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코스트코 도토리묵 가루로 묵 쑤기 실패

조회수 : 2,130
작성일 : 2024-07-20 18:45:04

설명서 대로 했는데 완전 흐물흐물 실패했어요.

하나도 쫀득 탱글하지 않고...

물과 묵가루를 6:1 비율로 하고

중불에서 저어주며 끓이다

굳기 시작하면 3-5분 더 저어주고 식힌다...

근데 인터넷 찾아보니까 40분은 저어줘야 잘 된다네요.

원래 묵이 이렇게 쑤기 어려운 건가요?

관건은 40분 정도 저어주기였나요?

IP : 175.208.xxx.16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시 끓여요
    '24.7.20 6:47 PM (125.182.xxx.24) - 삭제된댓글

    굳은 묵 냄비에 넣고 약불에 다시 끓이세요.
    수분날리며 타지않게 잘 저어 준 후
    굳히면 탱글탱글 해집니다.

  • 2. 다시 끓여요
    '24.7.20 6:48 PM (125.182.xxx.24)

    실패한 묵 믹서에 갈거나 부셔서
    냄비에 넣고 약불에 다시 끓이세요.
    수분날리며 타지않게 잘 저어 준 후
    굳히면 탱글탱글 해집니다.

  • 3. 다시
    '24.7.20 6:49 PM (210.123.xxx.144)

    40분은 너무 했고 20분정도는 저어주고 되직하게 떨어질때 굳히면 되던데요.
    다시 잘 살려보세요.

  • 4.
    '24.7.20 6:55 PM (116.125.xxx.12) - 삭제된댓글

    40분정도 저어줘야 해요

  • 5. 뭐지
    '24.7.20 6:56 PM (112.167.xxx.92)

    6:1로 몇번했는데 잘 되던데요 걍 물 넣고 저으면서 한번 끓으면 바로 불 끄고 네모그릇에 넣고 식히면 묵이 잘됨

  • 6.
    '24.7.20 6:56 PM (116.125.xxx.12) - 삭제된댓글

    40분정 저어줘야 하니
    다시 냄비에 붓고 약불에서 주걱으로 쭉 그었을때
    냄비 바닥이 일자로 보이면 된거에요

  • 7. ...
    '24.7.20 7:02 PM (14.51.xxx.235)

    저도 실패했어요 또 실패할까봐 못하고 있어요

  • 8.
    '24.7.20 7:15 PM (116.37.xxx.236)

    도토리는 신기한게 10분정도 저어가며 끓이면 굳은 느낌이 들어요 그때 멈추면 망해요. 무시하고 계속 저으면 다시 풀어지거든요. 그걸 계속 저으며 끓이다보면 다시 단단해져요. 그럼 불 끄고 뜸 들이세요.

  • 9. 오래전에 농협
    '24.7.20 8:06 PM (123.214.xxx.146)

    에서 가루 사서 해보고 실패한 후
    다시는 안사요.

    가루는 죄없고
    내 손이 문제라고 생각해서요. ㅜㅡ

  • 10.
    '24.7.20 8:24 PM (121.167.xxx.120)

    다 된거 같으면 약불에서 15분 정도 저으세요
    쫀득하게 맛있게 돼요

  • 11. ..
    '24.7.20 8:33 PM (61.43.xxx.131)

    주걱으로 계속 저어주다가 떠서 흐르게하면 막이 생기면서 떨어져요
    그때 불끄고 굳히면 탕글탱글하게 잘돼요

  • 12. 미적미적
    '24.7.20 11:19 PM (211.173.xxx.12)

    오래 저어줘야 탱글거리나봐요 저도 휘리릭 끓고 걸쭉해지길래 금방 멈췄더니 주르륵...맛도 없고 진죽같이 되버렸어요

  • 13. ㅇㅇ
    '24.7.21 1:42 AM (172.226.xxx.9)

    40분은 너무 했고 뽀글뽀글 올라오고부터 15분 정도 더
    저어주면 되는데 흐물거리면 5:1로 재도전 해보세요. 날씨 영향도 받아요.

  • 14. 맛있는데요..
    '24.7.21 10:14 AM (121.167.xxx.207)

    5대1. 비율 아닌가요?
    센불에서 하다가 끓기시작함 중약불에 참기름넣고 ~
    유리통에 넣고 하룻밤 냉장고에 두었더니
    완~~~~~전 맛있게 되던데요?
    15분도 안걸린듯 하고 처음 해봤어요.
    참고로 요리똥손..(옛날 생각나서 사봤는데 맛있어서 쟁일까생각중입니다)

  • 15. 맛있는데요..
    '24.7.21 10:18 AM (121.167.xxx.207)

    실리콘주걱으로 한방향으로 계속 저어주세요.
    색깔이 진해지면 다 된것 같아요.
    저는 까먹고 5스푼 물25스푼 넣었는데
    원래는 6대1일수도 있어요~^^

  • 16. 담람쥐
    '24.7.21 1:53 PM (61.247.xxx.149) - 삭제된댓글

    가 별명일정도로 도토리묵을 자주 먹는 사람입니다. 몇년째 거의 밥대신 먹어요.

    이 더운 날에도 주 3회이상 만들어 먹어요.

    제 방법

    도토리 한컵에 물 4컵을 넣어 대충 저어놓습니다. 30분쯤 그대로두면 도토리가루가 물에 다 가라앉아 있는데 주걱으로 가라앉을 것들을 저은다음 불에 올려 저어줍니다. 방향 상관없어요. 편한대로 저어주세요. 그렇게 저어주다가 도토리 물이 죽처럼 엉기면서 색이 진해지기 시작하는데 베이지색 도토리물이 전부 진한갈색으로 변한 시점에서 불을 줄이고 주걱으로 냄비를 빙둘러 크게 400 바퀴 저어 주세요. 팔 아프면 300번만 저어도 먹을만은 합니다.

    . 짧게 젓는건 빼고 냄비를 빙둘러 크게 도는 것만 한바퀴로 세세요.
    . 탱탱한 묵은 물 4컵
    . 약간 탱탱한 묵은 물 4컵반이면 충분합니다.
    . 다 쑨 묵은 냉장고에 장시간 넣지 마세요. 식감도 안좋고 맛없어 못 먹습니다. 부득이하게 냉장보관한경우 뜨거문 물에 데쳐서 드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3790 굿파트너 장나라씨 끝음을 덜 올리니까 9 드라마 2024/07/21 4,677
1603789 여자혼자 국내여행 추천해 주세요 여행 2024/07/21 782
1603788 네이버멤버쉽 요기요 무배 알려주신분 감솨~ ㅁㅁ 2024/07/21 931
1603787 배웅 하는 꿈 4 꿈에 2024/07/21 1,070
1603786 남편 사망시 국민연금 납입중인 부인의 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21 여름 2024/07/21 6,783
1603785 국짐 이상민 현수막 선동 9 ... 2024/07/21 1,576
1603784 10년차 아파트 매수할려는데 기본 인테리어? 아파트 2024/07/21 914
1603783 연예인들 호화 생활 49 .. 2024/07/21 31,381
1603782 냉동조기 실온에 해동했다가 구웠는데 11 ㅁㄴㅁㅁ 2024/07/21 2,150
1603781 주가조작단이 통치하는 나라 11 2024/07/21 1,062
1603780 오물 풍선 받고 대북 방송 하지마라 2 참나 2024/07/21 780
1603779 급질문)스페인어 학원 2 하니미 2024/07/21 948
1603778 서울 비싼호텔도 20대가 바글바글 20 ㅇㅇ 2024/07/21 8,451
1603777 사투리 퀴즈 15 사투리 2024/07/21 1,919
1603776 엄청 부잣집딸이었다면 어떤식으로 사셨을것같나요? 25 .. 2024/07/21 5,145
1603775 햇빛을 싫어하고 겨울에 에너지 얻는 분,있으세요? 15 2024/07/21 1,944
1603774 성역없는 수사 좋아하시네.. 11 어이없다 2024/07/21 1,526
1603773 방금 남편이 짧은 문자보냈네요 46 ... 2024/07/21 36,495
1603772 치매 아버님의 욕창 9 ... 2024/07/21 3,911
1603771 잘살고, 공부 잘하는 사람이 성격좋고 잘생겼다. 14 음.. 2024/07/21 3,193
1603770 어렸을때 티비에서 본 박남정 일화 4 ㅇㅇ 2024/07/21 2,249
1603769 고추장아찌 국물로 깻잎장아찌 만들어도 될까요? 4 d 2024/07/21 984
1603768 일기예보가 이렇게 틀려도 되는겁니까요 5 ... 2024/07/21 3,047
1603767 같이 여행가고싶어하는 부모 15 ㅇㅇ 2024/07/21 5,170
1603766 살몬은 어느 나라 말인가요? 44 방송에 보니.. 2024/07/21 4,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