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상속세만 바뀌고 증여세는 그대로네요?

조회수 : 6,223
작성일 : 2024-07-25 18:43:14

부모나 남편  유산 받으려면  빨리 죽기만 바래야 하나요?

증여세 공제는 그대로 5천이예요.

증여세도 같이  개편했어야지

뭐하자는 건지 

IP : 110.70.xxx.227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7.25 6:44 PM (211.234.xxx.144)

    줄게 없어서
    바뀌던 말던
    상속세 개편한놈이 지가 급했나보죠

  • 2. 미친
    '24.7.25 6:45 PM (39.7.xxx.158) - 삭제된댓글

    성속세, 증여세도 손보고
    재산세도 시발 2주택이라고 팔리지도 않는거 있다고
    2채다 과세라 2배씩 내내요.

  • 3. 미친
    '24.7.25 6:46 PM (39.7.xxx.158) - 삭제된댓글

    상속세, 증여세,재산세도 손보고
    재산세도 시발 2주택이라고 팔리지도 않는거 있다고
    2채다 과세라 2배씩 내내요.

  • 4.
    '24.7.25 6:46 PM (211.234.xxx.48)

    저도 의아한게 지인이 이혼하며 재산분할을
    기십억 받았어요.
    부부끼리 잘 살면 생활비도 증여세내라
    같이 살다 죽어도 상속세내라하는데
    이혼할 때는 세금이 없다네요.
    부부끼리 자산 오가는 거에 조세징수를 하는 거
    자체가 또라이짓인데 이혼 장려라도 하는 것인지.

  • 5. ......
    '24.7.25 6:49 PM (121.141.xxx.193)

    증여세도 5천에서 5억으로 높였어야 하는건데...
    언제적 5천인건지....인플레 반영도 안하네요

  • 6. ㅋㅋ
    '24.7.25 6:51 PM (122.42.xxx.82)

    증여는 지금 상향하면 바로 아파트 상승이죠
    계획적으로 지금 넘길 수가 있잖아요
    상속은 예측 불가능이지만

  • 7. .....
    '24.7.25 6:52 PM (118.235.xxx.108)

    예금자 보호 5천. 이거두 짜증나요. 이것도 이십몇년째던데

  • 8. 부부간증여
    '24.7.25 6:56 PM (172.226.xxx.45)

    부부간 증여 좀 그래요

  • 9. ㅅㅅ
    '24.7.25 6:58 PM (218.234.xxx.212)

    부부끼리 잘 살면 생활비도 증여세내라
    같이 살다 죽어도 상속세내라하는데
    이혼할 때는 세금이 없다네요.
    ㅡㅡㅡㅡ
    이게 좀 사연이 있어요. 과거에는 배우자(부인)도 애들과 마찬가지로 남은 유가족 1인으로 취급해 상속시 특별한 대우를 받지 않았어요. 그리고 91년 가족법 개정 이전에 결혼연수에 따라 약간 더 공제 받는 식이었고요.

    이혼시 재산분할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매겼어요. 여자가 일하지 않는 세상의 전통적 시각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지요. 그러다가 이혼시 재산분할은 공유재산의 정산이지 증여가 아니라는 취지의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고 세법도 바뀐거예요.

    사실 우리나라는 서구와 달리 부부별산제를 택하고 세금도 각각 내므로 '이혼시 재산분할은 공유재산의 정산'이라는 명제는 약간 모순적이긴 하죠.

  • 10. ㅇㅂㅇ
    '24.7.25 6:59 PM (182.215.xxx.32)

    예금자보호 진짜 높여야돼요

  • 11. ㅇㅇ
    '24.7.25 7:08 PM (121.141.xxx.91)

    예금자보호 증여세 다 시급합니다
    5천씩 쪼개서 넣는거 지겨워죽겠어요 일년이면 몇십번

  • 12. ..
    '24.7.25 7:12 PM (116.96.xxx.231)

    작년 아버님 돌아가시고 세금 정리하며,, 정말 세금으로 있는 재산을 팔아야 낼 수 있는데
    최근에 추가로 몇 억을 더 내라고 나왔어요. 이번 세법개정은 곧 발생하게 되는것부터 적용되는건가요? 아니면 방법이 더 있는걸까요? (세금 도통 모르겠네요. ㅜㅜ)
    아직도 세금을 다 못 내고 있는데, 추가로 너무 큰 금액이 나와서 있는 아파트를 팔아서 내야하네 그러고 있는중입니다. 아직 건강히 잘 계시는 부모님께 추후일로 재산에 대해 왈가왈부 할 수 없는 상황에 갑자기 일을 치루고 세금을 내야하는 상황이었습니다.

  • 13. ㅇㅂㅇ
    '24.7.25 7:16 PM (182.215.xxx.32)

    ㄴ작년요? 저흰 재작년에 돌아가셨는데 여태 세무조사 연락이 없네요

  • 14. ㅇㅂㅇ
    '24.7.25 7:16 PM (182.215.xxx.32)

    116님 2025년1월상속분부터에요
    아직 개정된것도 아니에요

  • 15. 실망
    '24.7.25 7:45 PM (222.235.xxx.9) - 삭제된댓글

    다음 세제 개편은 언제 할지도 모르는데
    부부간 증여세 상속세는 손도 안대고
    다자녀 혜택은 무슨

    뼈 빠지게 벌어 세금 내고 돈 모아 노후 대비하는데 남편 죽으면 내 노후도 엉망되는 이시스
    템 너무 싫다

  • 16. ...
    '24.7.25 7:52 PM (14.32.xxx.64) - 삭제된댓글

    상속세 많이 내는 사람들이 다른 세금도 많이 내고 있다는걸 모르는거 같아요.
    보유세.소득세.종부세등
    상속세 찔끔 줄이는거에 너무 배 아파 하지 마세요.
    평소에도 넘치게 세금 내고 있답니다

  • 17. 증여세
    '24.7.25 7:59 PM (211.211.xxx.168)

    방금 유튜브에서 듣기로는
    상속세 세율이 과세표준 0-1억까지가 10프로였는데
    0-2억까지가 10프로로 바뀌었고 이게 증여세도 똑같이 적용될 것 같다네요

  • 18. ㅅㅅ
    '24.7.25 7:59 PM (218.234.xxx.212)

    다자녀'혜택'이 아니고 상속받는 자녀가 많으면 공제가 당연한 겁니다. 혼자 독식하는 집이랑 몇명의 형제가 나눠갖는 집이랑 세금이 같아야 할까요?

    보통은 '유산취득세'를 매겨요. 예로 30억을 3명 자녀가 나누면 10억×세율×3명이고, 1명이 다 받으면 30억×세율이죠. 누진세제니까 전자가 후자보다 세금이 적어요.

    Oecd 주요국중 우리나라와 미국만 '유산세'(유산취득세가 아니라)를 매깁니다. 30억을 3명의 자녀가 받든 외동 1명이 받든 세금 차이가 거의 없어요.

    유산취득세로 바꾸어야 하는데 그게 여의치 않아 여러명의 자녀가 있는 경우 공제액이 늘어나게 한거지요.

  • 19. 증여세
    '24.7.25 8:00 PM (211.211.xxx.168)

    현재까지는 개편안이고 인당으로 가는게
    외국처럼 유산 취득세 방식으로 과세하기 위함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 20. 현재는
    '24.7.25 8:04 PM (211.211.xxx.168)

    정부 개편안이고 국회에서 법안 처리하는 민주당에서 부자감세 외치며 바꿀 것 같아요.
    선거 멀었고 다들 사전 증여 많이들 해 놓았지만 어쨌든 자기네도 이익이니 못이기는 척 통과 시킬려나 싶기도 하고.

  • 21. 휴식
    '24.7.25 9:56 PM (125.176.xxx.8)

    상속세도 그렇지만 살아서 증여하는것도 5억까지는 세금이
    없어야 해요.
    현제 세금이 너무높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5011 파리 개막식 장대에 여자 매달린 게 무슨 의미예요? 1 ㅇㅇ 2024/07/27 2,340
1605010 88올림픽 굴렁쇠소년 근황 1 ........ 2024/07/27 4,952
1605009 청문회 보다가 곽규택의원 소리지른거.. 3 헛.. 2024/07/27 1,700
1605008 서진이네 이런말하기 싫지만 38 ..... 2024/07/27 21,298
1605007 여사님께 드리고 싶은 선물이 있어요 9 .. 2024/07/27 1,908
1605006 아무도 안 물어봤지만 써보는 여름 필수템들 16 ooooo 2024/07/27 3,742
1605005 대상포진 연고 발랐더니 줄어들면 병원 안 가봐도 될까요? 7 대상포진 2024/07/27 2,031
1605004 프랑스가 문화강국이 맞긴하네요 12 . 2024/07/27 3,657
1605003 덕수궁 자수전 안보신분 9 ㅇㅇ 2024/07/27 2,858
1605002 미씨방펌 빠리 올림픽 댓글 7 맞네 2024/07/27 2,551
1605001 뜨거운 여름 해운대근처에서 뭐하는게 좋을까요? 6 부산 2024/07/27 863
1605000 방송 나오는 전문직 상담 의뢰 등 조심 필요 1 pass 2024/07/27 1,021
1604999 뭔가 82는 문화예술쪽으론 시각이 다른듯... 37 2024/07/27 3,385
1604998 핸드폰 바탕화면에 띄우는 메모장 어떤거 쓰세요 4 2024/07/27 1,349
1604997 아침에 발 뻣뻣하신가요? 6 ㅁㅁㅁ 2024/07/27 917
1604996 열무물김치로 국수 말건데 뭘 더 추가해야 맛있을까요? 2 ... 2024/07/27 1,205
1604995 베르비에페스티벌 임윤찬 황제 다시듣기 24.7.26. 4 오페라덕후 .. 2024/07/27 847
1604994 저는 파리올림픽 개막식 좋았어요 19 파리 2024/07/27 2,661
1604993 할수있는게 기도뿐이네요 11 00 2024/07/27 2,896
1604992 대학때 좋아했던 사람이 지금도 가끔 생각나요 9 미친듯 2024/07/27 1,913
1604991 티몬 돈이 없대 내참 4 No mat.. 2024/07/27 2,824
1604990 다른집 남편들은 이렇게 말하면 어떻게 알아듣나요? 22 ..... 2024/07/27 3,698
1604989 속초 예전 냉면집 찾아요 3 먹고싶다 2024/07/27 1,104
1604988 사당역 맛집 추천해주세요. 8 궁금 2024/07/27 1,130
1604987 아침부터 종아리가 붓는 느낌이 드는건 뭐가 문제일까요? 3 잘될꺼 2024/07/27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