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90년대만해도 며느리가 시부모 간병하는것 흔한일인가요?

.......... 조회수 : 5,320
작성일 : 2024-07-08 20:59:36

요즘은 남편이 부인한테 치매걸린 시부모 간병하라고 말하면

이혼당하기 쉽지만..

90년대만해도 며느리가 시부모 간병하는게 흔한일인가요?

그때는 요양병원,요양원이 거의 없을때인데요..

 

 

IP : 121.165.xxx.24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7.8 9:00 PM (175.121.xxx.114)

    3대가 함께ㅜ사는집이.많았어요

  • 2. 보통
    '24.7.8 9:02 PM (221.168.xxx.73) - 삭제된댓글

    90년대면 아직 우리나라가 개도국상태였고,
    그당시 4-50대 여자가 워킹맘도 흔하지
    않았으니 많이 같이 살았을거 같아요,

  • 3. ..
    '24.7.8 9:03 PM (61.254.xxx.115)

    그때는 부모랑 합가해서 산다 해도 결혼해주는 여자 꽤 많았어요
    제주변 보면 대부분은 독립해서 나오긴했는데 10퍼센트는 합가해서 살았던거 같아요 사랑이뭐길래나 엄마의 바다 ,목욕탕집 남자들 드라마만 봐도 다 합가해서 살았었죠 90년대초 드라마요 강주은만 해도 최민수 엄마 돌아가시전에 같이 살았었어요

  • 4. ...
    '24.7.8 9:05 PM (212.102.xxx.16) - 삭제된댓글

    그 당시 드라마만 봐도 그렇잖아요.
    2000년대 아주 극초반 드라마인데 차인표네 집과 김남주네 집 나오는데
    차인표네 집에서 할머니가 치매인데 엄마가 모시고 살면서 케어.
    요즘같으면 당연히 요양원으로 보내죠
    90년대 드라마인데 김용림이 치매걸린 시어머니를 집에서 모신다는 설정이였죠.
    재벌집으로 묘사되는데
    요즘같으면 시설 최상인 요양병원에 모시고 들여다 보지 않았을까요?

  • 5. 보통
    '24.7.8 9:05 PM (221.168.xxx.73)

    80년대 우리나라가 개도국상태였다가 90년대부터 나아지긴 한거 같은데 지방 변두리에서도 같이 사는집은 10집에 2-3집
    정도 였던거 같기도 해요, 80년대 이후느 많이들 독립가정시초같아요,
    그런데 그당시 4-50대 여자가 워킹맘도 흔하지 않았으니
    수도권은 몰아도 시골은 같이 살았을거 같아요,

  • 6. ㅁㅁ
    '24.7.8 9:05 PM (212.102.xxx.16)

    그 당시 드라마만 봐도 그렇잖아요.
    2000년대 아주 극초반 드라마인데 차인표네 집과 김남주네 집 나오는데
    차인표네 집에서 할머니가 치매인데 엄마가 모시고 살면서 케어.
    요즘같으면 당연히 요양원으로 보내죠
    90년대 드라마인데 청춘의 덫, 김용림이 치매걸린 시어머니를 집에서 모신다는 설정이였죠.
    재벌집으로 묘사되는데
    요즘같으면 시설 최상인 요양병원에 모시고 들여다 보지 않았을까요?

  • 7. ..
    '24.7.8 9:07 PM (61.254.xxx.115)

    2002-2003년 드라마인 인어아가씨도 아리영이 시부모 모시는집으로 들어갔음.

  • 8. 얼마 전까지도
    '24.7.8 9:09 PM (172.226.xxx.8)

    드라마에 대가족이 살면서 큰 상에 둘러앉아 잔칫상처럼 차려놓고 같이 밥먹고 여자들 밥차리네, 치우네 동동거리는 거 많이 나왔잖아요. 그런 거 볼 때마다 숨막힘. 집안일도 돌봄도 다 여자들 몫..
    요즘은 그래도 많이 바뀌었죠.

  • 9. ㅇㅇ
    '24.7.8 9:11 PM (114.206.xxx.112)

    그땐 그랬어요

  • 10. ㅇㅇ
    '24.7.8 9:12 PM (27.1.xxx.147)

    3대 같이 사는 드라마들 많았죠
    전원일기부터 바람은불어도, 김수현드라마들..
    3대까지 아니어도 시이모들 맨날 놀러와서 같이 죽치고있고
    목욕탕집남자들 ..일단 직계친척들 바글바글

  • 11. ..
    '24.7.8 9:12 PM (58.79.xxx.33) - 삭제된댓글

    코로나 지나고 시외가 시친가 명절차례 기제사 참석안합니다. 제사지내는 큰집만 지내거나 제사 없앴어요.

  • 12. ..
    '24.7.8 9:13 PM (61.254.xxx.115)

    인물이 다양해야 쓸거리가 풍부하고 많으니 김수현작가가 대가족 위주의.얘기를 많이 썼나 싶어요

  • 13. 시누네
    '24.7.8 9:16 PM (210.121.xxx.147) - 삭제된댓글

    홀시어머니가 친정엄마 모시고 두 식구 살다가
    치매와서 요양원에 모셨어요
    그시절엔 요양원이 외곽에 있었어요

  • 14. ..
    '24.7.8 9:18 PM (58.79.xxx.33)

    그 당시 시모가 늙어서 아직도 며느리 오라가라 이래라저래라 전화해라말아라 부주해라말아라 난리잖아요 ㅜㅜ

  • 15. ...
    '24.7.8 9:42 PM (211.202.xxx.120)

    신혼부부들 쪽방 하나에 살았잖아요 그때는 방 하나만 있으면 어디든 살았죠

  • 16.
    '24.7.8 9:44 PM (122.36.xxx.160)

    지금도 80~90대의 시부모는 며느리에게 기대치가 높아요.
    불과 10여년 전까지도 전업 며느리가 있으면 당연히 시부모 입원시에도 병간호 요구 받았조.

  • 17. ...
    '24.7.8 9:57 PM (115.138.xxx.39)

    요즘은 요양원이 지천에 널렸잖아요
    내부모님도 집에서 못모셔요
    나 역시도 늙은몸 내자식한테 신세질 생각은 하나도 없구요

  • 18. ..
    '24.7.8 10:05 PM (61.254.xxx.115)

    맞아요 힘들어서 내부모도 못모시는 시대에요

  • 19. ...
    '24.7.8 10:20 PM (221.151.xxx.109)

    그렇죠
    여자들 사회생활 치열하게 하는 시절도 아니었으니

  • 20.
    '24.7.8 10:21 PM (119.70.xxx.90)

    그땐 그랬어요
    치매할머니 울엄마가 돌보고 꼼짝도 못하셨음
    막 가출하시니 밖에 못나가게 자물쇠 문 꼭대기에 달고
    퇴근해오면 나한테 하소연하시고ㅠㅠ
    그러다 돌아가시니 장례식장 손님들이 엄마칭찬을ㅠㅠ

  • 21.
    '24.7.8 10:26 PM (14.33.xxx.113)

    80~90년대엔 며느리가 간병 안하면
    욕 먹는 시대였죠.
    여자들 사회생활 많지 않았던 새대라
    결혼하면서 직장 많이들 그만두고
    살림했어요.그땐 셋방 살아도 혼기차면
    결혼해야하는 분위기였죠.
    Imf이후 결혼적령기 늦어지고
    여성들 사회생활 점점 늘었던거 같아요.
    남편돈으로 사는거 아니니
    경제적으로 친정챙기는
    경우 많아지고
    시댁에서도 희생강요하는 분위기 사라져 가네요.

  • 22. ㅇㅇㅇ
    '24.7.8 10:33 PM (175.199.xxx.97) - 삭제된댓글

    드라마가 좀사회를 뒷따라 간듯요
    당시 주택 마당있고
    방한칸에 아들 내외
    다른방한칸에 부모
    큰방에 할머니 등등
    죄다 방에요깔고 .
    그런집도 있었는데
    이미 월드컵때 슬슬 합가보다는 따로사는분위기였어요
    저포함 위아래 선배 친척언니등
    합가하자했음 결혼안했을듯요
    드라마때문에 한국은 침대없는줄 알았다고

  • 23. 90년대중반
    '24.7.8 10:50 PM (121.124.xxx.33) - 삭제된댓글

    막 30된 옆집 애기 엄마가 한살 세살 아이 키우며 노모 모셨어요. 몸을 못 써서 똥 오줌 다 처리해야했는데 그때는 요양원이 없었을까요?
    가끔 우리집에 놀러 와서 차마시는게 유일한 숨통이라 했어요ㅠ

  • 24. ...
    '24.7.9 12:53 AM (58.29.xxx.45)

    어릴때라 몰랐는데 세상히 빨리 변했네요

  • 25. 그땐
    '24.7.9 9:12 AM (172.226.xxx.41)

    그랬죠
    그 시절엔 시골에선 장례도 동네 타작마당에서 꽃상여로 치르던 시절이었어요

  • 26. ..
    '24.7.9 12:17 PM (61.254.xxx.115)

    맞아요 결혼은 예식장에서 했고 장례는 집에서 했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0139 딸이 이혼한 아버지의 재산권을 주장할 수 있나요? 17 .. 2024/09/15 5,047
1620138 초무침 초장의 황금 비율 있나요 6 ,,, 2024/09/15 1,519
1620137 우리 강아지 화났나 봐요 11 2024/09/15 3,181
1620136 상의 66이고 ,하의 77은 어디에 맟춰야 하나요? 2 옷 사이즈 2024/09/15 1,121
1620135 소갈비 질문이요 2 ... 2024/09/15 674
1620134 몇년씩 떨어져 있는 중년 부부들 질문있어요 16 증년부부 2024/09/15 4,561
1620133 간호간병 통합병동 입원시 준비물은 어디까지? 6 알려주세요 2024/09/15 1,725
1620132 유통기한 지난 우롱차 1 보름달추석 2024/09/15 719
1620131 복숭아 4개 오천원이면 가격 괜찮나요? 5 또살까 2024/09/15 1,327
1620130 명절 음식도 안하고 그냥 평소처럼 지내는 분 계세요? 15 조용히 2024/09/15 4,017
1620129 시판 엘에이갈비 양념 최고봉? 7 ㅇㅇ 2024/09/15 2,019
1620128 소갈비찜 너무 느끼하게 됐는데요 8 ........ 2024/09/15 1,622
1620127 자식도 없는데 말년복록이 있다는데 11 ㅇㅇ 2024/09/15 3,085
1620126 추석에 먹을 음식 추천 좀 해주세요 6 ... 2024/09/15 1,496
1620125 식혜만들었어요. 6 식혜 2024/09/15 994
1620124 미혼도 사촌누나 결혼식에 축의 따로 하나요? 11 질문 2024/09/15 2,618
1620123 나물이랑 탕국 2 double.. 2024/09/15 1,038
1620122 퇴계 이황 차례상 보고 가세요 15 .. 2024/09/15 4,331
1620121 보청기 조금이라도 싸게 할수 있는 곳 있나요? 2 보청기 2024/09/15 713
1620120 고모 돈봉투 글 내렸나요? 40 아이고 2024/09/15 13,509
1620119 인생삼퓨 찾아요~~ 9 애터미 2024/09/15 2,006
1620118 유난이다, 트기하네 끌끌,,,, 5 2024/09/15 1,654
1620117 제사는 유교지만 보통 불교믿는분들이 지내 잖아요? 8 제사 2024/09/15 1,269
1620116 최고온도 34도 체감 온도 39도래요. 8 현재 날씨 2024/09/15 4,193
1620115 송편 가격이… 10 2024/09/15 3,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