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교육+대학 지원하기 vs 독립할 때 전세금 보태주기

VS 조회수 : 1,282
작성일 : 2024-06-09 20:15:57

아이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올라가면서 어떻게 지원해 줄까 고민 중인데요...

 

사교육비와 대학 학비와 용돈을 지원해 주느냐, 아니면 아무런 지원 하지 않고 독립할 때 전세금을 지원해 주냐 입니다.

 

대충 계산해 보니 사교육비와 대학 학비 용돈 등을 생각해 보니 1.5~2억 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돈을 독립할 때 전세금으로 지원해 주는게 좋은지 고민 중이네요. 정리하면,

 

1. 사교육비와 대학 등록금 그리고 용돈을 지원

2. 사교육 없고, 대학 등록금은 학자금 대출로 역시 지원 없고, 숨만 쉴 정도의 용돈을 지원. 그리고, 독립할 때 전세금으로 지원

 

만약 대학 때 자취를 한다면 원룸 전세, 그리고 결혼을 한다면 집값에 보태는 형식을 생각하고 있어요.

 

제가 아이보다 먼저 살아보니 사회에 진출할 때 월세로 시작하는 것과 전세로 시작하는 것과의 차이가 너무 큰 것 같더라고요. 월세로 시작하면 전세금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황금같은 시기의 3-4년 정도 너무너무 힘들게 살아야 하는 것 같고, 실제로 이스라엘 같은 나라가 아이가 사회에 진출할 때 전세금 정도를 집안에서 지원해 준다고 하더라고요.

 

제 경제 사정으로는 사교육과 대학 등록금 그리고 전세금 모두를 지원해 주면 제 노후 준비가 잘 안될 것 같고, 제 노후 준비가 안되면 아이에게 더 큰 부담을 주는 것 같아서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 같아요.

 

아이 키워보신 선배님들의 혜안 부탁드립니다!

IP : 103.241.xxx.2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공부할 때는
    '24.6.9 8:19 PM (59.6.xxx.211)

    사교육 지원해줘야죠.
    좋은 학교 들어가고 좋은 직장 들어가면
    그깟 일이억 금방 벌어요.

  • 2. ㅇㅇ
    '24.6.9 8:20 PM (58.124.xxx.225) - 삭제된댓글

    그때가서정하셔요.
    공부 잘하고 학원도움 필요하다하면 안해줄수없잖아요.

  • 3. 약간 어리석은
    '24.6.9 8:20 PM (223.62.xxx.86)

    애봐가면서 하는거죠
    공부잘한다 싶으면 사교육비 지원 더 해주고
    공부아니다 싶으면 후자로요
    그런데 극단적인 게 아니고 봐가봐면서 적절한 조합이요

  • 4. 제 경우 1번
    '24.6.9 8:22 PM (59.6.xxx.211)

    유학까지 보내주고
    결혼할 때는 지원 안해줬어요.
    공부 끝나고 몇 년 벌어서 본인 힘으로 결혼했는데
    지금도 감사하다고 해요.

  • 5.
    '24.6.9 8:23 PM (39.117.xxx.171)

    전세금 1,2억 지원해주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공부해야 할 때 공부시켜서 좋은 직장 들어가면 윗댓글님 말처럼 그거 금방인데
    그리고 애 더 커보세요
    남들 다 학원보내는데 돈아깝다고 모아서 전세금 지원해주자 그런 생각이 드나
    애는 가성비로 키우는게 아니에요

  • 6. ..
    '24.6.9 8:24 PM (223.62.xxx.115)

    사교육비 대학학비 용돈...돈 저축한다고 아예 안해줄 부분은 아니예요 기본적인거 최소한의 사교육 조절해서 해주시길요
    아직 초등 고학년이면 희망이 많을때고요
    대학 진학해서 그건 학자금도 장학금도 많으니
    용돈은 대학때 알바해서 보탤 수도 있고요

    일단 대입까지는 조절해서 지원해 주세요

  • 7. ……
    '24.6.9 8:33 PM (211.245.xxx.245) - 삭제된댓글

    사교육비 몰라도
    대학학비는 지원해주세요
    십년뒤엔 전세제도가 앖어질지도 모르니 보증금 정돌거에요

    생각이 많으시네요

  • 8. .....
    '24.6.9 8:50 PM (118.235.xxx.219) - 삭제된댓글

    사교육비를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을 여러모로 알아보세요.
    가성비 제일 낮은 게 실력도 파악 안 된 학원, 강사에게 주구장창 보내는 거라고 생각해요. 돈과 시간만 쓰는건데, 돌아오지 않는 시간이 치명적이죠.
    반대로 가성비 제일 높은 게 일타강사 인강이겠죠.
    이 사이의 다양한 조합, 부모 정보탐구, 아이 성향과 의지... 이게 합해서 공교육에서 내신 올리고 실력 쌓는거죠. 이 조합이 거주지 학원역량, 아이 학년, 잘하고 못 하는 과목에 따라 꾸준히 마련되고 바뀌어야 해요. 학생 실력은 수시학종이라 수능 준비 안 하게 아니면 대개 수능으로 나타납니다.
    가령, 저는 애들 초등고학년 때 중고등 공교육, 사교육 질이 높은 게 가장 핵심이라고 봤어요. 실력있는 선생이 잘 가르치고 아이가 열공해야 효율이 가장 놓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학군지 이사를 했는데 이게 유일한 답은 아니죠..

  • 9. ????
    '24.6.9 9:08 PM (211.58.xxx.161)

    독립할때 전세금해주시는거로 결정나면 학원도 안보내고 냅두시는거에요???애가 공부하고싶거나 아님 못해서 자존감떨어지는 상황에서도 그놈의 전세금때매 안해주는건가요
    이걸 왜고민하는지

  • 10. .....
    '24.6.9 9:18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아이가 초고이고 그런 생각이시면, 사교욱비를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이 초고, 중, 고등 어떻게 다른지, 어디 역점을 둬야하는지 정보를 많이 찾아보세요. 여기도 사교육 비용 크게 안 쓰고 공부 잘 시킨 고수분들 많더라구요. 아이도 따라줘야겠지만, 부모님이 미리 아는 것도 도움이 되죠. 가성비있게 공부도 시키고, 전세비도 지원해주면 가장 좋죠. 아이가 뭘 하든, 일단 소득이 있고 경제관념도 있는 게 중요합니다.

  • 11. ....
    '24.6.9 9:24 PM (121.135.xxx.82)

    전세사는 편의점 알바생
    월세사는 직장인 혹은 전문직...

    아이가 스스로 자립할수 있게 직업을 얻을수 있는.서포트는 해주셔야 하죠...

  • 12. ...
    '24.6.9 11:18 PM (118.235.xxx.149)

    우리 애들 어릴때 제가 애들한테 간접적으로 공부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한 얘기가 있어요.

    돈이나 보석등 재물은 다른 사람들이 뺏어갈수 있지만
    머리속에 든 지식은 남들이 뺏어 갈수 없다고...
    공부해두면 어디서든 기회가 생기고 일어설 기반이 된다구요.

    우리나라가 IT강국으로 빠르게 전환할수 있었던 이유가
    김영삼대통령때 대학 많이 늘려
    준비된 인재들이 유연성있게 IT쪽으로 진출할수 있었던 것처럼 공부는 아이가 미래를 살아갈때 돈으로는 비교할수 없는 소중한 자산이 될거에요.

  • 13. 무자르듯
    '24.6.10 8:23 AM (211.248.xxx.34)

    무자르듯 안될걸요 학령기땐 최대한 교육 지원하고 결혼할땐 주택구입자금 지원하고...생각보다 소득이 늘어서 감당하게 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3421 탈북단체들 왜 이러지..정말 19 .... 2024/06/18 2,296
1603420 주휴수당 잘 아시는 분 부탁드립니다 4 주니 2024/06/18 783
1603419 지상열이 입은 이 셔츠 어디꺼인지 아시는분 4 2024/06/18 1,233
1603418 이불장 추천부탁드려요 도와주세요 2024/06/18 230
1603417 미역국 넘 맛있어요 16 111 2024/06/18 3,410
1603416 신기하네요 1 ㅋㅋㅋㅋ 2024/06/18 532
1603415 이거 정말 몸에 좋은 거 맞나요? 효과보신 분? 7 2024/06/18 1,909
1603414 턱 라인, 볼살 처짐 슈링크? 9 ... 2024/06/18 1,442
1603413 역대급 시가 여름휴가 경험담 아마 제가 1등일 듯 29 .. 2024/06/18 5,109
1603412 ai가 예쁘네요 4 .. 2024/06/18 1,156
1603411 위생, 청결 기준이 참 묘하네요 9 ** 2024/06/18 1,846
1603410 계급 3 ... 2024/06/18 515
1603409 임플란트 치아보험 문의합니다. 6 전문가 2024/06/18 340
1603408 다른 사람이 잘못한게 보이는데 모른척 하실때도 있나요 5 ... 2024/06/18 999
1603407 호텔얘기 나온김에 7 저도 2024/06/18 1,719
1603406 바나나빵 성공했어요 8 오오 2024/06/18 2,275
1603405 말실수란 무엇인가요??? 1 ... 2024/06/18 533
1603404 82쿡보니 어른들도 다 어른같진 않네요 9 .. 2024/06/18 1,356
1603403 푸른바다의 전설은 시청률 안좋았나요? 6 ... 2024/06/18 1,744
1603402 간편결제 3 ... 2024/06/18 684
1603401 황보라 진짜 웃기는 여자네요 27 황보라 2024/06/18 31,853
1603400 똥개들아 이거 기억나니? 2024/06/18 459
1603399 공기청정기 크기 2 공기청정기 2024/06/18 266
1603398 최민희, 과방위원장으로서 보고드립니다!/펌 6 화이팅 2024/06/18 1,369
1603397 인프피 주변에 돌아이가 많이 꼬이는 게 17 .... 2024/06/18 2,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