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눈물이 많은 남자아이는 어떻게 길러야 할까요?

... 조회수 : 2,438
작성일 : 2024-07-31 23:10:10

초등학교 1학년이예요. 

 

오늘밤 잠들기 전,

다 조립해 놓은 레고를 책꽂이 한켠에 전시하는 과정에서 

한 부분이 부러졌어요. 친구랑 잠시 통화하고 있는 제 옆으로 오는데 벌써 눈에 눈물이 한가득 고여있다가 제가 통화를 끊으니 엉엉 울어요.  

 

9살터울의 누나가 있는데, 딸 키울때는 이런 일로 당황했던 기억이 없어요. ㅠㅠ 엄청 씩씩했던 것 같은데, 늦둥이 아들 녀석이 오히려 더 멘탈이 여리고 잘 울어요. 

 

좀 크다 보면 나아지나요? 

 

감정을 먼저 헤아려주고 토닥거리는 건 충분히 한 것 같아요. 이제 슬픔에서 벗어나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방법을 좀 알려주고 싶은데,,, 어렵네요. 

 

여기 현명하신 분들이 많아 여쭤봅니다. 

IP : 218.233.xxx.6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24.7.31 11:10 PM (210.183.xxx.85)

    변우석 보세요 아직까지 눈물많아서 성공하잖아여

  • 2.
    '24.7.31 11:11 PM (116.37.xxx.236)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울보였는데 완전 말랐나봐요.

  • 3. 괜찮아요
    '24.7.31 11:13 PM (88.65.xxx.19)

    그 정도는 괜찮아요.
    귀엽죠.

    문제는 우는거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땡깡부리고 화내는거죠.

    그럴 애는 아닌거 같아요.
    이쁘네요.

  • 4. 자신감
    '24.7.31 11:16 PM (175.116.xxx.115)

    딱 그런 아이 키웠는데 책임감 강하고 꼼꼼한 청년으로 잘 컸어요. 수영이나 자전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게 해주세요. 자신감 생기게요.

  • 5. 마흔된 아들
    '24.7.31 11:16 PM (123.111.xxx.222)

    어렸을 때, 왜 그리 우냐고 했더니
    자기도 울고 싶지 않은데,
    눈물이 나는 걸 어쩌냐고.
    감성이 풍부한 편이었어요.
    이제는 뭐...
    너무 걱정 마세요.

  • 6. 괜찮아요
    '24.7.31 11:23 PM (211.108.xxx.76)

    저희 아들도 잘 알고 마음도 약하고 잘 삐치고 그랬었어요. 지금은 아주 의젓하고 여러모로 엄마인 저보다 낫습니다. ㅎㅎ 조금 힘드셔도 그런 일이 있을 때마다 대화를 많이 하고 울 필요 없다고 이야기 해주세요. 금방 좋아지진 않아도 경험이 쌓이다 보면 괜찮아질 거예요.

  • 7. 괜찮아요
    '24.7.31 11:24 PM (211.108.xxx.76)

    잘 알고x 잘 울고o

  • 8. ..
    '24.7.31 11:46 PM (121.134.xxx.215)

    오늘 일만 놓고보면 완성한 레고 부서지는거 속상하고 울만한 일 같은데요 저라도 눈물 막 나왔을듯요.
    울음 많은건 1학년은 아직 여린 마음이라 그럴것같아요, 점점 좋아질꺼예요, 대딩 아들 둘, 초등 고학년쯤 되니 괜찮아지더라구요.

  • 9. ...
    '24.8.1 12:29 AM (1.235.xxx.28)

    무조건 운동이요
    태권도 등 격투기나
    축구 등 격한 운동

  • 10.
    '24.8.1 12:32 AM (112.154.xxx.66)

    귀찮아 보이시네요..

  • 11. 몬스터
    '24.8.1 2:21 AM (106.102.xxx.75)

    저는 전혀 문제될 거 없다고 봐요.
    울지도 않고 너무 과격한 사내아이들은 커서 별로일듯요.
    감수성도 예민하고, 자기 감정 표현도 잘 해야
    상대방 감정도 잘 이해하고, 마음이 따뜻한 아이로
    자랄 것 같아서요...
    레고 부서졌다고 울고 불고 화내고 짜증부리는건
    문제지만, 속상해서 그냥 우는 건 마음이 아직 순수하고
    여려서 그런거 아닐까요?

  • 12. 몬스터
    '24.8.1 2:25 AM (106.102.xxx.56)

    이제 뚝 그치고, 부러진 부분 다시 만들어볼까?
    아까 만들어봤으니, 이젠 더 쉽게 금방 만들 수 있을거야^^
    엄마는 우리OO이가 얼마나 속상했는지 다 이해해.

    이런식으로 위로해주심 금방 나아지지 않을까요? ㅎ

  • 13.
    '24.8.1 9:53 AM (211.36.xxx.209)

    운동 추천합니다 2222
    다른 이야기인데요
    애들은 자기 몸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게
    어릴때부터 운동 시키는게 좋다고 봐요
    학폭이나 양아치들한테 당하고 살지 않게요

  • 14. …….
    '24.8.1 11:24 AM (172.224.xxx.27)

    제가 눈물이 많은 사람인데요. 커뮤니케이션이나 문제해결방싣늠 대문자 T입니다. 눈물은 그냥 나는 걸 어쩔 수가 없어요. 나도 안 울고 싶은데 눈물이 차오르는 것일 뿐.
    눈물때문에 아이를 약하다고 걱정하거나, 매번 달래주거나 하지 않아도 되요. 눈물은 그저 슬프거나 억울하거나 피곤하거나 짜증나는 얼굴 표정일 뿐이다 생각하고 크게 별다른 반응하지 말고 그저 표정이구나 해주세요. 크면서 나아질겁니다.

  • 15. 영통
    '24.8.1 2:16 PM (211.114.xxx.32)

    울면서 말할 때 울면 용돈 안 준다고 했어요
    고쳤어요
    지금 그 점 고마워하고 있어요

  • 16. ..
    '24.8.1 4:34 PM (58.124.xxx.174)

    태권도 효과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8003 지금 무슨 방송 보고 계세요? 17 ㄷㄹ 2024/12/06 1,895
1648002 오늘이 제일 위험할수 있다는 말에 공감이 됩니다 5 ........ 2024/12/06 1,597
1648001 친한 조경태 표결시기 하루라도 빨리 5 ... 2024/12/06 1,131
1648000 침대 비싼거 쓰면 좋나요? 10 ㅇㅇ 2024/12/06 1,596
1647999 조국혁신당 짱 멋있네요 52 000 2024/12/06 4,744
1647998 집회 참석하시는분들 당부 5 조심 2024/12/06 1,145
1647997 환율 1420원 7 환율 2024/12/06 1,193
1647996 법무장관 "내란죄라는 주장과 다른 의견도 있어".. 21 검찰아웃 2024/12/06 3,866
1647995 세상에 담넘는 계엄군들 저지하는 시민들..ㅠㅠ 13 동영상 2024/12/06 2,520
1647994 윤석렬씨 2 조국 2024/12/06 775
1647993 카톡 오픈채팅방이랑 텔레그램 한 번 더 만들어주시면 안되나요? 2 ㅇㅇ 2024/12/06 627
1647992 갑자기 한동훈 잘했다는 글이? 82가 물로 보이나? 9 ... 2024/12/06 695
1647991 한동훈 본심이 뭔가요? 19 ㅇㅇ 2024/12/06 2,108
1647990 지역 국회의원에게 전화했어요 6 노력해요!!.. 2024/12/06 1,102
1647989 2차 계엄령 준비한건가요 7 ㄷㄷ 2024/12/06 1,636
1647988 이제 나경원 어찌 나올까요 19 탄핵 2024/12/06 2,729
1647987 윤석열이 선관위를 장악하려 한이유 000 2024/12/06 841
1647986 김민석 의원 말이 다 들어맞네요 8 2024/12/06 2,206
1647985 윤 지지율 13% 23 ㅇㅁ 2024/12/06 2,101
1647984 민주, 오전 11시30분 긴급 의원총회 6 ........ 2024/12/06 2,129
1647983 '친한' 6선 조경태, 尹대통령 탄핵에 與의원 중 첫 공개 찬성.. 3 ... 2024/12/06 1,274
1647982 대장내시경 알약 물약 고민이에요 7 .... 2024/12/06 1,249
1647981 오늘 스스로 내려올거 같아요 52 ... 2024/12/06 7,050
1647980 아직 안 끝났어요 3 현소 2024/12/06 630
1647979 은희네 해장국 드셔보신 분 11 죄송 2024/12/06 1,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