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엑셀을 잘못 밟은 거예요

... 조회수 : 8,250
작성일 : 2024-07-02 10:02:12

아는 사람이 엑셀 살짝 잘못 밟은 적이 있는데

차가 약간 뛰쳐나갔대요. 

그래서 발을 뗐대요.

그런데 엑셀을 브레이크인 줄 알고 엉겹결에 엑셀에 더 강하게 밟을 수도 있대요.

 

어제 사고는

나중에 차가 천천히 섰기 때문에

운전자가 나중에 브레이크를 밟은 거예요.

급발진이 아니라는 거죠.

그전에는 엑셀을 강하게 누른 거구요.

 

IP : 223.62.xxx.162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
    '24.7.2 10:04 AM (125.176.xxx.213)

    저도 이렇게 생각하고 있네요 착각해서 엑셀을 밟았다라고
    아님 설명이 안되는 상황이죠
    급발진이라면 저렇게 스무스 하게 브레이크밟고 설수가 없으니까요

  • 2. 부메랑처럼
    '24.7.2 10:05 AM (123.142.xxx.26)

    휙 역주행 한건 어떻게 설명합니까
    저건 실수가 아니에요

  • 3. ㅇㅇ
    '24.7.2 10:06 AM (58.29.xxx.148)

    길을 잘못들어 일방통행길에 접어들어서 악셀을 밟은거죠

  • 4.
    '24.7.2 10:06 AM (99.239.xxx.134) - 삭제된댓글

    급발진인데 유턴을 저렇게 할 수가 있나요?
    급발진은 속도가 높아지는 거잖아요
    그리고 급발진은 브레이크가 안듣는 건데.. 나중에 보니 잘만 멈추던데..

  • 5. 왜죠
    '24.7.2 10:07 AM (58.224.xxx.94)

    단정짓지 마세요. 조사해보면 나오겠죠.

  • 6. ...
    '24.7.2 10:08 AM (223.62.xxx.162)

    일방통행 길에 역주행으로 들어가니
    브레이크를 밟으려다가 엑셀을 쎄게 밟은 거죠.

  • 7. 부부라길래
    '24.7.2 10:08 AM (121.133.xxx.137)

    차 타기전부터 싸운거아냐? 했는데
    그 가능성도 얘기 나오네요

  • 8. 대로변에서
    '24.7.2 10:08 AM (123.142.xxx.26)

    역주행 일방통행 골목으로 잘못들어갔거든요
    골목앞에서야 길 잘못들었다쳐도
    누가 시청앞 큰길 대로변에서 길 잘못들었다고
    갑자기 차 돌려 역주행합니까
    직진을 하죠

  • 9. ..
    '24.7.2 10:10 AM (118.235.xxx.37) - 삭제된댓글

    음주운전이 아니면
    치매..이거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네요

  • 10. 왜죠
    '24.7.2 10:12 AM (58.224.xxx.94)

    저도 아침에 유튜브로 라디오 들었는데
    동승자와 다툼도 가능성 있지 않겠냐 하더라고요.
    암튼 빨리 제대로 밝혀졌으면 좋곘어요.

  • 11. 이건뭐
    '24.7.2 10:13 AM (125.142.xxx.31)

    가해자 실드도 아니고
    역주행은 미친짓이죠.
    살인자에요 것도 9명

  • 12.
    '24.7.2 10:17 AM (182.215.xxx.73)

    왠지 실수로 잘못 밟은것같지 않아요

  • 13. ㅇㅇ
    '24.7.2 10:19 AM (223.39.xxx.204)

    형사님 나셨어요

  • 14. ...
    '24.7.2 10:19 AM (223.62.xxx.162)

    이게 왜 가해자 옹호인가요?
    가해자를 광화문 광장에 매달아 놓고 싶어요.

  • 15. ....
    '24.7.2 10:19 AM (121.137.xxx.59)

    차 돌려 역주행 한 게 아니고
    애초 일방통행로로 진입을 잘못해서 역주행이 된 거에요.
    조선호텔 앞 거기가 나와서 직진하면 안 돼요.
    직진하면 일방통행길 역주행이거든요.

    맞은편에서 차가 오는 걸 보고 본인이 잘못한 줄 알았겠지요.
    그러니 피하려다 핸들 심하게 꺾어서 저모양이 된 것 같구요.

  • 16. ..
    '24.7.2 10:21 AM (59.14.xxx.232)

    급발진 아닌거 같아요.
    저 처죽일놈이 엄한 가장들 죽이고 지는 살겠다고
    입원했다면서요?

  • 17. ㅉㅉ
    '24.7.2 10:23 AM (106.101.xxx.112)

    가해자 옹호하는 미친x들 등장
    니들 가족이 저렇게 허망하게 죽었다생각해봐라..이성적인척은..나쁜x들
    백프로 액셀잘못밟은것

  • 18. 그런데
    '24.7.2 10:24 AM (99.239.xxx.134) - 삭제된댓글

    어느 비디오 보니 확 꺾어 유턴하며 역주행 하던데요.
    조선호텔 나오면서 역주행을 시작한 게 아니구요.

  • 19. ..
    '24.7.2 10:25 AM (106.101.xxx.113)

    급발진 주장하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고령자라는건 무슨 우연?

  • 20. 운전미숙이
    '24.7.2 10:25 AM (112.149.xxx.140) - 삭제된댓글

    그런경우 많아요
    얼마전에는
    할머니가 딸하고 낳은지 얼마 안되는 손주
    보호장구도 없이 태우고
    사고 나서 손주 죽은일 있었는데
    급발진이라고 우겼었어요
    운전미숙으로 사고내고
    급발진이라고 우겨대는 꼬라지
    역겹네요
    살인행위 인데요

  • 21. 운전미숙이
    '24.7.2 10:27 AM (112.149.xxx.140)

    이 할베도 역주행을 할 정도의 운전 미숙인데
    왜 운전대를 잡았던 건지 원
    살인이에요 엄벌에 처해야 해요
    급발진이 일어난다 해도
    역주행을 하게 되나요?
    판단미스고 운전미숙이죠

  • 22.
    '24.7.2 10:28 A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이운전자 직업이 버스운전기사입니다..

  • 23. ㅇㅇ
    '24.7.2 10:30 AM (106.101.xxx.112) - 삭제된댓글

    버스운전기사면 역주행이라는 개논리는 뭔데

  • 24. 그런데
    '24.7.2 10:30 AM (99.239.xxx.134) - 삭제된댓글

    https://v.daum.net/v/20240702022223915
    "급발진에서 보이는 보행자 회피 노력 없었다"

  • 25. ...
    '24.7.2 10:31 AM (61.75.xxx.185)

    저도 뉴스화면에서 봤는데
    차가 90도 이상으로 확 돌면서
    역주행하던데요.
    처음 있던 데도 찻길인데
    차선 몇 개를 가로질러서
    그 쪽 골목길 같은 데로 들어가던데
    그 골목길이 역주행 차선이었나 보네요
    그 영상 어느 뉴스였는지 채널 돌리다가 봐서...
    정말 이상했어요
    급발진은 보통 직진하다가 생기는데
    핸들을 먼저 꺾으면서 급발진이 되다니?
    무슨 드리프트하는 줄?

  • 26. ㅇㅇ
    '24.7.2 10:38 AM (39.7.xxx.176)

    댓글들 말대로 돌려서 역주행 한거면
    홧김에 그런행동을 했을까요
    그게 사실이면
    서울 중심대로변에서 와 말도 안되네요

  • 27. 저도공감
    '24.7.2 10:56 AM (211.211.xxx.168)

    급발진인데 유턴을 저렇게 할 수가 있나요?
    급발진은 속도가 높아지는 거잖아요
    그리고 급발진은 브레이크가 안듣는 건데.. 나중에 보니 잘만 멈추던데..xxx222

  • 28. 저도공감
    '24.7.2 10:57 AM (211.211.xxx.168)

    그렇다고 홧김에나 감정적으로 역주행 한건 아니겠자요.
    그냥 엑셀 잘못 밟아서 어어 하면서 뭔가 눈 앞의 것을 피하려고 핼들을 확 틀어서 역주행 한거 아닐까 싶어요

  • 29. ...
    '24.7.2 11:19 AM (61.75.xxx.185)

    https://youtu.be/5lajz0HAS2Q

    차가 드리프트하듯 역주행길로 들어갔다고
    댓글썼는데요.
    그 뉴스는 어딘지 못 찾겠고
    저 뉴스 3분 23초에 보면 그림이 있어요.
    그림보면 파란색 점선으로 주행해야 하는데
    운전자가 빨간색 점선으로 주행한 거거든요.
    제가 본 영상은 빨간색 점선만 있는 부분만의
    짧은 영상인데
    차가 빨간 색 점선과 직각방향으로 있다가
    (차가 서 있는 방향으로 직진하면
    일방통행길로 들어갈 필요가 없고
    차 위치도 2차선쯤에 있었음)
    차가 아주 빠른 속도로 2차선에서
    좌측으로 90도 이상 돌면서
    저 일방통홍길로 들어갔어요
    운전자 주장대로 급발진이라면 이게 가능할까요?
    핸들은 운전자 본인이 꺽었을텐데
    일방통행인지 모르고 들어가면서 급발진했다?
    또는 엑셀을 잘못 밟았다?
    빨간색 점선만 았는 부분도 4차선 정도되는 도로인데
    1차선도 아니고 2차선 쯤에 있다가
    도로를 가로로 횡단하면서
    저 일방통행로로 들어갔다구요
    아주 미친듯이 빠른 속도로...

  • 30. ㅇㅇㅇ
    '24.7.2 11:29 AM (211.114.xxx.132) - 삭제된댓글

    저도 차 안에서 뭔가
    평균 이상의 감정적인 게 있었다고 생각해요.
    술이나 마약이 아니라면..

  • 31. 있는여자
    '24.7.2 12:48 PM (221.162.xxx.225)

    전문가인냥 단정짓지 마시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1013 폐경 이후에도 날씬한 분들 식단이 어떤지 궁금해요 9 2024/07/12 3,756
1601012 저 가만 있어도 될까요 7 wty 2024/07/12 2,037
1601011 갤럭시 S21 플러스 중고 쓸만할 까요? 12 ㅇㅇ 2024/07/12 1,536
1601010 요새 새벽마다 까마귀가 울어대서 잠에서 깨요 5 ㅇㅇ 2024/07/12 914
1601009 무식한 엄마를 용서하기 힘드네요 9 .. 2024/07/12 4,372
1601008 나이 많은 아줌마(=저) 영어를 배우고 있어요. 12 영어 2024/07/12 2,890
1601007 올해 첫 매미소리 들었어요 ㅎㅎ 4 2024/07/12 489
1601006 장예찬 "'한동훈팀' 기록 깔 수도" 6 ... 2024/07/12 1,416
1601005 생각해 보면 업소에는 여자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남자도 있어요 19 음.. 2024/07/12 3,226
1601004 그 나쁜놈 녹취 목소리 - 지옥에서 나온 마귀 목소리 같던데 필.. 1 나쁜놈 2024/07/12 1,075
1601003 스케쳐스와 스케쳐스USA는 뭐가 다른 건가요? 다른가요? 2024/07/12 975
1601002 소파 고민 6 시골꿈꾸기 2024/07/12 1,339
1601001 이재명, 종부세·금투세 '감세 시사'…'우클릭' 12 눈이멀었네 2024/07/12 1,331
1601000 지금 고통 당하고 있는 피해자 유튜버가 이해 안된다는 다수의글 3 .... 2024/07/12 1,641
1600999 와 대문에 박원순 성추행 사건 19 서울 2024/07/12 4,021
1600998 윤 대통령 V1, 김건희 V2…도이치 공범이 부른 호칭 3 000 2024/07/12 990
1600997 조국 "한동훈 특검법에 댓글팀 의혹 추가…김건희도 수사.. 3 조국 2024/07/12 901
1600996 "한국에 핵 공격시 압도적 대응 보게될 것" 7 ... 2024/07/12 1,389
1600995 삼전 체결 6 55 2024/07/12 2,637
1600994 저 이 부채 너무 사고 싶어요 ㅋㅋㅋ 5 ㅋㅋ 2024/07/12 3,764
1600993 이유없이 ㅇㅇ은행 변제독촉장 받으신분? 9 벌벌떨리네 2024/07/12 1,892
1600992 거실에 인테리어 나무 뭐 키우세요? 5 나무 2024/07/12 1,579
1600991 새아파트 옵션 선택 도와주세요 16 분양 2024/07/12 2,424
1600990 굿네이버스요 5 짜짜 2024/07/12 847
1600989 나이들수록 사람 관계 유지하는게 중요한 이유 30 2024/07/12 7,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