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물가 뛰자 축의금도 덩달아…"10만원 내고 밥 먹으면 욕 먹어요"

..... 조회수 : 5,652
작성일 : 2024-05-17 01:02:17

입력2024.05.16. 남윤정 기자 

 

특히 최근 물가 상승으로 예식장 대여비와 식비가 고공행진하면서 축의금을 두고 하객들 사이에서는 ‘축의금플레이션’(축의금+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왔다.

 

이러한 상황과 함께 축의금 액수를 두고 하객들의 부담 역시 커졌다. 예전처럼 5만~10만원 선에서 축의금을 내기에 눈치가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급등한 식대를 고려해 10만원 밑으로 축의금을 지불할 시 결혼식장을 찾지 않는 게 일종의 예의라는 분위기마저 조성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41615

 

남윤정기자가 곧 결혼하나봐요

IP : 118.235.xxx.22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무슨또
    '24.5.17 1:02 AM (59.17.xxx.179)

    10만원이 욕 먹을 정도래.......

  • 2. 그런데
    '24.5.17 1:05 AM (1.238.xxx.160)

    친척이나 가까운 지인 아닌이상 사실 돈만 보내고 안 가요.
    (미리 돈만 보냄)
    예식업 종사 하는 지인이 결혼식 식대 요즘 많이 올랐다고 하더라구요.

  • 3.
    '24.5.17 1:08 AM (61.47.xxx.114)

    그래도 하객들많은게좋은거아닌가요

  • 4. ㅇㅇ
    '24.5.17 1:10 AM (59.17.xxx.179)

    그죠 돈 문제 이전에, 하객이 많은걸 원하는거 아닌가요?

  • 5.
    '24.5.17 1:11 AM (175.120.xxx.173)

    하객들 많아야 좋다는 말도 이젠 점점 옛말이 될 것 같아요.

  • 6. 얼마전
    '24.5.17 1:22 AM (1.238.xxx.160) - 삭제된댓글

    한정식 집 갔다가 홀에서 작은 결혼식 하는거 봤어요.
    거기 런치가 3만원대니까 예식장 입장에선 저렴하긴 했을거예요.

    예식업 종사하는 지인이 요즘은 결혼식 안 하는 커플들도 많대요.
    그래서 주말에 예식이 몇건 안 된다고

  • 7. 얼마전
    '24.5.17 1:23 AM (1.238.xxx.160)

    한정식 집 갔다가 홀에서 작은 결혼식 하는거 봤어요.
    거기 런치가 3만원대니까 예식장과 비교하면 저렴하긴 했을거예요.
    신부는 흰색 원피스에 화관,
    신랑은 양복
    양쪽 어머니들은 한복, 아버지들은 양복
    하객은 친인척 같았구요

    예식업 종사하는 지인이 요즘은 결혼식 안 하는 커플들도 많대요.
    그래서 주말에 예식이 몇건 안 된다고

  • 8. 돈이
    '24.5.17 2:26 AM (182.211.xxx.204)

    많아서 주체하기 힘들면 거하게 하겠지만
    남들한테 보일라고 하루에 억대를 쓰는건
    솔직히 바보같은 짓이죠.
    결혼식 얼마나 기억한다고...
    호화롭게 결혼하고도 이혼한 사람들 얼마나 많나요?
    결혼식 실속있게 하고 잘사는게 더 좋다고 봐요.
    손님들한테 부담주지도 말구요.

  • 9. 윗님
    '24.5.17 2:51 AM (59.17.xxx.179)

    말이 딱 맞습니다.
    진짜 왜 남들에게 얼마나 잘보이고 싶어서 그렇게 큰 돈을 들여서 결혼식을 하나요
    집사는데나 보태든가.

  • 10. 은하수
    '24.5.17 3:04 AM (58.142.xxx.195)

    한정식집 결혼식 좋은것 같아요.
    요즘 결혼식 식대 비싸기만하고
    맛도 별로 없는곳도 많아요.
    결혼식 가능했던 한정식집
    이름 알고 싶어요

  • 11.
    '24.5.17 3:05 AM (82.78.xxx.208)

    최근에 결혼하는 동생보니
    코로나 전이랑 동급이면 거의 두배가 올랐대요 모든게…;;;
    줄여서 줄여서 해도 몇년전 하고 너무 차이가 나서
    고민하더라구요.

    식장도 문을 많이 닫아서 맘에 드는데 하려면
    1년 웨이팅이라네요.

  • 12. ..
    '24.5.17 3:24 AM (106.101.xxx.201) - 삭제된댓글

    간소하게 변했으면 좋겠네요

  • 13. ditto
    '24.5.17 6:12 AM (125.143.xxx.239) - 삭제된댓글

    ㅈㄴㄷ 한정식집 결혼식도 저렴하진 않을 거예요 저희 애 돌잔치 때 그런 소규모 레스토랑에서 했는데 이곳저곳 알아본 결과 돌잔치 결혼식은 메뉴판 가격과 다르게 받더라구요 다른 거기다가 어떤 곳은 장소 대여비도 또 있거든요 차라리 일반적인 웨딩홀이나 돌잔치 업체에서 하는 게 만고땡일 거 같다 생각했어요 손님들 주차도 편하고.

  • 14. ..
    '24.5.17 6:58 AM (121.165.xxx.203)

    가족들만 모여서 하세요
    안가요
    3인가족 혹은 4인가족 두집이 모이면 6명~8명만 모여 의미있는 시간으로 만들어 봐요

  • 15. 어차피
    '24.5.17 7:46 AM (203.81.xxx.40) - 삭제된댓글

    밥을 먹든 안먹든 보증인원 식대는 내야하니 가셔서
    축하해 주고 식사하고 오세요

  • 16. ...
    '24.5.17 11:34 AM (110.10.xxx.39)

    축의금이 신경쓰이는게 일반적이지만
    예식장마다 최소 정해진 인원이 있어서 가서 축하해 주는게 좋은것 같아요
    차라리 추가 인원비용 내는게 좋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3300 진짜 미치겠어요 혹시나해서 올려봅니다ㅠ 3 2024/05/19 5,856
1583299 중독 된거 있으신가요 ? 28 ㅁㅁ 2024/05/19 6,373
1583298 5.18 신군부의 만행 3 ㅠㅠ 2024/05/19 1,241
1583297 히어로아닙니다만 재밌긴한데 천우희가짜부모가 빌런 14 푸른당 2024/05/19 6,114
1583296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일상이 힘들어지죠 6 ㅇㅇ 2024/05/19 2,679
1583295 65세이신데 두가지 기억을 못해요 21 기억력 2024/05/19 6,057
1583294 갤럭시 디자이너가 내가 디자인했으니 가지고 나가겠다 5 2024/05/19 3,728
1583293 20기 양자역학 광수 시선처리요 5 ... 2024/05/19 3,376
1583292 식집사로서 그동안 실수했던 것 7 식집사 2024/05/19 2,722
1583291 뻔뻔한 고양이 11 2024/05/19 2,879
1583290 50대초반 여성 명함지갑 어디가 좋을까요? (명품말고) 7 ... 2024/05/19 1,704
1583289 나이들어서 어떤가요? 2 ㅣㅣ 2024/05/19 1,353
1583288 한동훈 kc인증 관련 직구 제한 반대 기사에 웃긴 댓글. 3 2024/05/19 2,751
1583287 옷 딜레마 4 2024/05/19 2,046
1583286 위메프 비락식혜제로 싸네요 3 ㅇㅇ 2024/05/19 1,392
1583285 엉덩이 통증 어디 병원으로 가야하나요? 11 2024/05/19 2,850
1583284 냉동실에 들어간 고기 안 먹는 사람 많나요 15 .. 2024/05/19 3,852
1583283 매일 아프다고 징징징 병원은 안 감. 10 그냥죽어라 2024/05/18 2,840
1583282 돈에 너무 무지했어요 7 ㅜㅜ 2024/05/18 12,868
1583281 50대 이상 전업님들 15 2024/05/18 6,123
1583280 눈치를 영어로 4 ㄴㅇㅎㄷ 2024/05/18 2,748
1583279 서현진 배우 근황 궁금해요. 6 은정 2024/05/18 7,273
1583278 60대 이상인 분들 '어르신'이란 호칭 어떠세요? 50 존중 2024/05/18 4,862
1583277 목에 난 쥐젖 제거 후 피부가 닭살이 됐네요. 4 괴롭다 2024/05/18 3,200
1583276 친정과 시댁이 같은 도시에 있으면 좋을까요? 8 새댁 2024/05/1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