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림에서 석고데생이 필요한가요?

힘들어요 조회수 : 1,537
작성일 : 2024-06-20 19:02:48

오래전에 문센에서 막무가네식으로 유화를 시작했어요

아무것도 모르고 정말 기초지식도 없이 시작했지요.

유화라 갖춰야할 준비물도 많았지만 재미있어서 열심히 다녔어요

 어느정도하다보니 이게 기초개념없이 하는것은 실력이 늘지가 않다는것을알고 

기본부터 배운다고 아그립바데생을 하는데 머리가 팽팽 돌고 눈도 돌고 너무 힘드네요

이과정(석고데생)을 꼭필요한건가요?

저는 그만 두고 싶은데 같이 하는 사람이 워낙 학구열이 높아서 끝장을 본다고 열심히 합니다

그래서 제가 그만 두면 중도하차같은 기분이 들어서 

해야될것 같은데

미술에서 석고데생이 필수인지 알고 싶어요(그림을 잘 그릴려면)

 

 

 

IP : 211.211.xxx.13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선고뎃생
    '24.6.20 7:08 PM (49.169.xxx.6)

    요즘 입시미술에서 사라지긴 했는데 이안에 빛 음영 형태 그림의요소가 다 들어가 있어서 새로운걸 그려도 응용이 되는거 같아요
    자동차니 선풍기나 주변인물 그리려면 형태잡기 쉽지않은데 소묘를했으면 (쉽게는 아니고) 어색하지않게 그릴수 있는힘이 생겨요
    현재 석고입시 사라져서 석고구하기 쉽지않고 뎃생입시 사라졌어요
    대신 비율공부 열심히 하시면 될거 같아요

  • 2. ㅇㅇ
    '24.6.20 7:12 PM (121.165.xxx.228)

    취미미술에서 데생은 전혀 필요없어요 유화만 재밌게 하셔도 됩니다. 흥미를 잃지 않고 그려나가는게 가장 중요해요. 근데 본인이 그림을 잘그리고싶다면 데생이 필요하죠.
    그림을 잘그린다는게 일반적으로 형태를 잘 표현하고 빛과 어둠을 이해 하는거니까요. 제일 기본이고 많은 연습을 필요로 하고 힘들어요. 근데 취미미술이면 굳이 석고데생말고 정물데생으로 하고 싶다고 해보세요ㅡ 훨씬 재밌게 접근 가능할겁니다.

  • 3. .....
    '24.6.20 7:27 PM (118.235.xxx.31)

    데셍이 미술의 기초이자 기본이에요.
    반드시 거쳐야하는 초기과정이에요.
    빛 그림자 덩어리감에 대한 이해에요.
    이거 건너뛰고 취미그림 그린 사람들
    보자마자 1초도 안걸려 티가 바로 나요
    근데 본인은 몰라요.
    모른채 연차가 지나면서 자기 혼자만의 우월감만 쌓여갑니다.

  • 4. 기본기
    '24.6.20 7:36 PM (117.111.xxx.57)

    해야 합니다
    다 하는 이유가 있어요
    그런데 보통 처음부터 아그리파 하지는 않는데.
    석고 공 이나 직육면체 기둥을 먼저 연습 하지 않나요?

  • 5. ㅇㅇ
    '24.6.20 7:38 PM (211.223.xxx.208)

    소묘를 알고 이해하고 표현까지 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면 완벽한 그림의 기본기를 쌓았다고 볼 수 있겠죠. 형태력이나 명암 원근에 대한 이해 그리고 연필의 맛까지!!! 전 소묘입시 세대고 소묘 강사까지 했었는데도 그 당시에 내가 이해하고 표현했던 것이 얼마나 미숙했었는지 나이들수록 더 느껴요. 그래서 지금도 유튜브로 드로잉 영상 즐겨봐요. 대리만족 같은거? 거창한건 아니지만 연필 하나의 예술이 아직도 경이롭거든요. 취미에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잘해서 나쁠건 없죠.

  • 6. 소묘
    '24.6.20 7:40 PM (104.28.xxx.51)

    빛에 대한 이해죠
    그림자가 어떻게 지고 어떻게 표현하면 각이 지는지 원으로 보이는 지 등이요. 도형으로만 해도 됩니다
    석고상은 도형상의 응용편이죠

    석고상을 그릴 줄 알면 (외워서도 그릴정도로) 왠만한 건 그냥 칠할 수 있어요. 저기에 빛이 있다면 이건 이렇게 명암이 생기겠구나 알정도.

  • 7. 재미있음
    '24.6.20 7:40 PM (39.7.xxx.149)

    오래전이지만 예중 예고 미대 대학원까지 공부해보니
    데생이야 말로 기본중 기본입니다만
    데셍 자체만으로도 재미가 있습니다.
    그림이 처음이라면 꼭 해보세요.
    석고데생이 제일 쉽고요 가능하면 정물 인물 다 해보시길

  • 8. 그렇군요
    '24.6.20 7:41 PM (211.211.xxx.134)

    선생님의 친절한(?)설명없이 혼자서 석고상을 보고만 그리는건 한계가 있을것같고
    이해하기까지 시간도 오래걸리겠죠
    문센이라 그것을기대하기도 무리고요

    책을사서 보면서 하면 도움이 되겠죠?

  • 9. 감사합니다
    '24.6.20 7:50 PM (211.211.xxx.134)

    석고 공 직육면체 삼각뿔등등은 먼저했어요

  • 10. 유튜브
    '24.6.20 8:20 PM (220.117.xxx.61)

    유튜브 보시고 열심히 해보세요
    자유 창작 하다보면 기본기 모자라 어차피 해야해요
    지금 잘 해놓으시면 나중에 좋아요.

  • 11. 윗님
    '24.6.20 8:25 PM (211.211.xxx.134)

    유튜브 찾아봤는데 의외로 석고데생은 많이 없더라고요

  • 12. 취미로시작했다면
    '24.6.20 8:45 PM (112.152.xxx.66)

    취미로 시작해서 점점 실력이 쌓이다보면
    한계가 생겨요
    영원히 취미로 그럴싸해보이는 그림그릴수 있지만
    성에 안차실겁니다
    그래서 입시미술학원 취미반으로 가서
    데생 배우는분들 계셔요
    한달이라도 열심히 선나누고 오면
    실력이 늘고 보는눈이 그만큼 높아져요
    취미반에서 아그리파그린다면
    흔한기회는 아니니 충분히 기초 다지시길 바랍니다

  • 13. 유투브
    '24.6.20 8:51 PM (27.119.xxx.17)

    유투브보고 인물 석고는 혼자 독학 힘들어요.
    그리는 방법을 배워야 하는데..

  • 14. ..
    '24.6.20 9:06 PM (220.65.xxx.42)

    입시미술반 가서 취미반으로 가서 꼭 배우세요

  • 15. ㅇㅇㅇ
    '24.6.20 9:54 PM (175.199.xxx.97) - 삭제된댓글

    데생 빠지면 정말 재밌거든요
    삼각 .공이런거 부터시작해서 슬슬 아그리빠
    갑자기 석고상 시작인데
    점점 각종 석고상 그리고 인체 그리고
    연필 한자루로 명암질감 다 나타나는게
    재밌더라고요

  • 16. //
    '24.6.21 12:00 AM (58.141.xxx.20)

    취미로 하는 그림이면 인물 석고 까지는 무리고
    (입시생들도 하루에 최소 5시간 정도 일 년 이상은 해야 봐 줄만하게 그리므로)
    기초도형으로 데생을 해 봤다면 관찰화를 연습해 보세요.
    연필로 간단한 물체를 똑같이 따라 그리는 연습부터 하다가 나중엔 색연필로 해도 되고요.
    물론 이것도 누가(선생님) 봐 주긴 해야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6210 예체능 레슨 6 .. 2024/06/26 1,053
1606209 눈과 체력이 너무 피로한데 퇴근길에 살만할 거 있을까요? 9 열매사랑 2024/06/26 1,585
1606208 스트레스 DSR 2단계가 뭐에요? 9 부동산 2024/06/26 1,311
1606207 운동하는 강사랑 회원분들이 제가 넘 많이 먹는다네요 32 ㅇㅇㅇ 2024/06/26 4,774
1606206 집나간 길고양이 14 돌아와 2024/06/26 1,586
1606205 기린 시원한 발차기 2 ... 2024/06/26 626
1606204 보건복지부 박민수 차관 36 ... 2024/06/26 3,501
1606203 에코프로 나락가네요 2 ㅠㅠ 2024/06/26 4,734
1606202 밀양시, 대국민 사과 23 ㅇㅇ 2024/06/26 4,323
1606201 전주 세계소리축제가 8/14~18일까지 열려요 2 그냥 2024/06/26 497
1606200 손웅정 사건 학생 부모님 입장 55 ㅇㅇ 2024/06/26 20,177
1606199 저희 엄마는 진짜 왜이렇게 인복이 없을까요 11 2024/06/26 5,473
1606198 부모를 싫어하면서도 부모를 닮던데요 4 dw 2024/06/26 1,187
1606197 대학 성적 알려주세요 2 ... 2024/06/26 1,543
1606196 심리스브라 많이들 착용하시나요 15 // 2024/06/26 2,758
1606195 서울 집값 상승 맞나요? 16 .. 2024/06/26 3,898
1606194 누구 만나고 오면 아파요 7 .. 2024/06/26 2,543
1606193 자식이 매번 먼저 안부전화 드려야 하나요? 7 부모님께 2024/06/26 1,829
1606192 얼굴에 흑자라는데 차료하면 또 재발하니요? 9 ... 2024/06/26 2,151
1606191 마지막주 수요일, 궁입장 무료에요 5 몰랐어요 2024/06/26 967
1606190 (진짜 궁금) 나 우울해서 빵 샀어 이 에피소드요 33 무슨 연관이.. 2024/06/26 4,016
1606189 출산후 운동하다가 손목이 너무 아픈데, 병원 가봐야할까요? 4 여름날 2024/06/26 448
1606188 티몬 이마트금액권 8%떴어요!! 7 ㅇㅇ 2024/06/26 1,327
1606187 말 따로 정책 따로…부동산PF·가계부채 혼란만 키운다 1 ... 2024/06/26 405
1606186 인덕원비빔국수같은 면은 어디서 살까요 5 땅지맘 2024/06/26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