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부동산으로 돈버는 분위기가 없어져야

과감하게 조회수 : 3,639
작성일 : 2024-07-03 07:01:56

그나마 출산율이 조금은 반등할 거예요.

부동산이라는 게 특히 아파트라고 하는 것은

그다음 누군가가 더 높은 가격으로 사 주어야지 가격이 오르는 시스템이에요.

예전에는 반듯한 집이 없어도

 허름한 빌라 살아도

심지어 길바닥 거지들도 자식을 낳았어요.

하지만 이젠 그렇게까지는 자식을 낳으려고 하지 않아요.

번듯한 집이라도 있어야 자식을 낳으려 하죠.

7년 전 집값 폭등했을 때부터

저출산의 공포는 시작된 거에요

이제 그 거품에 좀 가라앉나 했더니 이제 젊은이들한테 영끌해서 늙은 사람들 집을 받아주라니.

젊은 애들이 미쳤나요 늙은 사람들 주머니 두둑하게 집 받아주고

본인들은 평생 노예로 살게.

그나마 아직은 집값이 오를 거라고 배팅하는 젊은 사람들은 그 빚 받아서 지금 늙은이들 주머니 두둑히 채워주는 거고.

하지만 앞으로 갈수록 젊은 애들은 이 짓거리 안 할 겁니다. 그러니

살 집이 없는데 애를 낳을 리가 없죠.

거꾸로 애를 낳을 필요가 없는데 영끌할 이유도 없구요.

나도 애들 있지만 굳이 영끌해서 애 낳고 사는 거 안 바랍니다.

그냥 우리 부부가 마련한 집 쪼개고 모은 거 물려받고 행복하게 살다 갔으면 좋겠어요.

나도 늙었지만 늙은이들을 드글드글 욕심 때문에 나라가 소멸하는 거예요.

지금 젊은애들더러 빚내서 집값 떠받치기 이것부터 멈춰야

젊은애들 소득과 집값 전세값 격차가 좀 줄면서

느리긴 해도 출산율 반등할거에요.

IP : 223.38.xxx.193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24.7.3 7:19 AM (222.109.xxx.156)

    옛날 지주 제도랑 뭐가 다른지 싶어요
    시대만 달라진 듯 싶고

  • 2. 백 번
    '24.7.3 7:19 AM (121.121.xxx.141)

    맞습니다. 그리고 영끌할 돈도없어요.

  • 3. ...
    '24.7.3 7:27 AM (223.38.xxx.205)

    공감요
    기성세대들 탐욕 때문에 나라가 소멸 되는거죠
    저출산 정책으로 내놓은게 젊은이들 초저리 대출로 집값 받아주라고... 잠시 반짝 할수는 있어도 이건 저출산 더 부추기는 정책이죠
    조만간 출산율 0.5 될거에요

  • 4. 점점
    '24.7.3 7:30 AM (175.121.xxx.114)

    맞아요 내집 누가 돈주고 사라고 애 낳으라니 ㅎㅎ 젊은이들이 현명한거죠

  • 5. 자연적으로
    '24.7.3 7:41 AM (39.117.xxx.39)

    주식으로 가듯이 코인으로 가듯이 자연적으로 부동산으로 가는 걸 막을 순 없습니다. 세금을 엄청나게 올리던지.
    부동산을 안 사게 되는 그런 분위기가 만들어지지 않는 한

    사지 말라 그래서 안 사는 것도 아니거든요.

  • 6. 가짜등록
    '24.7.3 7:50 AM (172.225.xxx.226)

    가짜로 거래가 등록해서 싯가 올리고 나중에 취소하는 자는 처벌을 크게 해야 헤요. 못하게 막던가.
    근데 이정부도 모른척하네요??

  • 7. . . .
    '24.7.3 7:58 AM (182.216.xxx.161) - 삭제된댓글

    엄연히 말하자면 기성세대 보다는 갭투자자들과 부동산중개업소가합심해서 집값 끌어올렸다고 봐야죠
    사회초년생들도 전세끼고 갭투기한 사람 많습니다

  • 8.
    '24.7.3 8:29 AM (14.52.xxx.109)

    글에 어폐가 있네요
    번듯한 집이 있어야 결혼한다는 기본 전제부터가
    예전과 다른데 집값 잡는다고 그 기조가 사라지진 않을걸요
    그 허영심 때문에 집값이 올라간다고 생각하셔야죠 ㅋ

  • 9. ...
    '24.7.3 8:37 AM (112.156.xxx.69) - 삭제된댓글

    개인보다 정부가 더 문제에요
    오죽하면 조선일보가 떨어지는 집값도 못잡는다고 윤정부를 비난하겠어요
    부동산만큼은 여야 모두 한통속으로 보여요

  • 10. 22222
    '24.7.3 8:46 AM (125.142.xxx.31)

    엄연히 말하자면 기성세대 보다는 갭투자자들과 부동산중개업소가합심해서 집값 끌어올렸다고 봐야죠
    사회초년생들도 전세끼고 갭투기한 사람 많습니다 222222222

    예전부터 부동산것들이 제대로 부추기고 한몫했어요
    지들이야 상승에 비례해서 수수료 챙기니 1석2조
    잔뜩 비싸게 신고가 올려서 부동산시장 교란ㅡ몇달뒤 거래취소
    진짜 범죄입니다

  • 11. 조선시대
    '24.7.3 8:53 AM (211.36.xxx.38)

    부동산 보면 그때도 비싸다고 난리였대요.
    부동산이 비싸서 자식을 안낳기보다 지금은
    다들 교육을 많이 받아 똑똑해지고 가족이나
    가문 등이 중요하기보다 나 자신이나 개인이
    중요하고 내 삶이 중심이다보니 자식을 안낳는거죠.

  • 12. ...
    '24.7.3 9:05 AM (211.206.xxx.191)

    아무래도 기성세대는 노후 투자 월세용으로 많이 구입했고
    갭투자자들, 부동산 중개업소, 기레기들이 핫빔해서 집갑 끌어 올렸다고 봐야죠.
    사회 초년생들도 전세끼고 갭투기한 사람 많습니다.333333333

    부동산공화국.

    집은 투기가 아니라 주거의 목적으로 언제나 바뀔 수 있으려나요?

  • 13. ..
    '24.7.3 10:09 AM (119.197.xxx.88)

    다 서울, 그것도 어려우면 수도권에서 살고싶은게 문제죠.
    지방은 지금도 주거문제 없어요.
    지방사람들 그냥 지방에서 살면 문제 없음.
    지금같은 추세면
    서울 수도권은 오르면 올랐지 떨어질리가

  • 14. ..
    '24.7.3 3:22 PM (82.35.xxx.218)

    그러게 말이에요. 울나라 돈좀있으면 집몇채씩 기본으로 갖고있지요. 지난 상승기때 로또 몇번 맞는거. 그외는 대부분 집한채인데 뭘그리 욕심을 내는지 그러면서 젊은사람들 이기적이라 결혼안하다는 비난 넘 웃겨요. 사회초년생이 전세껴서 수익올린게 많을까요? 피해본게 많을까요? 그리고 그런 판 깔아준게 기성세대죠. 왜 방법이 없어요? 외국같이 거주지 외에 집구매 세금 쎄게 물려봐요. 재미없으니 하라고해도 안하지요. 전세대출만 잡아도 거품빠지는거 다 알아요. 근데 정치권서 죽어도 안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1627 젊을 때 유명해지지 못한게 저에게 축복이었어요 3 ㅁㅁㅁ 2024/10/21 3,093
1631626 아파트 대형으로 갈아타기 했는데 기쁘지가 않아요. 18 부동산 2024/10/21 5,853
1631625 뚜레쥬르 쑥 콩 빵 맛있네요 3 오오 2024/10/21 1,631
1631624 추미애 "尹정부 용산 비행금지구역서 미승인드론 230건.. 7 !!!!! 2024/10/21 1,530
1631623 전세사기 경매물건으로 또 사기치기 가능한 나라 3 .. 2024/10/21 1,131
1631622 피부과 시술 왜 얼굴에 광이나요? 4 뭘까 2024/10/21 4,041
1631621 사람들의 말을 들어주는 것이 힘들어요 17 123 2024/10/21 3,093
1631620 제주도 갈때 3 제주도 2024/10/21 1,233
1631619 음식물쓰레기통 스텐 괜찮나요? 6 음쓰 2024/10/21 2,575
1631618 뭔가 계속 먹는 소리 듣기 힘드네요 6 아싫어 2024/10/21 1,528
1631617 국감이 끝난 후, 훈훈합니다 6 재롱잔치 2024/10/21 2,008
1631616 자매인데 너무다른 머리 9 자몽 2024/10/21 2,292
1631615 고2 아들-자퇴 후 검정고시 보려는데요 35 고졸검정고시.. 2024/10/21 3,876
1631614 한약 먹으면 간수치 높아지나요? 11 . .. .. 2024/10/21 2,030
1631613 정치병이라고 하시지마세요~ 36 .... 2024/10/21 1,999
1631612 1월 해외 여행 스페인 또는 호주 어디가 좋을까요? 6 여행 2024/10/21 1,623
1631611 과외에서 학원으로 바꾸는 시기 7 .. 2024/10/21 946
1631610 떡대의 기준이 뭐예요? 사이즈로요. 22 ... 2024/10/21 2,159
1631609 소개팅에서.. 11 .. 2024/10/21 1,857
1631608 보통의 가족 재밌게 봤어요. 7 ,, 2024/10/21 1,656
1631607 식기세척기 세제, 대체품 있을까요? 6 혹시 2024/10/21 1,098
1631606 찹쌀개봉도 안한것에 벌래가 이거 7 가을 2024/10/21 964
1631605 겨울에 여행을 가게 되는데 8 궁금 2024/10/21 1,372
1631604 푸켓여행 가려니 결정장애 오네요 9 ㅅㅌ 2024/10/21 1,177
1631603 연예인관심 끝 전쟁 무서워요....중요사안이죠 10 ... 2024/10/21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