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에게 카드 주시는 분들?

어쩐다 조회수 : 2,268
작성일 : 2024-07-05 11:23:52

외동아이라 자산(집 30억, 현금 10억) 전부 아이 차지가 될거고, 아마도 결혼은 안하지 싶어요. 이제 조금씩 돈을 버는데 알바 수준이라 얼마 안됩니다.

다행히 본인도 소비욕구가 없어서 진짜 돈을 안써요 ㅜㅜ

저희 부부도 자산에 비해 소박하게 삽니다. 은퇴 후 연금은 4~5백인데 그거면 부부 둘 충분히 사는 라이프스타일이예요.

특히 남편은 골프도 안하고 국산차 10년째 타고요.

저도 마찬가지.

조만간 독립시키면 생활비며 돈이 들텐데 본인 월급은 모으라고 하고 저희 카드를 주는게 나을지 아니면 자기가 번 돈으로 이리저리 궁리하며 쓰고 저축하는 법을 배우게할지 고민입니다

IP : 211.104.xxx.4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7.5 11:28 AM (121.185.xxx.105)

    아이를 위한다면 독립심을 키워 줘야죠. 그리고 노후에 어찌될지 모르는데 아끼셔야 해요.

  • 2. ....
    '24.7.5 11:29 AM (112.220.xxx.98)

    아들은 아들인생이고
    님부부 좀 쓰고 사세요
    차도 바꾸고 여행도 가고
    이재산 다 니꺼다 이런 말도 하지마세요

  • 3. 저희
    '24.7.5 11:32 AM (210.205.xxx.198) - 삭제된댓글

    저희는 취업한 아이 두 명에게
    각각 월100씩 용돈 주고있어요.

    세테크 차원에서
    미리 지원해주는 집들 주변에 많아요.
    카드 주는 집도 많고요
    본인 월급은 모으게 하고요

  • 4. ....
    '24.7.5 11:33 AM (121.137.xxx.59)

    자녀한테 저축과 투자 방법 알려주시고
    본인 버는 건 저축, 생활비는 부모님 카드로 하게 하는 게
    장기적으로는 제일 낫지요.

    자녀분 성향이 돈을 안 쓰는 쪽이라니 다행이기는 한데
    돈을 좀 써야 누릴 수 있는 즐거움도 세상에 꽤 있잖아요.
    본인도 벌고 또 투자해서 누리면 좋잖아요.

  • 5. ㅇㅇ
    '24.7.5 11:35 AM (106.102.xxx.132)

    비공개 게시판에서 답변 다는 분들은요
    원글님네와 경제적 사정이 많이 다른 경우가 많아서요
    주변의 비슷한 경제력인 분들을 참고 하시는게 낫습니다
    아마도 강남, 서초의 신축 국평 ~ 구축 40평대 정도 거주 하시는 중산층 이신거 같은데요
    제 주변 그 정도 분들은 미리 증여 생각해서 자녀한테 카드 줍니다

  • 6. ㅇㅇㅇ
    '24.7.5 11:40 AM (175.199.xxx.97) - 삭제된댓글

    독립이 어떤독립인지
    대학입학으로 그냥 알바정도인지
    아님사회생활하면서 전적으로 돈을버는지
    저라면 대학생이면 주고
    후자는 안줄듯요

  • 7. 주위에
    '24.7.5 12:11 PM (223.62.xxx.182) - 삭제된댓글

    살만한 집들은 카드 주고 월급은 다 모으게해주는 이게 추세같긴 한데
    멀리보면 안좋은 선택 같아서 저라면 후자.
    그런데 단기적으로 바짝 모으는 게 좋다면 전자
    선택은 원글님 몫

  • 8. 근데
    '24.7.5 12:11 PM (59.15.xxx.53)

    왜 아이가 결혼은 안할거라고 생각하시는거에요?
    이유가 있으세요? 아이가 아직 어린거같은데

  • 9. ...
    '24.7.5 12:26 PM (106.244.xxx.134)

    카드 주는 게 독립시키는 건가요?
    차라리 가끔 크게 도와주는 게 낫지 카드 줘서 매달 쓰게 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 10. ..
    '24.7.5 1:10 PM (211.208.xxx.199)

    본인 버는 건 저축, 생활비는 부모님 카드로 하게 하세요.
    미리 증여를 생각하세요. 222

  • 11. 제 주위에
    '24.7.5 1:23 PM (58.230.xxx.235) - 삭제된댓글

    원글님 정도의 생활규모면 대부분 자식 생활비 월 얼마씩 보조해 줘요. 아껴봤자 나중에 다 증여세니 상속세니 세금으로 수억 나갈텐데 내 자식에게 인색하게 할 필요 뭐 있냐고요.

  • 12. 저도
    '24.7.5 2:29 PM (180.70.xxx.42) - 삭제된댓글

    아이들 경제관념 가르치는게 참 어려운 세상이에요.
    어차피 자식인데 마음 같으면 카드 주고 펑펑 쓰라고 하고 싶지만 또 그러면 안 되잖아요.
    적당히 쓰라고 해도 카드를 손에 쥐워주는 순간 애들 씀씀이가 점점 커지더라고요.
    그리고 무슨 도깨비 방망이 가진 양 돈에 대한 개념도 없어지고요.
    올바른 가치관 가지고 인간답게 제대로 살게 하려면 나중에 증여세 상속세 내더라도 경제적 독립을 시켜야 하는 건지 고민이 많아요.

  • 13.
    '24.7.6 6:22 AM (125.244.xxx.234)

    저희 시부모님은 저 살림하고 재테크하는거 5년쯤 지켜보시더니 믿을만하신지 지원해주시더라구요. 신혼 때 대출이 있을때는 진짜 졸라매고 살았는데 이제 결혼 10년차 집 두 채에 빚이 없으니 슬슬 씀씀이가 커지고 있어요. 그래도 헤프게 쓰는 편은 아니지만 확실히 느슨해지네요.

    저도 10년 15년 뒤에 할 고민인데요
    그런 경험에 비추어봤을 때
    자녀 소득이 있다면 본인 명의로 요지에 아주 작은거라도 부동산 구입하고 대출 일으켜서 본인 월급으로 매달 상환하도록 하고 부모가 생활비를 보조해주겠어요

    돈은 쉽게 쓸 수 없게 묶어야 모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6908 식기세척기 설치할 공간 보는데 2,3 센티씩 모자라요(도움부탁).. 13 윤수 2024/09/05 1,915
1616907 장성철이 정치인싸에서 한남동과 창원에 먹구름이 끼어있단 소리를 .. 2 요지경 2024/09/05 1,539
1616906 82님들 카카오 쇼핑 많이 하시나봐요~? 5 ㅡㅡ 2024/09/05 1,170
1616905 정말 너도나도 화장품연구원이네요 21 2024/09/05 5,404
1616904 운동화에도 여자 운동화와 남자 운동화가 있나요? 3 운동화 2024/09/05 918
1616903 병원1층 로비에 보험금 대신 청구해주는곳 9 모모 2024/09/05 1,573
1616902 배추김치 머리부분이 좀 흐물거리는건 ?? 2024/09/05 410
1616901 추석가족모임 11 힘듬 2024/09/05 3,286
1616900 윤석열을 파면한다!! 10 법으로단죄하.. 2024/09/05 1,562
1616899 김건희, 총선 공천개입 증거 터졌다!(feat. 국정농단) 18 ㅇㅇ 2024/09/05 2,142
1616898 인도와 도로 사이의 화강암 경계석 너무 미끄러워요 5 ... 2024/09/05 1,002
1616897 일본가는 관광객을 일본인들이 여기와서 조사한대요? 3 일본비자 2024/09/05 1,471
1616896 이 정치평론가가 9월 첫주에 먹구름이라더니. 공천 개입 알고 있.. 3 영통 2024/09/05 1,001
1616895 공복후 아침 쾌변 2 2024/09/05 1,926
1616894 역시 탯줄이 최고 ㅎㅎ 13 .... 2024/09/05 4,653
1616893 돼통실, 급반박…“공천이 안됐는데 무슨 개입이냐” 20 가관이네 2024/09/05 2,109
1616892 교대다니다가..부모님때문에 11 예전에 2024/09/05 3,624
1616891 소파, 의자 어떤게 허리에 안좋을까요? 5 질문 2024/09/05 918
1616890 제기용 그릇이 목기말고 대신에 1 웃음의 여왕.. 2024/09/05 822
1616889 전공의 없는 병원, 비용 오르고 진료수준 떨어진다(아시아경제) 17 ... 2024/09/05 1,596
1616888 올리브영 잘 아시는분^^ 3 .. 2024/09/05 1,780
1616887 마늘장아찌는 영양소가 어떤가요 1 영양이 2024/09/05 599
1616886 지하철에 강아지 데리고 탈려면 어떤 방법이 34 있나요 2024/09/05 2,978
1616885 가스렌지에서 인덕션으로 바꾸려고 하는데 2 인덕션 2024/09/05 845
1616884 손해보기 싫어서 보시는 분 3 ㅇㅇ 2024/09/05 1,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