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에어컨 계속 켜놓으면 실내온도보다

.. 조회수 : 3,372
작성일 : 2024-08-04 22:35:30

인버터라 계속 켜놔야 전기세가 덜 나간다고해서 계속 켜놓는대요.

저희 27~28도로 해놔도 시원해서 

실내온도 28이면 에이컨도 28도로 켜놓거든요.근데 시간 지나면 

실내온도는 27도로 내려가고 에어컨은 28도가 되는데 그러면 어김없이 물이 떨어지더라구요.그럼 실내온도랑 항상 똑같던가 1도씩 내려야하는데 수시로 1,2도씩 내려도 전기세 영향 없나요?

작년에 중간중간 컸다켰다했더니 다른집2배로 나와서

올해는 켜두려구요

IP : 211.234.xxx.4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장같은데요
    '24.8.4 10:39 PM (14.6.xxx.135)

    실외기 아닌 실내의 에어컨에서 물떨어지면 고장입니다.

  • 2. ..
    '24.8.4 10:49 PM (211.234.xxx.41)

    고장이요? ㅜㅜ
    내일 as문의해봐야겠네요

  • 3. 실내
    '24.8.5 12:03 AM (121.147.xxx.48) - 삭제된댓글

    에어컨 누수란 말씀일까요?
    물이 실내기에서 방으로 떨어진다면 고장이고
    설치된 배수관으로 나온다면 그건 당연한 일입니다.
    냉기가 돌면 모든 에어컨에는 물이 맺히고 그게 배수관을 타고 내려갑니다.
    설정온도가 28이어도 26,27,29까지 오르락내리락 하는 게 정상입니다. 더울 때 면적이 넓을 때는 더 잘 그렇습니다.
    에어컨 냉기는 28도로 설정되어 있는 게 아니라 더 낮습니다. 그 낮은 냉풍을 공간에 섞는 거라서 당연히 더운공기의 유입에 따라 냉풍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항상 28도가 될 수가 없어요.

  • 4. 땡스
    '24.8.5 12:17 AM (1.231.xxx.121) - 삭제된댓글

    27~28도 사이는 하루 한두번 정도는 왔다갔다해도
    전력소모량에 큰 차이는 없어요.
    너무 자주 건들진 마시고 많이 추울때, 외출할 때 정도만 조절하시는 게 나아요.

    실내기에서 조금씩 물이 흐르거나 튀면
    일단은 바람을 강풍으로 설정해서 계속 써보세요.
    배수관 쪽으로 미처 다 나가지 못하거나 너무 빨리 쌓인 습기가 흐르는 것인데
    계속 강풍으로 쭉 쓰면 이 현상이 현저히 줄어요.

    일주일 이상 냉방을 강풍으로 써도 계속 물이 떨어진다면
    그때는 고장으로 as 받으셔요.
    근데 이 문제는 거의 해결이 어렵더라구요.

    냉방을 꺼야할 때에도
    송풍을 강풍으로 해서 선풍기 대신 자주 쓰세요.
    내부에 남아있는 습기가 완전히 말라서
    곰팡이, 세균 번식 가능성도 현저히 줄어듭니다.

  • 5. 땡스
    '24.8.5 12:21 AM (1.231.xxx.121)

    27~28도 사이는 하루 한두번 정도는 왔다갔다해도
    전력소모량에 큰 차이는 없어요.
    너무 자주 건들진 마시고 많이 추울때, 외출할 때 정도만 조절하시는 게 나아요.

    실내기에서 조금씩 물이 흐르거나 튀면
    일단은 바람을 강풍으로 설정해서 계속 써보세요.
    너무 많은 습기가 배수관 쪽으로 미처 다 빠져나가지 못해 넘쳐 흐르는 것인데
    계속 강풍으로 쭉 쓰면 이 현상이 현저히 줄어요.

    일주일 이상 냉방을 강풍으로 써도 계속 물이 떨어진다면
    그때는 고장으로 as 받으셔요.
    근데 이 문제는 거의 해결이 어렵더라구요.

    냉방을 꺼야할 때에도
    송풍을 강풍으로 해서 선풍기 대신 자주 쓰세요.
    내부에 남아있는 습기가 완전히 말라서
    곰팡이, 세균 번식 가능성도 현저히 줄어듭니다.

  • 6. ㅇㅂㅇ
    '24.8.5 8:38 AM (182.215.xxx.32) - 삭제된댓글

    물떨어지면 안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9825 학생들 집회 와서 시험 공부하네요 5 인절미 2024/12/08 1,252
1649824 국민도, 법도, 어느 누구도 한동훈 대표에게 대통령을 직무 배제.. 10 아야어여오요.. 2024/12/08 940
1649823 다음 탄핵심판이 왜 일주일 뒤에요? 4 2024/12/08 1,258
1649822 단두대로 내란수괴 참수하여 효수하고 3 .. 2024/12/08 366
1649821 한동훈과 국짐은 국민에게 치욕을 안겨줬어요. 12 .... 2024/12/08 955
1649820 미스터션샤인. 보면 좀 맘이 풀릴까요ㅠ 7 2024/12/08 570
1649819 계엄이 양심이고. 폭력이 양심인, 1 내란당은법죄.. 2024/12/08 414
1649818 조국 대표의 CNN인터뷰 1 2024/12/08 1,697
1649817 윤석렬을 체포하라!!!!!!! 9 ... 2024/12/08 669
1649816 위헌정당 해산 청구에 관한 청원 18 퍼옵니다 2024/12/08 1,265
1649815 이낙연이면 아직도 엄중 거리고 있을듯요 42 열불남 2024/12/08 1,759
1649814 아무리생각해도 궁금한게 4 .. 2024/12/08 574
1649813 김이나 작가는 진보쪽이예요 . 억지 그만 좀 21 아이고 2024/12/08 3,165
1649812 김용현 긴급체포인지 긴급보호인지 알수가 없네 16 오슬로 2024/12/08 1,292
1649811 이래 놓고 "계엄이 경고용?" 미친거죠 7 ㄴㄴ 2024/12/08 979
1649810 JTBC 계엄 시그널 3 이뻐 2024/12/08 1,874
1649809 “윤석열·국힘 국제사회서 고립될 것”...WSJ 8 Tt 2024/12/08 1,353
1649808 윤가를 지금 국민세금으로 전용요리사 12첩 반상 처먹여야 하나요.. 6 ... 2024/12/08 1,111
1649807 갑진백적 4 갑진백적 2024/12/08 512
1649806 재난기본소득 19 경기 2024/12/08 1,756
1649805 일상을 지키는 것이. 1 울지마 2024/12/08 708
1649804 지금은 힘을 모을 때입니다 3 타이밍 주의.. 2024/12/08 566
1649803 집회 일정 4 ㅇㅇ 2024/12/08 656
1649802 이런 배추는 처음봐서 13 oo 2024/12/08 1,856
1649801 비트코인 100개 가지고 있는 분 13 ... 2024/12/08 4,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