘지 계속 찾아 헤매야하니..
    더구나 풍요로운 세대라 예전처럼 절실한 것도 없고..

  • 7. .....
    '24.8.16 3:34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주변에서 아무리 말로 뭐라해도 다 소용없어요.
    스스로 느껴야 그제야 움직이더라구요.
    수학머리 되는 애 중딩때 설렁설렁해도 성적 좀 나오니 프로게이머한다고 설치다가
    코로나를 중딩 중요시기에 ㅊ맞아서 그때 더더 게임몰입.. 헐..
    (입시설명회가보니 강사말이 코로나때 중딩중요시기 보낸애들이 작년부터 입시치르고 있는데 그전과 아주 양상이 다르다.)
    주거지가 경기권인데 대학가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않겠냐 했더니
    걍 주변에 있는 대학 가면 되는거 아니냐고...
    아니 공부잘하면 좋은데 갈수 있는데 왜 암데나 가냐..ㅎ고 말해줫지만 본인이 느끼질 못하니...

    그러다 집근처말고 일부러 자극받으라고 과고영재고떨이 오는 거리있는 고등학교로 보내려고
    1지망넣었고 그학교가 됐어요.
    평준화라 애들 다 잘하는 학교는 아닌데 최상위권은 과학선행 다 마치고 오는 애들있어서 접해보니 현실은 깨달은듯..
    고1때 그런 애들보고 충격받더니 목표세우고 열심히 달리더군요.
    그애들 과학고갈려고 미친듯 선행할때 지는 게이머한다고 설쳤던게 스쳐지나갔겠죠.. ㅎ
    이게 애마다 자극받는 지점과 동기부여 포인트가 다른 것 같아요.
    그 지점을 최대한 빨리 찾아내는 게 중요한데 어딘지 계속 찾아 헤매야하니..
    더구나 풍요로운 세대라 예전처럼 절실한 것도 없고..

  • 8. ..
    '24.8.16 3:37 PM (125.191.xxx.50) - 삭제된댓글

    절실함과 결핍이 없어서요
    당장 아쉬운 게 없으니 별 생각이 없죠
    결국은 본인이 정신차리는 것 밖에 없어요
    동기부여한다고 위인이 살아돌아와 얘기해준대도
    다 부질없어요

  • 9. .....
    '24.8.16 3:39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주변에서 아무리 말로 뭐라해도 다 소용없어요.
    스스로 느껴야 그제야 움직이더라구요.
    수학머리 되는 애 중딩때 설렁설렁해도 성적 좀 나오니 프로게이머한다고 설치다가
    코로나를 중딩 중요시기에 ㅊ맞아서 그때 더더 게임몰입.. 헐..
    (입시설명회가보니 강사말이 코로나때 중딩중요시기 보낸애들이 작년부터 입시치르고 있는데 그전애들과 아주 양상이 다르다. 본격 공부할 시기에 게임이나 딴짓 대환장파티를 했으니.. 고등은 입시생이니 긴장이라도 하는데 중딩은 긴장할 정도는 아니니까요.)

    주거지가 경기권인데 대학가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않겠냐 했더니
    걍 주변에 있는 대학 가면 되는거 아니냐고...
    아니 공부잘하면 좋은데 갈수 있는데 왜 암데나 가냐..ㅎ고 말해줫지만 본인이 느끼질 못하니...

    그러다 집근처말고 일부러 자극받으라고 과고영재고떨이 오는 거리있는 고등학교로 보내려고
    1지망넣었고 그학교가 됐어요.
    평준화라 애들 다 잘하는 학교는 아닌데 최상위권은 과학선행 다 마치고 오는 애들있어서 접해보니 현실은 깨달은듯..
    고1때 그런 애들보고 충격받더니 목표세우고 열심히 달리더군요.
    그애들 과학고갈려고 미친듯 선행할때 지는 게이머한다고 설쳤던게 스쳐지나갔겠죠.. ㅎ
    이게 애마다 자극받는 지점과 동기부여 포인트가 다른 것 같아요.
    그 지점을 최대한 빨리 찾아내는 게 중요한데 어딘지 계속 찾아 헤매야하니..
    더구나 풍요로운 세대라 예전처럼 절실한 것도 없고..

  • 10. ...
    '24.8.16 3:41 PM (110.13.xxx.200)

    주변에서 아무리 말로 뭐라해도 다 소용없어요.
    스스로 느껴야 그제야 움직이더라구요.
    수학머리 되는 애 중딩때 설렁설렁해도 성적 좀 나오니 프로게이머한다고 설치다가
    코로나를 중딩 중요시기에 ㅊ맞아서 그때 더더 게임몰입.. 헐..
    (입시설명회가보니 강사말이 코로나때 중딩중요시기 보낸애들이 작년부터 입시치르고 있는데 그전애들과 아주 양상이 다르다. 본격 공부할 시기에 줌수업켜놓고 게임이나 딴짓 대환장파티를 했으니.. 고등은 입시생이니 긴장이라도 하는데 중딩은 긴장할 정도는 아니니까요.)

    주거지가 경기권인데 대학가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않겠냐 했더니
    걍 주변에 있는 대학 가면 되는거 아니냐고...
    아니 공부잘하면 좋은데 갈수 있는데 왜 암데나 가냐..ㅎ고 말해줫지만 본인이 느끼질 못하니...

    그러다 집근처말고 일부러 자극받으라고 과고영재고떨이 오는 거리있는 고등학교로 보내려고
    1지망넣었고 그학교가 됐어요.
    평준화라 애들 다 잘하는 학교는 아닌데 최상위권은 과학선행 다 마치고 오는 애들있어서 접해보니 현실은 깨달은듯..
    고1때 그런 애들보고 충격받더니 목표세우고 열심히 달리더군요.
    그애들 과학고갈려고 미친듯 선행할때 지는 게이머한다고 설쳤던게 스쳐지나갔겠죠.. ㅎ
    이게 애마다 자극받는 지점과 동기부여 포인트가 다른 것 같아요.
    그 지점을 최대한 빨리 찾아내는 게 중요한데 어딘지 계속 찾아 헤매야하니..
    더구나 풍요로운 세대라 예전처럼 절실한 것도 없고..

  • 11. ㅇㅇ
    '24.8.16 4:07 PM (211.179.xxx.157)

    동기부여, 저도 배웁니다

  • 12. ...
    '24.8.16 5:46 PM (118.235.xxx.129) - 삭제된댓글

    남자 애들은 벼랑끝까지 가봐야 스스로 되돌아 나오더군요.
    우리집 아들 공부도 설렁설렁 노는거 좋아하고 욕심도 없던 아이였는데
    고3 때 연세대 논술 시험 보더니 이 학교 꼭 다니고 싶다고 ...
    처음이었어요.
    뭔가 하고 싶다고 간절히 말한게.
    한 해 재수하고 정시로 가고 싶던 연대 합격하고
    그보다 더 높은 메디컬도 합격했고 지금 대학생이에요.
    뭔가 막연하게 느껴졌던 대학이 현실로 자각이 되고
    친구들 하나둘 원하는 대학 들어가는거 보면 정신이 번쩍드는 애들 있어요.
    애들끼리 대학탐방이라도 보내보시던가 해보세요.

  • 13. 원글
    '24.8.16 6:16 PM (211.36.xxx.57)

    그렇군요.
    고2 2학기에 접어들었는데, 안가던 pc방을 다니기 시작했고 모든 학원도 중단 했어요.
    남편은 쳐다보기도 얘기해보기도 싫다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4983 [국정감사] 복지부 김선민! 3 ../.. 2024/10/30 1,012
1634982 급 공황이..마음 차분해지는 법. 12 ㅡㅡㅡ 2024/10/30 3,483
1634981 갱년기 호르몬 약 처방 받으려면, 검사가 많은가요? 4 ㄱㅈㅋ 2024/10/30 1,621
1634980 김종대 티비 보니 윤석열이 자기가 세계평화 할거라 착각에 빠져.. 16 00 2024/10/30 2,219
1634979 김병주 "단 1명을 보내도 파병, 국회동의 받지 않으면.. 11 이렇답니다 2024/10/30 2,447
1634978 마약보다 무서운약이 불법유통되고 있다는데.. 27 ........ 2024/10/30 5,866
1634977 11월 2일 다 뛰쳐나오셔야 됩니다. 32 꼬김 2024/10/30 5,475
1634976 네이버 웹툰 불매 운동이 82에는 아직 소식이 안 올라왔군요. 2 여기 2024/10/30 1,497
1634975 밀레 의류건조기 어때요? 9 고민중 2024/10/30 1,047
1634974 오늘의 삼성전자 관전 폄 4 주식 2024/10/30 2,916
1634973 예금 어디에 하세요? 3 ... 2024/10/30 2,411
1634972 미우새 김영철 편 보신분 계신가요? 2 ^^ 2024/10/30 3,951
1634971 오메가3가 콜레스테롤을 높이나요??? 1 .. 2024/10/30 1,326
1634970 정수기 관리 코디가 집에 올때마다 호구조사 하는 것 같아서 기분.. 17 --- 2024/10/30 3,348
1634969 신심좋은 천주교 신자분? 14 ㄱㄴ 2024/10/30 1,448
1634968 부산 근교에 서민이 살기 좋은곳 추천 부탁드려요 2 ... 2024/10/30 1,141
1634967 중1 여아 163인데 딱 167까지만 컸음 좋겠는데 될까요? 18 ㅇㅇ 2024/10/30 2,327
1634966 죽은자와 산자의 슬픔의 차이 11 후회 2024/10/30 3,739
1634965 오페라 덕후님 감사합니다. 2 바실 2024/10/30 633
1634964 생강가루 1 ** 2024/10/30 748
1634963 대학생 전세자금대출 4 .. 2024/10/30 1,251
1634962 국힘당사 앞 볼만하네요. 7 2024/10/30 2,188
1634961 하다못해 방글라데시도 시위로 총리도망갔는데 6 .... 2024/10/30 1,137
1634960 집에 있기 아까운 날씨네요 2 ** 2024/10/30 1,459
1634959 좋거나 나쁘거나 동재 14 동재야 2024/10/30 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