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들뜬 마음, 감정의 기복에 대해서

음.. 조회수 : 1,200
작성일 : 2024-08-12 10:30:23

법륜스님의 말씀입니다.

 

좋아도 싫어도 

마음은 잔잔하게

 

좋은 것에 대해서 너무 들뜨면

반드시 그것이 나빠질 때는

그만큼 밑으로 가라앉습니다.

 

감정의 파도가 그만큼 커진다

좋다는 것도 사실 잠깐이거든요.

 

좋을 때도 그냥

입가에 미소를 띠는 정도로

받아들이고

 

나쁠 때도 그저

입가에 미소를 띠는 정도로 

받아들이고

 

내 감정의 기복이 너무 심하면

고락이 커진다.

 

그래서 조금 마음을 잔잔하게 갖는 게 좋다.

 

 

법륜스님 말씀

https://www.youtube.com/watch?v=PHKK6XoapCs&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

 

 

전에 제가 한번 올릴 적이 있었는데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즐거움이 아닙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즐거움을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즐거움이 행복이라고 생각하면 그런 행복에는 반드시 괴로움이라는 불행이

따라다닙니다.

이렇게 즐거움과 괴로움이 되풀이 되는 것을 '윤회'라고 합니다.

즐거움을 행복으로 삼아 추구하면 마치 물체에 늘 그림자가 따르듯이

여러분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괴로움이라는 불행이 항상 따르게 됩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열반'입니다.

요즘 표현으로 한다면 '지속 가능한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불행이 따르는 행복이 아니라 불행이 없는 행복을 열반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곧 괴로움이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여러분이 즐거움이 곧 행복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괴롭지 않은 것이 행복입니다.

 

 

 

그러니까 불교에서는 '행복 = 즐거움' 이 아니라

'행복 = 불행이 없는 것, 괴롭지 않은 상태'

이라는 거죠.

 

행복은 즐거움이라고 생각하면

즐거움 뒤에는 즐거웠던 만큼 반대 급부의 볼행이 따라오더라구요.

 

진짜 파도처럼 

최고점까지 올라가면 반등으로 최하까지 내려간다는 거죠.

 

그래서 항상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 거 같아요.

 

내 마음의 진동을 너무 높고 너무 낮게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도록 내 마음을 다스리는거죠.

그래야 불행해져도 회복이 빠르다는것을 깨닫게 되네요.

 

내 감정을 조절하기 힘들어서

들떠서 자랑하는 것은 나의 선택이지만

그 후에 오는 파장은

후에 내가 감당해야 할 몫이더라구요.

 

IP : 121.141.xxx.6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8.12 10:32 AM (211.209.xxx.130) - 삭제된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내 마음의 진동을 너무 높고 너무 낮게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도록 내 마음을 다스리는거죠.

  • 2. ...
    '24.8.12 10:33 AM (49.161.xxx.16)

    좋은글 감사합니다.

  • 3.
    '24.8.12 10:33 AM (211.209.xxx.130)

    좋은 글 감사합니다


    내 마음의 진동을 너무 높고 너무 낮게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도록 내 마음을 다스리기

  • 4. ...
    '24.8.12 10:57 AM (211.234.xxx.69)

    요즘 제게 필요한 좋은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 5.
    '24.8.12 11:26 AM (112.153.xxx.242)

    좋은글 감사합니다.

  • 6. ..
    '24.8.12 4:39 PM (113.10.xxx.82)

    좋은 글 감사해요

  • 7. 소나기
    '24.8.12 7:59 PM (12.172.xxx.101)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1018 결혼식 코트 1 /// 2024/11/17 1,286
1641017 전 연인과 성관계 영상 지인에게 보낸 60대 9 음.. 2024/11/17 7,373
1641016 몇살까지 살면 만족하실꺼예요? 40 ㅇㅇ 2024/11/17 3,921
1641015 어제 받아온 무청이랑 홍갓이랑 3 고마운 2024/11/17 861
1641014 김치 맛은 육수도 한 몫 하는거 같아요 14 김치애 2024/11/17 3,027
1641013 일요일에 택배가 출발하기도 하나요? 7 dd 2024/11/17 877
1641012 매실청 유통기한 4 매실청 2024/11/17 808
1641011 도깨비 드라마 보면 5 2024/11/17 2,104
1641010 만만하고 편한 면티 찾기 어렵네요 17 ... 2024/11/17 2,659
1641009 아버지에게 김장을 받아오며 26 ㅁㅁㅁ 2024/11/17 5,895
1641008 구청에서 일본어배우는 모임중한분이 5 oo 2024/11/17 2,634
1641007 이런 경우에 어떻게 대응하세요? 5 ... 2024/11/17 1,193
1641006 살림하는 입장은 다 이런가요? 6 무수리 2024/11/17 2,146
1641005 본인과 주력했던 인물들이 다자살하는데 상관없을까 30 mm 2024/11/17 3,782
1641004 (돈벌기쉬워요) 비트코인이 뭔지 쉽게 설명 24 돈벌기쉬워요.. 2024/11/17 5,949
1641003 5명 모임인데 3명 따로 모이는 거 43 모임 2024/11/17 5,172
1641002 중국인들 맨날 기름범벅 먹고도 괜찮은 60 ddd 2024/11/17 5,842
1641001 나솔사계 10기영자는 성형전이 훨씬 이뻐요 12 ㅣㅣㅣㅣ 2024/11/17 4,751
1641000 오늘 코트 날씨인가요? 4 Dj 2024/11/17 2,029
1640999 조거팬츠 네이비 색상 나이들어 보일까요? 6 고민 2024/11/17 1,311
1640998 무청김치 담그는법 알려드려요~~~ 나루 2024/11/17 1,302
1640997 딤채 성에제거 기능 쓸 때 뚜껑 여나요? 2 ㅇㅇ 2024/11/17 501
1640996 거구인 환자 입원실 옷을 어디서 구할까요? 6 환자복 2024/11/17 1,236
1640995 윤 대통령 골프 단독보도한 기자 '입건'됐다 34 이게나라냐 2024/11/17 5,005
1640994 이미 성인이 된 형제자매를 증명하려면 뭘 떼야하죠? 3 증명서 2024/11/17 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