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이나 유럽도 부동산이 최고의 재태크 수단이고

신기 조회수 : 2,896
작성일 : 2024-05-05 08:55:03

전국민이 달려들어

전재산의 80프로가 부동산에 매여있나요.

아니면 우리나라가 매우 특이한건가요

IP : 223.38.xxx.141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5.5 9:05 AM (121.134.xxx.19)

    우리 나라와 달라요
    보유세 엄청나고 집값도 한국처럼 오르지도 않아요

  • 2. ㄷㄷ
    '24.5.5 9:11 AM (110.15.xxx.165)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는 전체가 다단계에 빠져있는거같아요 부동산,교육,전문직,직업,연예계..소수만 이득보는데 그게 진리인양 거기에 매달려있죠 상생을 모르는사회로 가고있는듯요

  • 3.
    '24.5.5 9:14 AM (1.225.xxx.130)

    민주당에서 서민을 위한 다면 복지하려니
    돈이 필요해 집값을 올린거지
    머리 모잘라서 정책을 잘못 피는건지
    민주당만 되면 집값 폭등
    자산가를 위하는 당

  • 4. ...
    '24.5.5 9:21 AM (14.54.xxx.214)

    유럽은 일단 소득세자체가 어마어마하고. 그거모아 부동산못사지않나요?그리고 아직도 왕이랑 백작. 공작있는 나라도 있고.
    전쟁으로 다부서지고 새로 일어난 우리나라랑 고대로 비교가 불가능하죠.

  • 5. ...
    '24.5.5 9:22 AM (14.54.xxx.214)

    한국인이 내집에 집착하는건 미개하서가 아니죠.그런 백년을 살아왔기에.

  • 6. ...
    '24.5.5 9:33 AM (180.64.xxx.185)

    유럽은 더 심해요. 그래서 아예 집 가질 생각을 못하니 임대와 월세가 만연한 거예요.
    우리나라도 앞으로 점점 더 그렇게 될 거에요

  • 7. ....
    '24.5.5 9:40 AM (39.115.xxx.236)

    미국에서 최고의 재테크 수단은 주식이고 선진국은 부동산은 국가에서 관리하죠.
    주택보유세가 어마어마 하다고 하더라구요.
    민주당이 집권하면 좋아지는 경제지표에 세력들이 부동산 띄우기 좋은거죠.
    그래서 언론이 민주당이 집값올렸다~~~ 이러게 되는거고.

  • 8. oo
    '24.5.5 9:44 AM (73.86.xxx.42)

    한국과 정반대. 미국은 자산의 70프로가 금융자산이고 부동산비율은 정작 30프로 밖에 안됨. 그래서 집값 오르고 내리고가 선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작 인플레가 영향을 미치죠.

  • 9. ...
    '24.5.5 9:46 AM (180.64.xxx.185) - 삭제된댓글

    미국도 일단 집 먼저 장만했어요. 최근에 모기지 금리가 엄청 올라서 주식으로 턴한 거예요.

  • 10. ...
    '24.5.5 9:48 AM (180.64.xxx.185)

    미국도 일단 집 먼저 장만했어요. 금융 자산도 거의 연금 계좌였구요.
    최근에 모기지 금리가 엄청 올라서 주식으로 턴한 거예요.

  • 11. ...
    '24.5.5 9:57 AM (14.52.xxx.159)

    뭘 하나도 안올라요? 유럽도 대도시는 코로나이후 2배올랐어요. 그리고 유럽은 집이니 성이니 상속세가 없어요. 유동성, 돈가치가 떨어진다 그건 경제 기본이예요

  • 12. 사랑
    '24.5.5 10:43 AM (1.239.xxx.222) - 삭제된댓글

    그런데 요새 기후재앙으로 홍수에 집 떠내려가고 산불에 다 타버리고 집에 올인한 분들은 어느정도 보상을 받나요? 남의 나라 일로만 여기기에는
    영화에서만 보는 것과는 달리 이젠 코 앞에 닥친듯 싶어서요

  • 13. 사랑
    '24.5.5 10:44 AM (1.239.xxx.222) - 삭제된댓글

    그런데 요새 기후재앙으로 홍수에 집 떠내려가고 산불에 다 타버리고 토네이도에 뜯겨나가는 등 집에 올인한 분들은 어느정도 보상을 받나요? 남의 나라 일로만 여기기에는
    영화에서만 보는 것과는 달리 이젠 코 앞에 닥친듯 싶어서요

  • 14. 뇌피셜
    '24.5.5 10:51 AM (211.250.xxx.112)

    미국 유럽은 몇백년 전부터 금융산업이 존재했고 주식시장도 있었잖아요.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빼앗고 다닐때 그걸 금융산업이 뒷받침했고 그 이익을 키우기 위해 금융산업이 또 발전하고요. 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짐짝처럼 차곡차곡 쌓아서 데려오기 위한 돈, 거래하는 돈, 그들을 착취하며 사탕수수 농장해서 번 돈, 전세계에 설탕을 수출하며 번 돈.. 그 돈이 금융산업을 키웠죠.

    그에 반해 우리는 산업화도 늦고 금융산업이 매우 늦게 발전하기도 했지만 전쟁 금융위기같은 대형 위기를 겪으면서 눈에 보이는 현물에 대한 신뢰가 더 클것 같아요.

    또한 과거에 경제성장율이 높다보니 인플레도 높았고 화폐가치는 급격히 떨어지고, 기반 투자와 인급급증으로 인해 투지수요도 급증하니..부동산이야말로 최고의 투자자산이었겠죠.

    이제는 우리나라도 과거와 같은 고속성장보다는 혁신으로 먹고 살아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본투자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주식시장을 꼭 키워야해요.

    어떤 산업이 발전하려면 먼저 돈이 들어와야해요. 주식시장이 바로 그 돈을 끌어오는 방법이 되는거죠.

    국민연금에 대해 불만이 많잖아요. 만약 우리나라 기업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는 믿음이 있다면 어떻게될까요?

    세계적으로 투자성과가 좋은 우리나라 연기금이 국내투자를 줄이고 해외투자를 늘린다면서요. 안타까운 일이예요.

    내가 매달 월급의 일부를 떼어 주식투자를 해서 은퇴할때는 큰 자산이 되어있고 그걸 매달 현금화해서 노후생활을 할수있고, 젊은이들이 사회에 진출하면서 또 똑같이 투자하고 은퇴하고.. 기업은 이익의 일부를 배당하고..

    이런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주면 좋겠는데 최근의 분위기는 그게 아니라 아쉽네요.

    그리고 우리나라처럼 개인이 부동산 투자를 많이하면 장점은 있죠. 월세가 싸죠.

  • 15. 너무
    '24.5.5 10:59 AM (223.38.xxx.3)

    유럽과 미국은 요충지 집값이 너무 비싸서 보통사람들이 넘 볼 수 없어서 재테크고 뭐고 할 수도 없고 그냥 월세 살 거 같은데요

  • 16. ㅇㅇ
    '24.5.5 12:59 PM (14.39.xxx.225)

    집값이 한국처럼 안올랐다는 분은 외계인이가요? ㅎㅎ
    한국은 부동산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게 금융시장이 전세계 하위 수준이에요
    국장은 장기로 투자할 만한 곳이 아니란 말인거죠.
    그런데 금투세라니 ㅋ
    민주당 지지자지만 한국을 선진 금융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해요

  • 17. 저요
    '24.5.5 1:34 PM (109.43.xxx.46)

    유럽중 1국중 대도시 사는데요

    근로소득세 42% 떼고
    부동산 취등록세 11% 부동산 중개 수수료 2.5% 예요
    보유세는 말 할것도 없겠죠?

    매해 부동산은 오르긴 하죠
    하지만 코로나 전후 두배요? 도대체 아디가 그렇다는 거죠?
    동유럽이 그런가요?

  • 18. ㅇㅇ
    '24.5.5 5:18 PM (80.130.xxx.213) - 삭제된댓글

    윗님, 유럽은 코로나 전후가 아니라 2011년 저금리 시작 시점부터 쭈시점코로나까지 두세배로 올랐어요..

  • 19. ㅇㅇ
    '24.5.5 5:18 PM (80.130.xxx.213)

    윗님, 유럽은 코로나 전후가 아니라 2011년 저금리 시작 시점부터 쭈욱 코로나까지 두세배로 올랐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0305 부산 민락동사시는분 6 블루커피 2024/05/08 1,075
1580304 선재 어제는 왜 또 재미있어요? 8 .. 2024/05/08 2,053
1580303 힘들때 친구들 연락 8 다리 2024/05/08 2,321
1580302 검찰, 한동훈 딸 부모찬스 의혹 보도 한겨레신문 기자들 수사 5 미쳐돌아가네.. 2024/05/08 1,206
1580301 직장생활은 출근이 반같아요. 10 으아 2024/05/08 2,967
1580300 차 운행 중 경고등이 떴어요 10 어머나 2024/05/08 1,438
1580299 성실함도 타고나는건가요? 13 ㅇㅇ 2024/05/08 2,307
1580298 프랑스 갈 때 3 궁금 2024/05/08 972
1580297 아이 영어 숙제 질문좀요ㅜ 8 ㄴㅅ 2024/05/08 533
1580296 딸이 어버이날 선물로 20 2024/05/08 4,722
1580295 초등 영어수업 5 교육 2024/05/08 807
1580294 부추전 망했어요ㅠ 부침가루가 문제일까요? 19 오랜만에 2024/05/08 2,992
1580293 머위대 볶았는데요. 4 2024/05/08 1,159
1580292 장상피화생,위축성위염있으신(있으셨던)분 9 pp 2024/05/08 2,335
1580291 지금 문제되는 여행사 24 .. 2024/05/08 6,881
1580290 김동아 또다른 학폭 피해자"매일 등교가 고통이었다&qu.. 7 ㅇㅇ 2024/05/08 2,876
1580289 희한하게 맛있는 라면 우연히 발견~~ 7 옴마야 2024/05/08 4,186
1580288 네이버 라인 4 ㅇㅇㅇ 2024/05/08 1,068
1580287 수전증은 어디서 진료받아야 할까요? 5 병원 2024/05/08 1,129
1580286 여름에 쿨매트 쓸만할까요? 4 더위 2024/05/08 743
1580285 노부모님들 부부싸움의 원인은 주로 뭔가요? 12 2024/05/08 5,398
1580284 급해요 ㅜ 엘지냉장고 4 ㆍㆍㆍ 2024/05/08 1,662
1580283 서울 갈일이 있어서 자주 갔는데. 1 신기 2024/05/08 1,807
1580282 친정식구랑 연락 끊고 지내시는분 계신가요? 8 ㅇㅇ 2024/05/08 3,490
1580281 고1 수학 20점. 과외를 계속 해야 할까요? 15 .. 2024/05/08 3,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