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새 인테리어 백색 일색 강박적으로 보여요.

ㅁㅁㅁ 조회수 : 2,945
작성일 : 2024-08-10 12:03:00

요새는 기본이 백색-크림색...이더라고요

전 신축 입주했는데 일단 바닥을 크림색 포세린으로 깔았어요

한번 깔끔하게 해보자! 하는 거였죠.

근데 그렇게 하다보니 깔맞춤으로 식탁도 포세린 흰색.

그리고 소파도 크림색 유행..저는 이집 오기 전 마루집 살때 산건데,

여기오니 백색 거실에 백색 소파에(약간 크림색이지만)

커튼집 가면 속커튼 무조건 백색이죠. 거기에 베이지 같은 겉커튼.

그리고 냉장고 기본 크림색으로 해요

그렇게 하다보니, 냉장고장도 다 백색으로 깔맞춤.

한집씩 그냥 보기에 깔끔하고 괜찮아요. 

근데 인테리어 유툽 보면 다~~~~~~~~~~~~~~~~~비슷.

 

저희 집은 옵션을 딱 기본만 해서 싱크대가 흰색이 아닌 갈색 계통이고 

방문도 갈색인데

같은 아파트 다른 분들 이걸 다 백색으로 필름 작업하고, 

중문도 백색,

문틀도 백색

천장에 실링팬도 거의 백색..

식세기도 백색 

로청도 백색

 

거기에 뭐 식물 몇개 들여놓고, 미드센츄린지 백색 가구 많이 들이더군요.

와 거기에, 무슨 미니멀리즘인지 뭔지 해가지고

아예 싱크대고 어디고 생활의 흔적 자체를 다~~~지워요

그냥 모델하우스나 호텔 지향적인.

깔끔한건 좋은데 뭔가 강박적...

 

보다보니 저도 질려서,

전 조금씩 원목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식탁도 조금 지나면 원형 원목 식탁으로 바꾸고...

뭔가 색채를 하나씩 끌어와야겠다 싶어요.

 

예전에 스칸디나비아..북유럽 유행이나 그 전에 프로방스 유행도 ㅎㅎ

레테 가보면 다 똑같았는데 ㅎㅎ

아파트라는 한계가 있어서 그렇긴 하지만..

 

IP : 222.100.xxx.5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8.10 12:12 PM (118.235.xxx.184)

    온통하얗지않으면 강박적으로 보이지 않던데요?
    그게 실용적이니까요
    베이스는 흰색에 가구나 다른 소품들로 멋내는거죠
    질리면 가구나 소품을 바꾸면되니까요

  • 2. 맞아요
    '24.8.10 12:13 PM (118.33.xxx.228)

    다 하얀 병원같이 해놨어요ㅎㅎ
    저는 신축 입주라 그냥 새거 쓰다가 나중에 인테리어 해야겠다싶어서 붙박이장만 했어요
    해놓고보니 거실 바닥, 문도 밝은 원목이라
    다른 허연 가구, 전자제품들과 편안하게 어울리네요ㅋ
    신축이라도 요즘은 전기,바닥공사 다 해서 올 화이트인 집이 많아요

  • 3. ㅇㅇ
    '24.8.10 12:14 PM (118.235.xxx.199)

    자기 취향이죠.
    가구나 소품 바꿔가며 살기 좋아요.

  • 4. ···
    '24.8.10 12:17 PM (211.118.xxx.246)

    소품이나 물건들이 색색이어서 되려 깔끔회보여요

  • 5. .....
    '24.8.10 12:17 PM (58.123.xxx.102)

    저는 가구가 앤틱이라 아주 화이트랑은 안 어울리는거 같아요. 뭐든 자연스럽게 하는게 좋아요. 원목 느낌이 제일 좋아요.

  • 6. ....
    '24.8.10 12:39 PM (121.137.xxx.225)

    화이트, 우드, 그린..너무 좋고 깔끔한 것도 너무 좋아요^^ 자기 취향대로 사는 거죠.

  • 7. ㅎㅎ
    '24.8.10 12:42 PM (58.29.xxx.113)

    나이들어 오랜 살림하다보니 질좋은 원목이 이뻐보이더군요
    새댁일땐 온통 흰색에 빠져서리...
    근데 질좋은 원목을 통일감있게 집안에 매치하기 어렵더라요
    한꺼번에 목돈으로 한 가구점에서 싹 맞춰야 가능한 통일감 ㅠㅠ
    그래서 그냥 흰색으로 가야겠구나싶은 아쉬움..
    로또되면 가구점도 한곳에서 다 질러야겠다는 목표..

  • 8.
    '24.8.10 12:49 PM (140.248.xxx.41)

    흰색 깔맞춤은 꽤나 오래되었어요.

    나무톤이나 기타 다른 색 들이면
    색 맞추기가 쉽지 않은데
    흰색은 따로따로 사서 소재랑 톤이 조금 달라도
    통일감이 있어보여요.
    대부분 국평이니 과감하기 보단 넓고 무난한걸 선택하는 탓이겠죠.

  • 9. 전문가
    '24.8.10 1:04 PM (221.139.xxx.130) - 삭제된댓글

    천장고가 넓지않고 공간이 잘 구획되어 있지 않은 아파트에서는 그런 백색 인테리어가 사실 최선입니다. 벽바닥만 있는 상태로 사진을 올리니까 더 허얘보이는 것일 뿐..패브릭 가구 소품으로 진짜 인테리어를 하는거죠.

    외국집들은 일단 천장고가 높아서 바닥재 벽마감재를 다양하게 써도 숨통이 틔이거든요. 하지만 한국아파트는 그냥 바닥 벽 천장이 한덩어리로 느껴질만큼 천장이 낮으니 어쩜 한 톤으로 통일하는게 최선인거예요

  • 10. ㅇㅇㅇ
    '24.8.10 1:25 PM (211.234.xxx.128)

    작은 집들은 화이트에 우드가 들어간 조합이 그나마 작아서 답답함을 메이크업 해주는 것 같아요.
    하이엔드로 갈수록 화이트보다는 우드도 짙은 색 많이 들어가더군요. 그레이 브론즈 등이 고급진 느낌. 화이트면 웜톤으로. 요즘엔 스마트 유리 쓰기 시작.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 것을 벽대신으로..

  • 11. 글쎄요
    '24.8.10 2:45 PM (211.212.xxx.141)

    요즘 아주 흰색은 안써요. 그레이지라고 톤다운된 색만 쓰는걸요.
    저는 아주 흰색이 좋아서 유심히 봤습니다.

  • 12. 강박이
    '24.8.10 3:26 PM (117.111.xxx.251)

    아니라 화이트가 제일 나아요
    조명을 뭘로 해도 가장 효과적이고요
    원목은 해봤지만 세월이 흐르면 색이 누렇게 변해요
    갈변현상 너무 싫음
    그레이도 싫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1322 이상민전장관 일부 취재기자 경찰에 신고 6 이뻐 2024/12/09 2,664
1651321 국회는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이 맞나요? 2 ... 2024/12/09 701
1651320 좀전에 윤건희 사극영상 지워진건가요? 5 ㅇㅇ 2024/12/09 1,931
1651319 일반글) 하얀색으로 된 청테이프도 파나여? 4 .. 2024/12/09 1,003
1651318 야당 4조 삭감이 ‘폭거’라더니…“정부, 민생예산 13조 감액했.. 9 ㅇㅇ 2024/12/09 3,244
1651317 대학생딸 친구끼리 일본여행 13 걱정 2024/12/09 3,907
1651316 갑진 105적 _ 능력자분이 만든 사이트 11 하루도길다 2024/12/09 3,414
1651315 일개 연예인 정치성향갖고 1 이제부터 2024/12/09 1,858
1651314 승환옹 탄신일 기념 국회 출격?? 15 ㅇㅇ 2024/12/09 2,913
1651313 트럼프측이 윤석열 내란 언급 안해서 미국인들 떨고있다네요. 9 ㅇㅇ 2024/12/09 4,106
1651312 이 야밤에 국화빵 만들 건데 1 ... 2024/12/09 1,053
1651311 특수본 검찰의 김용현 수사는 윤석열 내란죄를 직권남용으로 축소할.. 3 절대 2024/12/09 1,600
1651310 계엄령 발동 군인들'유서작성' 지시 6 신장식의원 2024/12/09 2,252
1651309 밤 자정가까워오면 불안증 9 슬픔 2024/12/09 1,617
1651308 윤김처단)주병진씨 첫번째여성분 애프터 7 윤썩탄핵 2024/12/09 3,662
1651307 방산수출도 박살나고있네요 6 . . 2024/12/09 2,286
1651306 궁금한데 털고가시죠 8 12345 2024/12/09 1,458
1651305 나중에 대구 시민들 105인중에 표를 줄까요? 36 궁금한데 2024/12/09 2,736
1651304 윤가 탄핵소추안 서명 부탁드립니다 5 ㅇㅇ 2024/12/09 681
1651303 내란동조범 105적_칼러 사진으로 간직하세요 8 역사에 박제.. 2024/12/09 1,370
1651302 저 궁금한거 있어요 6 ㅇㅇd 2024/12/09 1,092
1651301 일상) 밤 10시에 학원 끝나고 오는 아이 저녁이요. 20 죄송 2024/12/09 3,207
1651300 국힘 초선의원 44명에게 고함 8 ..... 2024/12/09 2,300
1651299 JTBC 단독) 계엄령 둘째 날 7공수, 13공수 서울 진공 계.. 8 ... 2024/12/09 2,532
1651298 김건희 활동 못하니 이런 참사가 43 ㅇㅇ 2024/12/09 1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