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30대 중반에 잠재된 예술적 미감을 꺼낼 수 있을까요?

da 조회수 : 1,430
작성일 : 2024-06-27 20:12:35

제목 쓰면서 부끄러웠습니다. 너그러이 이해해 주세요.

저는 30대 중반의 프리터족입니다. 몇년전 퇴사하고 공예 쪽을 배우고 있는데요. 알면 알수록 깊은 세계네요. 배우면서 이 일을 제 직업으로 하고 싶은 아주 순진 무구한 꿈을 꾸고 있습니다. 찾는 사람도 소수인 분야인데다가 저는 배운지 오래되지도 않은 사람이라 경력이 쌓이기까지 5~6년은 돈벌이를 제대로 못할 것 같습니다.

 물론 직장다니면서 모아둔 돈은 조금 있고 싱글이라 저 하나 잘 돌보면 됩니다.

 

상황은 이러한데 이 분야를 알아갈수록 느끼는 것은, 결국 중요한 것 미적인 취향, 안목, 타고난 감각 같은 건데요. 저는 이런 분야의 일을 하거나 대학교육을 받은 적도 없어서 전문 지식은 없습니다. 다만 기억나는 것은 학교를 다니면서 친구들이나 선생님들에게 '자기만의 스타일이 확실'하다거나, '이건 딱 너스타일'이라거나 '독특한 방식으로 단정하게 옷을 잘 입는다'거나 '괴짜'라는 식의 다소 예술성을 인정해주는 말을 자주 들어서인지 묘한 자신감이 있다는 겁니다. 계발되지 못해서 많은 경험이 필요하지만요..

 

 저에게 이 분야를 가르쳐주신 선생님도 많은 제자들 가운데 제가 만든 건 어디다 둬서 딱 제거라고 알아볼 수 있겠다고.. 말씀하기도 하시기도 했습니다.

 

 이 분야를 직업으로 할까, 아니면 그냥 힘든 경제 상황에 취미로 남기고 다른 길로 갈지 고민하고 있지만 이런 부분 때문에 미련이 더 크게 남습니다.

  제가 정말 미감이 있을지도 모르겠고요.. 기를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현실적인 조언과 경험 나눠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223.48.xxx.3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취미
    '24.6.27 8:30 PM (220.83.xxx.58)

    예술이 돈이 안돼요. 전문 예술쪽으로 유학 갔다오고 학위 받으신 분들도 예술이 아니라

    다른 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예술을 해요.

    음악,미술, 문학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로 알고 있어요.

    학위를 받아서 동종직업 같은 것으로요. 교사, 교수, 강사.

    제품 판매만으로는 생계가 유지 되지 않으니 생계유지용으로 직업 구하시고 난뒤에 그 돈

    으로 취미를 하시고 님 말대로 예술감각 폭발해서 님이 만든 제품이 제대로 수입원이

    되면 그때 생계형 직업을 그만두세요.

  • 2.
    '24.6.27 8:33 PM (1.237.xxx.38)

    예술분야가 정규대학 과정을 다 거치고 시작해도 박봉이에요
    나이 많아지면 젊은 사람들이 치고 올라오고
    근데 정규과정도 안거친 사람이 뛰어든다면 글쎄요
    드라마에서나 볼법한 성공이 쉽나요
    이전에 하던 일을 그냥 쭈욱하는게 나아보이네요

  • 3.
    '24.6.27 8:46 PM (117.111.xxx.198)

    예술이나 공예로 성공하는 건 미적 감각이 좌우하지 않아요
    결국 영업력이 있어야 됩니다
    가만히 있는데 누가 알음알음 찾아와 사주지 않아요
    끊임없이 홍보를 해야 되요

  • 4. da
    '24.6.27 8:53 PM (112.152.xxx.1)

    홍보가 중요하군요. 생각해보니 업계 인맥도 중요할 것 같네요. 정확히는 공예 분야라 손기술이 중요하긴 한데 여기도 레드오션이긴 하겠죠..
    이전에 하던일 쭉하라는 조언도 잘 생각해 보겠습니다

  • 5. 짜짜로닝
    '24.6.27 9:03 PM (172.226.xxx.43)

    회사다니면서 취미로 하다가 돈이 벌리면서 이걸로 월급이상 벌겠다 싶을 때 회사를 관둬야죠..

  • 6. 냉정하게
    '24.6.27 11:07 PM (211.241.xxx.143)

    30중반에 아직 잠재적 미감을 찾는다 하시면 글쎄요. 보통 그런 감각은 타고 나야 하는 거라 내가 드러내려 하지 않아도 나도 알고 남도 절로 알만큼 되거든요. 그런 사람들 중에 또 극 일부가 성공 하는 거고. 그래서 관심 있는 일이 그렇게 미적 감각이 필요로 하다면 취미로만 두시는 게 어떨까 합니다. 배워서 가능한 건 감상 정도이고 창작은 아예 다른 영역 이요.

    그리고 내 물건을 누군가 살것인가를 냉정하게 보시길. 좋다 멋지다 훌륭하다 말은 할 수 있지만 실제 지갑에서 돈을 꺼내는 일은 별개입니다. 공예품이 어떤 건 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의식주 말고 돈을 안 씁니다. 정말 안 씁니다. 그리고 쓰게 된다면 유명한 사람의 물건에 써요.

    이것 저것 다 모르겠고 난 이게 너무너무 좋아 하신다면 그 자체의 즐거움을 따라가세요.

  • 7. 나무사이
    '24.6.27 11:43 PM (14.38.xxx.229)

    윗 댓글에 동의합니다.

    결국 그 공예품으로 호구지책이 되어야하는데
    그러려면 블랜딩에 성공해야 합니다.

    고환율.고물가.고금리에도 구매력이 생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5338 어깨와 목결림이 심한데요 6 결림 2024/11/04 1,259
1635337 식품건조기 원형이랑 사각 아지매아지매.. 2024/11/04 287
1635336 나는 왜 엄마 아빠가 없어?? 5 ........ 2024/11/04 2,906
1635335 이재명 한마디에 주식장 폭등인걸 보면 21 악의축 2024/11/04 4,106
1635334 이재명은 그냥 표만 얻으면 되는 인간 22 2024/11/04 1,702
1635333 요즘 애들 핸드폰 벨소리 무음으로 해놓는게 유행인가요 32 ㅇㅇ 2024/11/04 3,978
1635332 尹 "민생 어려움 풀기 위해 2년 반 쉴 틈 없이 달려.. 49 하이고 2024/11/04 5,155
1635331 효도의 결말은 가족해체, 희생의 댓가는 실망 9 음.. 2024/11/04 2,763
1635330 더러운 집 보면 제 상태를 알수 있어요. 5 dd 2024/11/04 3,307
1635329 남편의 사랑? 5 .. 2024/11/04 1,508
1635328 시스템 패딩오리털충전여부 4 캔커피 2024/11/04 788
1635327 이재명이 금투세 폐지한다니까 15 .. 2024/11/04 2,108
1635326 남편과 아침밥문제로 갈등이 있었는데 8 ㅡㅡ 2024/11/04 2,400
1635325 ‘윤석열 탄핵’ 압박하는 조국혁신당 “탄핵소추 사유 17개” 11 !!!!! 2024/11/04 1,420
1635324 하루도 마음편하지 않았다는데 저렇게 얼굴에 기름이... 2 ... 2024/11/04 1,807
1635323 전립선으로 유명한 병원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2 .... 2024/11/04 703
1635322 고2 영어 공부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 2024/11/04 1,123
1635321 낫또와 요거트 4 식단 2024/11/04 770
1635320 김명신이 이순자보다 더 심한가요? 27 00 2024/11/04 2,882
1635319 아이가 모르고 전자렌지에 스텐접시를 넣고 돌렸어요 7 ... 2024/11/04 2,767
1635318 한화그룹 무기관련 사업부측은 전망이나 대우가 좋나요? ㅇㅇ 2024/11/04 619
1635317 가구를 줄이니까 호텔 같은 집이 되네요 4 2024/11/04 3,037
1635316 가슴이 먹먹해지는 자살사건 11 ........ 2024/11/04 6,420
1635315 등산할 때 화장실 어떻게 하세요? 9 초보 2024/11/04 2,958
1635314 부모 재산은 부모맘 이죠 56 2024/11/04 4,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