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 소득대비 집값 pir 25.1

... 조회수 : 1,806
작성일 : 2024-07-23 10:26:35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64138?sid=110

서울의 집값이 지금보다 더 오르면 큰 경제 및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서울의 집값은 이미 세계 주요 대도시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 비율( PIR )은  25.1 배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에서 중간 소득을 가진 가구가 집 한채를 사려면  25 년 이상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파리( 17.8 배), 로마( 15.1 배), 런던( 14.8 배), 뉴욕( 14.0 배) 등 세계 주요 도시 보다 높다. 소득 수준을 감안한 서울 집값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서울의  PIR 은  2014 년부터 매우 가파르게 상승했다 .2013 년  10.4 배,  2014 년  13.5 배에 이어  2017 년엔  17.8 배까지 상승했다. 그리고  2019 년엔  20.7 배를 기록하면서  20 배를 돌파했다.

PIR 을 낮추려면 두가지 방법이 필요하다. 집값을 낮추던지, 소득을 획기적으로 늘리던지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주택 가격이 폭등하는 상황 속에서 소득은 상대적으로 크게 늘지 않아 집값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가 그랬듯 윤석열 정부도 앞으로의 집값 향방의 책임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시장은 정책 설계의도 대로만 흘러가지 않는다. 지금의 부동산 시장 불안이 이를 잘 말해준다.

집값 급등에 대한 기대는 초반에 꺾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다면 또 다시 부동산 광풍이 대한민국을 집어삼킬 수 있다. 정부가 그토록 강조하는 주택 공급도  PF (프로젝트파이낸싱) 등의 영향으로 원활하지 않다. 집값 급등에 대한 기대를 꺾을 정부의 제대로 된 대책과 역할이 필요한 이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미 최악인데 나라가 참 암담하네요

박상우 국토부장관 이사람도 참 무능한 듯...

김현미와 뭐가 다른지...

IP : 223.62.xxx.23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방법은있죠
    '24.7.23 10:30 AM (223.39.xxx.86)

    대출을 죄면 해결돼요
    대출에 대도 생각못하게 씨를 말려버리면 되는건데

    문재인 정부를 부동산으로 비난하며 뽑아놓은
    윤석열은 오히려 대출을 마구 풀고 금리를 묶어놓고
    부동산 과열에 제2 제3의 영끌을 부추기고 있잖아요

  • 2. 분석 틀림
    '24.7.23 10:34 AM (106.101.xxx.9)

    우리나라는 소득이 늘어나면
    또 부동산에 돈쓸거라서
    소득을 늘리는 걸로는 집값 못 잡아요

  • 3. 대출 딜레마
    '24.7.23 10:39 AM (106.101.xxx.9)

    대출을 죄면
    세입자가 집을 못 구하거나
    집주인이 보증금 반환을 못 하거나

    어느 쪽에서든 반드시 자금 경색 현상이 나타나고
    실물경제에 직격탄이라
    대출 숨통을 끊을수 없음

  • 4. ㅎㅎㅎ
    '24.7.23 10:51 AM (39.125.xxx.53)

    잊지마세요, 국토부의 역할은 집값 부양해서 건설회사 살리는데 있습니다

  • 5. ㅇㅇ
    '24.7.23 10:54 A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국제기구 pir를 근거하면
    최소 5~6토막은 나야
    국민들이 숨 쉬고 살겠네요.

  • 6. ㅇㅇ
    '24.7.23 10:56 A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국제기구 pir를 근거하면
    최소 5~6토막은 나야
    국민들이 숨 쉬고 살겠네요.

  • 7. 거품낀 부동산
    '24.7.23 11:02 AM (61.105.xxx.165) - 삭제된댓글

    건설사 부채를
    개인에게 넘기는
    많이들 사주세요.
    저기 앞에 부동산은 기다리면 오르더라.
    '부동산은 우상향'
    이 말 일본에서 들어온 말이라던데
    그 일본 40년 가까이
    부동산 오르길 기다리고 있죠
    120세 세상에

  • 8. 거품낀 부동산
    '24.7.23 11:05 AM (61.105.xxx.165)

    건설사 부채를 개인에게 넘기는...
    기업부채를 가계가 떠안는 중
    많이들 사주세요.
    저기 앞에 부동산은 기다리면 오르더라.이런 글 있던데
    '부동산은 우상향'
    이 말 일본에서 들어온 말이라던데
    그 일본 40년 가까이
    부동산 오르길 기다리고 있죠

  • 9. ..
    '24.7.23 11:11 AM (119.197.xxx.88)

    건설사 하나 무너지면 다른 기업이나 개인은 괜찮을줄 아세요? 생각이 그리 단순해서야.

  • 10. 냅둬요
    '24.7.23 11:12 AM (183.98.xxx.31)

    전정부는 소득주도 성장 하더니...
    이번 정부는 영끌주도 성장 하는가 보다 해요.
    이것도 언젠간 끝이 보이겠죠

  • 11. 123123
    '24.7.23 11:30 AM (116.32.xxx.226)

    뉴욕이 14이니
    우리는 지금 집값의 반토막이 얼추 맞는 거군요

  • 12. 맞죠
    '24.7.23 11:33 AM (121.121.xxx.208)

    반토막이 맞는거 같습니다.

  • 13. …….
    '24.7.23 12:30 PM (118.235.xxx.21)

    강남만따로 하면 수치가 좀 내려갈듯요
    애초 빈익빈부익부가 너무 심해요

  • 14. ...
    '24.7.23 3:01 PM (110.13.xxx.200)

    뉴욕이 14밖에 안되나요? 굉장히 낮네요..
    우리나라는 소득도 낮으면서 참 집값만 어마어마하네요.
    전세대출과 전세제도땜에 그런듯.. 그게 떠받쳐주니..

  • 15. 본질
    '24.7.23 4:43 PM (124.111.xxx.183)

    대출덕분이죠.
    대출덕분에 집값이 폭등.

  • 16. 구차한변명
    '24.7.23 6:46 PM (223.39.xxx.8)

    대출 딜레마
    '24.7.23 10:39 AM (106.101.xxx.9)
    대출을 죄면
    세입자가 집을 못 구하거나
    집주인이 보증금 반환을 못 하거나

    어느 쪽에서든 반드시 자금 경색 현상이 나타나고
    실물경제에 직격탄이라
    대출 숨통을 끊을수 없음

    ————-

    아.니.요.

    대출이 어려워지면
    그 수준에 맞는 집을 찾으면 됩니다
    굳이 대출해서 구해야하는 집 말고요

    또한 보증금 반환이 어려운 집 주인은
    집을 시세에 맞게 시장에 내놓고 팔면 돼요
    반환이 어려운건 그 집 가질 주제를 안된다는 겁니다
    분수도 모르고 주제도 안되는 집 주인들을
    양산하고 있는게
    현재 지나치게 너그러운 대한민국 대출 기준인거죠

    그리고 정신차리세요
    대한민국은 시장 주도의 자유경쟁체제에요
    자금경색으로 숨통이 막힐 업체는 건설업자든 투기꾼이든간에
    충격이 왔을 때 도태되어야 시장이 자정 및 갱생되는거에요

    죽어야 할 것들이 안죽고
    나머지 산 것들의 피를 빨아먹고 있으니
    나라가 이 모양인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4622 열혈사제 넘 재밌어요~~ 15 . . . 2024/07/23 3,224
1604621 국힘 전당대회...당비도 안냈는데 투표권 받았다 4 이건뭐야? 2024/07/23 1,109
1604620 설거지 할 때 마다 손가락이 바보같아요 4 .. 2024/07/23 1,847
1604619 냄비에 비해 그리들의 장점이 뭔가요? 4 ㅇㅇ 2024/07/23 1,774
1604618 BLDC 선풍기 사려고하는데 키가 너무 큰것 같아요 6 선풍기 2024/07/23 1,477
1604617 제습기 딜레마ㅠ 조언부탁드려요 7 ㅇㅇㅇ 2024/07/23 2,375
1604616 서울근교 당일치기 갈만한곳 없을까요.....ㅠ 6 2024/07/23 2,751
1604615 날짜계산좀 해주실수있을까요? 5 dddc 2024/07/23 667
1604614 70대 여성 브랜드 추천 부탁드려요 4 ... 2024/07/23 1,800
1604613 경찰제보.밤마다 평창동에 가는 여사님 6 경찰 2024/07/23 5,604
1604612 지극히 주관적인 음식솜씨에 대하여... 10 냥냥펀치 2024/07/23 2,550
1604611 강수지 리즈 시절 영상 봤는데 5 .. 2024/07/23 4,402
1604610 중고 거래하다가 가끔 보면 주소들이.. 6 2024/07/23 2,912
1604609 코로나로 열이 이틀째 안내리는데요 9 ㅇㅇ 2024/07/23 1,830
1604608 쿠쿠얼음정수기 어떤가요? 1 ... 2024/07/23 1,079
1604607 이탈리아 친퀘테레입니다 24 ,, 2024/07/23 5,464
1604606 요즘 코로나 8 2024/07/23 2,372
1604605 손 다한증 보톡스 맞아보신분. 6 B 2024/07/23 997
1604604 김범수 라는 이름 정말 많네요 ㅇㅇ 2024/07/23 621
1604603 계약직 힘드네요 1 ㄴㄴ 2024/07/23 1,813
1604602 축협감사 청원부탁합니다 국민청원 2024/07/23 440
1604601 은귀걸이가 있는데요 ..... 2024/07/23 616
1604600 이 가방 살까요?말까요? 3 ll 2024/07/23 2,119
1604599 일란성 여자 쌍둥이는 거의 예쁜가요? 9 2024/07/23 2,391
1604598 자신감이 없어요. 젤 중요한 요손데 이게 너무 없어요. 2 ‘n 2024/07/23 1,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