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못배우고 가난?해도 반찬통째 놓고 안먹어요..

soo 조회수 : 4,416
작성일 : 2024-07-09 11:34:06

우리부모님이랑 할머니  시골에서 자랐고

배우지도 못하고  부자도 아닌데

밥먹을때  접시에 반찬  담아서 밥상차리고

먹고 남은건   마당에서 키우는  개들  줬어요.

 남은 음식 중  개가 못 먹거나  버리기 아까운건

접시나 그릇에 담아놨다  덮어놓은 다음  다음끼니에 먹고요.

찌개냄비 하나놔두고  모두  숟가락 넣고 먹는것도 없었고

다 국그릇에  개인별로 담아줬어요.

 

제사상 차릴때도 다  제기(제사상 차릴때  쓰는  그릇)에    음식별로 담아  놓잖아요.  

도자기문화 발달해서 옛날 조선시대 사진봐도 

그릇에  반찬 국  따로 담아있고요.

 

통째먹는  문화는  급변하는  시대속에서  어디서 갑자기  

생겨난것 같다요.  1인가구  증가나 그런거요.

 

근데 우리집은   가난?해도 양반성씨  종갓집 가문이긴해요. 

그래서 그런지 어쩐지 모르겠는데 접시에 덜어먹는 문화가 있었어요 

 

근데 지금 또 어느집에 가보면 많이 배우고 

집도 어느정도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찬통째 먹는  집이 있는데

어릴때부터 굳은 습관이라 어찌하지 못하나보다

그렇게 생각해요.

 

 

IP : 223.38.xxx.21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7.9 11:37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저희 엄마는 반찬 통채로 먹고 하는거 그런거 굉장히 싫어하셨어요....
    그래서 어릴때부터 혼자 먹을때는 그릇 많이 안쓸려고
    그냥 한접시에 먹고 싶은 반찬 조금씩 담아서 사용하면 접시랑 밥그릇 국그릇만 설거지 하면 되니까 설거지하기도 편리하고 음식물 쓰레기도 안나오고 좋은것 같아요..

  • 2. ...
    '24.7.9 11:38 AM (114.200.xxx.129)

    저희 엄마는 반찬 통채로 먹고 하는거 그런거 굉장히 싫어하셨어요....
    그래서 어릴때부터 혼자 먹을때는 그릇 많이 안쓸려고
    그냥 칸막이접시에 먹고 싶은 반찬 조금씩 담아서 사용하면 접시랑 밥그릇 국그릇만 설거지 하면 되니까 설거지하기도 편리하고 음식물 쓰레기도 안나오고 좋은것 같아요..

  • 3.
    '24.7.9 11:38 AM (211.234.xxx.161)

    자잘한 생활습관은 그냥 옳고 그르다기보다 생각의 기준이 다른 겁니다.
    나는 내가 깔끔쟁이라고 생각하는데 내 특정한 모습이 남한테는 더럽게 느껴질 수 있는 거고요.
    그러니 다들 적당히 감수하고 살아야지 냅다 남 비난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 기준 다 만족하면서 살까요.

  • 4. 성씨요?? ㅎㅎㅎ
    '24.7.9 11:41 AM (211.218.xxx.194)

    그건 그냥 보고배운데로 사는거죠.
    아마 가난해도 살림하는 엄마가 있어서 차려먹었으면
    그냥 당연히 차려먹는거라 생각할고.
    그걸 못보고 자란 형편이면 그럴수 있다 생각해요.
    엄마가 일하러 다니고 너무 바쁘다. 혹은 엄마가 없다. 혹은 엄마가 차리는걸 못배우고 자랐다.

    tv동행 이런거 보면 그렇게 먹는 집들 많잖아요.
    남을 지적할때는 고려는 해야한다고 봐요.
    요즘은 부잣집애들이 공부잘하는 것도 불평등이라고 보는 세상이던데.

  • 5. ..
    '24.7.9 11:55 AM (106.101.xxx.102)

    김수현드라마 식사장면에
    대가족이 모여먹는데 찌개 하나에 숟가락이왔다갔다

  • 6. 이건
    '24.7.9 11:58 AM (58.29.xxx.196)

    부자니 서민이니 이런거 떠나서 설거지 하기 싫은 엄마일 경우 반찬통째 놓고 먹는거 아닌가요.
    있는 집인데 반찬통째 꺼내먹는 집도 꽤 봐서...

  • 7. ...
    '24.7.9 11:59 AM (118.235.xxx.164) - 삭제된댓글

    반찬통 통째로 덜어 먹는 게
    비위생적이란거죠.
    깔끔 떨고 예민하고 오지랖 부리지마!
    난 평생 이렇게 먹고
    우리 애들 키웠어! 그래도 안 죽었다!
    우리 시모가 하는 말이에요.
    그런데 반찬통 하나만 문제 있는 게 아니에요.
    설거지도 음식할 때도, 빨래도..
    위생에 대한 개념이 없으니
    모든 게 엉망이거든요.
    식문화도 예절이고 가풍입니다.
    잘배워야 사회에 나와도 실수 안 하고
    좋은 습관을 갖게 되는 것.
    TV에 유튜브에 다 그러고 살아..그럼 따라 해야 하나요?

  • 8. 심지어
    '24.7.9 12:13 PM (223.38.xxx.219) - 삭제된댓글

    심지어 국수류 후루룩 소리내서 먹는도 전혀 없었어요.
    없고 가난한 사람들도 이렇게 격있게 식문화생활을 한 집도 있답니다.

  • 9. soo
    '24.7.9 12:15 PM (223.38.xxx.219)

    심지어 국수류 후루룩 소리내서 먹는것도 전혀 없었어요.
    없고 가난한 사람들도 이렇게 격있게 식문화생활을 한 집도 있답니다.

  • 10. 짜짜로닝
    '24.7.9 12:15 PM (172.225.xxx.231)

    남의집 식문화에 관심들이 참 많네요.
    나 먹고살기도 바쁜데..
    어제 밤에 애들이랑 먹고 남은 마라탕 국물
    인덕션 위에 방치했다가 지금 바르르 끓여서
    냄비채 밥말아 먹으려는 사람이 지나가다 댓글답니다.. ㅋㅋ

  • 11. 그리고
    '24.7.9 12:30 PM (223.38.xxx.219)

    그리도 또
    밥상위에 음식담은 그릇들이 올려지면
    우리자식들은 숟가락 젓가락 놓고
    어른들 오시면 식사하고
    밥다 먹으면
    절간에서 하는것처럼 밥그릇에 물 담아서 마셨어요.

    가난하고 못배운 옛날사람들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 해요.
    방송이 너무 망쳐놨어요.

  • 12. 후루룩
    '24.7.9 12:30 PM (112.167.xxx.92)

    하고 먹고 반찬통으로 먹어요 가족들끼리 먹을땐

    찬 주르륵 놓는게 일이더구만 글서 메인요리를 주로 먹어 찬이라고 해봐야 한두개라

    가족끼리 먹는데 후루룩이면 어떻고 찬통채로 먹음 어떻다고 남 먹는걸로 가타부타하나요 집집마다 알아서 먹음 되는걸

  • 13. ㄱㄴ
    '24.7.9 12:38 PM (211.112.xxx.130) - 삭제된댓글

    님 양반집 김먹는 방법 아세요? 제사때 밤 윗쪽각 몇번 떠야하는거 아세요? 저희 집안은 그런것 까지 깐깐하게 지키는 양반 집안이라 제가 어딜가도 저보다 밥상예절 잘 아는 사람은 본적이 없거든요.
    이런글은 일기장에 쓰세요. 남이야 어떻든
    왜 우월감에 도취되어 남을 까내리는 글을 쓰세요?
    님 김쌈 하는법 모른다고 생밤 윗쪽 각내는거 모른다고 반찬통째로 놓고 먹는 사람과 같은 취급하면 님 기분 어떻겠어요. 그집 어머닌 사는게 바빠서 그럴지도 모르잖아요.

  • 14. ...
    '24.7.9 12:49 PM (223.38.xxx.207)

    저는 누굴 깎아내릴려고 쓴글이 전혀 아니에요.
    반찬 통째먹는 문화가 못배우고 가난한 사람들이 하는 행동이라는 편견이 있어서
    그게 아니다 틀릴수도 있다를 말하는거에요.
    다들 각자집안 환경이나 성향에 따라 다르니
    고정관념을 버리라는거요~

  • 15. 가정교육은
    '24.7.9 12:55 PM (1.224.xxx.104) - 삭제된댓글

    결국 보는게 다예요.
    제 시누가 결혼할 남자를 인사시킨다고 데려왔는데,
    개인 접시 다 세팅해줬는데도
    그냥 고봉밥위에 반찬 걸쳐놓고 먹더군요.
    그사람 네이버 검색해도 나오는 부자예요.
    자수성가도 아니고,
    부친은 제법 큰 중견기업 사장.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6818 구글시트는 어떻게 저장을해요? 2 123 2024/10/08 665
1626817 KTV 공연 김건희 황제 관람 6 ㅁㄴㅇㄹ 2024/10/08 1,476
1626816 국경 없는 의사회 믿을 수 있는 기관인가요? 6 궁금 2024/10/08 2,160
1626815 중국주식이 전세계 7 ... 2024/10/08 2,162
1626814 시계 둘 중 딱 골라주세요 (백화점에서 고민중) 16 결정장애 2024/10/08 2,772
1626813 김거니..직접거래 '상대방이 모친인지 몰라' 9 ... 2024/10/08 1,471
1626812 지하철안에서 6 아이고 2024/10/08 1,662
1626811 스파게티면에 올리브유가 없어요 6 워쪄 2024/10/08 1,912
1626810 계속 심장이 뛰고 불안한데요 7 00 2024/10/08 2,119
1626809 운동신경 좋으면 써핑 레슨 안 받아도 할 수 있을까요 5 써핑 2024/10/08 691
1626808 치아에 금이 가면 임플란트 하는 게 맞나요 25 .. 2024/10/08 3,398
1626807 가스 3구 중 한 개만 불이 켜집니다. 고장인가요 8 문의 2024/10/08 1,391
1626806 불고기 익힐때 거품? 안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2 띠링띠링요 2024/10/08 1,073
1626805 신도림역 동문 디 이스트 청약할까요? 2 아파트 2024/10/08 1,296
1626804 김치에도 다시다 넣나요? 13 ,,,, 2024/10/08 3,169
1626803 교포, 정치무관심, 예술종사자 운운하던 7 문준용 수준.. 2024/10/08 993
1626802 샤넬은 어쩜 스킨토너 향기도 이렇게 좋을수가 있는건가요? 9 ,,,, 2024/10/08 3,072
1626801 내일 아침 7시 골프라운딩인데 간식 뭐 가져갈까요?? 5 .... 2024/10/08 2,249
1626800 셀프등기시 매도인이나 부동산에게 받아야할 서류가 있을까요? 1 셀프 2024/10/08 852
1626799 팔꿈치가 아주 까만데 조금이라도 밝게는 어려울까요? 10 궁금 2024/10/08 2,072
1626798 클래식 음악 찾고 있어요 7 ㅇㅇ 2024/10/08 1,205
1626797 쿠션을 원래 쓰는거보다 밝게 샀는데요.. 구제할 방법 5 ........ 2024/10/08 2,351
1626796 고1 과외 처음이에요. 과외 선생님 구할때 유의사항 있을까요? 7 조이조이맘 2024/10/08 1,367
1626795 텀블러 제조사 중국,태국. 다 이런가요 3 2024/10/08 1,186
1626794 위스키만 먹을 수 있고 소주 맥주 막걸리 와인 다 못 먹어요 알콜 2024/10/08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