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통밀빵의 배신

ㅇㅇ 조회수 : 7,163
작성일 : 2024-07-04 13:52:22

건강을 위해 밀가루 빵이 아닌
통밀빵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통밀빵을 먹으면 건강에 도움이 될까?

하지만 혈당 실험 결과
백밀빵과 통밀빵은 큰 차이는 없어
당뇨환자가 무턱대고 먹게되면 크게 위험할 수 있다.
애초에 탄수화물을 곱게 갈아 흡수가 빨라졌기 때문이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1958155&memberNo=481832...

IP : 59.17.xxx.179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7.4 1:53 PM (211.46.xxx.53)

    맞아요.. 그래서 현미가래떡으로 떡국도 똑같이 혈당 올린다죠.

  • 2.
    '24.7.4 1:54 PM (223.38.xxx.167)

    울동네 통밀빵 가게 매일 줄을 서던데 웃고 말지요

  • 3. ..
    '24.7.4 1:54 PM (121.190.xxx.230)

    가루로 만든건 빵이나 떡이나 다 안되더라구요.
    설탕포함..

  • 4. 그 수많은
    '24.7.4 1:56 PM (172.226.xxx.43)

    기사들은 무엇이었나… 이왕 먹을거면 통밀빵으로 잡곡빵으로 먹으라던. 왜 기사마다 말이 다른가. 근데 우리나라 많은 통밀빵들 성분표 보면 통밀은 쬐끔 들었더라고요. 제대로 된 통밀빵은 매우 드물어요.

  • 5. 제목이 너무
    '24.7.4 1:57 PM (220.117.xxx.100)

    통밀빵의 배신이 아닌데요?
    100프로 통밀빵이 아닌 경우 백밀빵과 큰 차이 없고 ‘무턱대고 먹으니’ 혈당조절 안되는 거지 100프로 통밀빵을 적절히 먹으면 분명 흰빵 먹는거 보다는 당연 낫지요

    100프로 통밀빵은 맛이 흰밀가루 흰설탕 범벅인 빵보다 떨어지는게 문제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통밀빵의 이점 ( 많은 식이섬유, 미네랄 등)은 있는 것이니 통밀빵의 배신이라고 하는 건 적절치 않은 제목이네요

  • 6. ㅇㅇ
    '24.7.4 2:01 PM (73.109.xxx.43)

    ㄴ통밀을 갈아서 식이섬유가 없어진 게 아닐까요?
    그럼 영양은 많아도 혈당은 여전히 올리겠죠

  • 7. 그래서
    '24.7.4 2:03 PM (182.227.xxx.251)

    현미나 보리로 만들었다는 떡이나 빵들 전부 다 당뇨가 있다면 매우 조심 해야 하는데
    마치 그런 가루로 만든 떡이나 빵은 매우 당뇨환자용이라는 듯 하는 선전들 조심 해야 합니다.

    무조건 양을 적게 먹는게 중요 해요.
    밥도 현미밥이라도 맘껏 먹어도 되는거 아니고 양은 똑같이 적게 먹어야 하는거죠
    그저 식이섬유가 좀 더 들어 있다는 정도 다른 겁니다.

  • 8. ..
    '24.7.4 2:03 PM (121.180.xxx.151)

    건강지킨다고 우리통밀가루 100% 물 소금만 넣고 통밀빵 만들어 먹는데 ..

  • 9. 그러게요.
    '24.7.4 2:04 PM (1.177.xxx.111)

    220님 동감.
    딴소린데 100프로 통밀빵 찾는거 힘들지 않나요?
    통밀빵이라고 이름 붙여 놓았지만 통밀 함량은 20프로도 안됨.

  • 10. ㅇㅇ
    '24.7.4 2:07 PM (58.29.xxx.16)

    통밀빵을 많이먹으면 밀가루빵 조금먹은것과 차이가 없다 그런뜻이겟죠?

  • 11. ..
    '24.7.4 2:09 PM (121.179.xxx.235)

    많은 사람들이 현미밥이나 통밀빵은
    혈당을 올리지 않는다,고 생각을 많이 하더라고요
    심지어 당카페에서도
    현미 통밀 전부 주성분이 탄수에요
    다만 통곡으로 먹었을때 혈당을 천천히 올린다 이거지요.

  • 12. 맞아요
    '24.7.4 2:13 PM (180.231.xxx.239)

    저 집에서 베이킹하는데 당뇨전단계라서 철저하게 식이하는중에 통밀로 바게트만들었다가 혈당스파이크나서 수치보고기절할뻔 했어요 시판통밀은 함량이 낮아 그렇다지만 집에서 70퍼센트 이상 넣고만든 통밀도 별차이 없었어요
    통밀 샌드위치였고 양은 밥대신이라 두세쪽 이었는데 그래요.
    또다른 남편도 전단계인데 높기는해도 저만큼 치솟진않더라구요. 사람마다 반응정도가 다르긴해도 너무 믿거라해선 안되는거 알게됐어요

  • 13. ㅇㅇ
    '24.7.4 2:19 PM (39.7.xxx.245)

    에휴 뭐든 적당히 먹으면 됩니다.
    그노무 영양학 과학자들 발표
    계란 노른자만 봐도
    벌써 몇번째 좋다 나쁘다 변덕들을 부리는지

  • 14. ..
    '24.7.4 2:30 PM (122.40.xxx.155)

    탄수화물 간 거는 혈당에 치명타 인듯..

  • 15. 뭐든 적당히
    '24.7.4 2:35 PM (211.234.xxx.212)

    떡이 빵보다는 더 낫다는 자료들 있어요

  • 16. .....
    '24.7.4 2:40 PM (211.114.xxx.148)

    100프로 통밀빵은 괜찮다는 거 같은데요. 맛이나 식감이 나빠서 그렇지요.

  • 17. 가루니까
    '24.7.4 2:49 PM (112.133.xxx.139) - 삭제된댓글

    그렇죠. 통밀이 백밀보다야 낫지만
    가루로 만들면 소화흡수율이 치솟고 백밀만큼 잘 흡수되겠죠.
    막연히 카더라로 정보를 입수하니 그래요.
    어떤 정보든 본인이 분석을 해봐야하는데.
    머리 안 쓰는 대신 몸이 고생하는거 아니겠어요?

  • 18. .........
    '24.7.4 2:49 PM (61.255.xxx.6)

    당뇨의 핵심은
    먹는 종류보다 무조건 총량이 작게여야해요.
    물이나 이런건 말고..
    과일도 괜찮고 백미도 괜찮지만
    무조건 적은 양으로...
    당뇨카페 가보면 사람마다 혈당 스파이크 일으키는 게 다 달라요
    나는 제로음료는 혈당변화 없다 하는 사람이 있고
    나는 제로음료 먹고 혈당 튀었다 하는 사람있고
    무조건 양을 적게 먹고
    먹고 바로 30분이상 움직이기 이게 제일 중요해요

  • 19. 음..
    '24.7.4 3:05 PM (121.141.xxx.68)

    밀가루빵 피하려고 통밀빵 먹는 것과
    설탕 피하려고 대체당 먹는 것과 비슷한 논리인 듯 합니다.

    솔직히 곡물을 갈아버리면 섬유질이 없어지니까
    몸에 좋은 성분이 없어지는 거죠.
    그러니 밀가루 아니고 통밀빵이라 몸에 좋아~하면서 밀가루빵보다
    더~먹으면 안좋은거죠.

    대체당도 마찬가지
    일단 대체당 음료를 마시면 입에서 단맛을 느끼고 뇌에 전달 되어서
    췌장에게 과당 들간다~~--> 췌장은 인슐린 내 보낸다~
    이 과정이 과당을 섭취했을 때와 똑같은 과정이라고 하더라구요.
    물론 당분 제로, 칼로리 제로인 것은 맞지만
    제로라고 한번 마실 꺼 두 번 마시면 아무 소용없다 더라구요.

  • 20. @@
    '24.7.4 3:36 PM (14.56.xxx.81)

    당뇨있고 병원다니는데 원장님이 말쓴하시길
    당뇨는 무엇을 먹느냐보다 얼마나 먹냐가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현미밥 한공기 가득 먹는것보다 백미밥 반공기가 낫다고...

  • 21. ....
    '24.7.4 5:40 PM (210.182.xxx.49)

    요즘 인슐린에 관한 책을 읽고 있는데 윗님들 말씀이 맞는듯해요.
    요즘처럼 풍요의 시대에는 부족한게 없으니 뭐든지 적게 먹어야 하는게 정답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0309 파친코 모자수 연기 너무 잘해요 10 ..... 2024/09/16 2,835
1620308 비 쏟아지고 찬바람 불더니 10분만에 다시 쨍쨍 5 .... 2024/09/16 1,797
1620307 추석이면 줄서던 떡집에 10 .. 2024/09/16 5,192
1620306 초등학생이랑 성수동 어딜 가볼까요? 3 .... 2024/09/16 1,342
1620305 자두중에 껍질얇은 자두 종이뭔가요? 2 ㅇㅇ 2024/09/16 442
1620304 이준석 그럼 그렇지 12 뭐지 2024/09/16 4,131
1620303 김건희 안보이는 나라에 살고 싶어요 15 000 2024/09/16 1,671
1620302 갑자기 생각난건데 90년대초에요 4 뜬금포 2024/09/16 1,911
1620301 비행기에 놓고 내린 물건 시간 지난 후 나오는 경우도 있을까요?.. 11 여름 2024/09/16 2,334
1620300 대문 글에 미국 이야기가 나와서요. 미국 여행 가고 싶은데 총기.. 14 총기사고 2024/09/16 2,589
1620299 탕국하고 명태전 냉동되나요? 4 냉동 2024/09/16 666
1620298 제주도가 명동처럼 ? 9 재즈 2024/09/16 1,747
1620297 고부갈등은 많이 있어도 장서갈등은 거의 없지 않나요? 29 ........ 2024/09/16 3,168
1620296 아이돌봄.. 12개월 남아 어떨까요 15 ㅇㅇ 2024/09/16 2,048
1620295 과기원들은 입결이 12 ㄷㅈ 2024/09/16 2,313
1620294 녹두전은 원래 뻣뻣? 12 읭? 2024/09/16 1,320
1620293 제가 느낀 mz와 그 부모세대의 카메라 찍기 차이점 7 uf 2024/09/16 1,996
1620292 지병이 있어서 나을때까지 주로유기농을 먹어요 7 ㅇㅇ 2024/09/16 1,505
1620291 중국인,외국인 요양보험도 되서 요양원 외국인들 11 건강보험 2024/09/16 2,204
1620290 와~얼마만에 느끼는 시원함을 넘어선 썰렁함인지^^ 6 걷기에 딱!.. 2024/09/16 2,692
1620289 등심 1 ..ㅡ 2024/09/16 743
1620288 서울인데 오늘 뭐할까요 5 2024/09/16 2,181
1620287 서머셋팰리스입니다 런던베이글 갈까요? 8 베이글 2024/09/16 2,335
1620286 9살 아들 가방에 넣고 위에서 펄쩍 뛴 73㎏ 계모 14 ㅇㅇ 2024/09/16 5,556
1620285 전 중에 어떤 전을 제일 좋아하세요? 25 2024/09/16 3,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