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일 간단한 기제사 음식종류 뭐 하면 좋을까요

기제사 조회수 : 1,706
작성일 : 2024-05-04 16:37:04

시부모님 편찮으셔서 맏아들인 남편이 시조부모님 기제사를 저희집에서 지내자고 합니다.

저는 제사 모시는것에 부담은 없는편이에요

따로 다른가족이 멀리 살기 때문에 참석하지는 않아서 그런가봐요.

그래도 과하게 지내고 싶은 마음은 없어요.

제사상에 절대 빠지면 안되는 가장 기초음식은 어떤거라고 생각하세요???

참고 해서 하고 싶습니다

 

 

IP : 119.64.xxx.7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5.4 4:44 PM (211.234.xxx.131)

    전 3종류 사시고
    나물 3가지, 포, 소고기 산적, 생선적(저는 생선 사서 건조시켜 쪄 올리다 식구들이 안 먹으니 인터넷에 파는 전자렌지에 찌는 부세 보리굴비 이용)
    떡도 걍 카스테라 올리고 탕국 끓이면 뭐 간단.
    전만 부치지 않아도 제사 음식 껌이죠.
    울 세가족 제사, 차례 지낸지 10년도 넘었어요.

  • 2. 12
    '24.5.4 4:49 PM (220.117.xxx.88)

    성균관에서 제시한 상차림 참고하셔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13188

  • 3. ..
    '24.5.4 4:59 PM (211.234.xxx.131)

    당연
    윗님처럼 간단히 하고 싶죠. 제 맘은..
    근데 남편이 본인 부모 제사, 그러고 싶지 않다하면 적당한 조율이 필요하죠.
    10여년 모시고 보니, 올해부턴 남편이 명절은 공원묘지 가서 지내자고 하더라고요.

  • 4. 댓글님
    '24.5.4 4:59 PM (121.147.xxx.48)

    그 찐 부세보리굴비 냄새 덜한가요? 저희도 생선 많이 먹을 사람이 없어서 사이즈도 그렇고 제사상에 올려볼까? 생각중이었거든요.
    그리고 원글님 전 3개 다 하기 힘들면 식자재마트에 냉동전들 많아요. 요리 잘 하시더라도 딱 갯수 맞춰서 상 올릴 만큼만 하면 힘 덜 들어요. 식구들 먹일 생각 하지 말구요. 전 육전 세 개 전유어 세 개 시판 오징어튀김 에어프라이어에 세개 구워서 한번에 올립니다. 제사는 구색맞추기죠.
    앞으로는 더더 줄여가려구요. 결국 황태포 과일 술 이 정도로만 올리다가 없애게 될 것 같아요.

  • 5. 12
    '24.5.4 5:01 PM (220.117.xxx.88)

    20년 모시니 이제 부아가 납니다
    며느리 부아나게 하는 제사는 후손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초장부터 간단하게 가세요
    요새 있는 제사도 없애는 시절인데 말이죠

  • 6. 121.147
    '24.5.4 5:04 PM (39.118.xxx.199)

    전자렌지 살짝 돌리고 저는 기름에 노릇하게 튀겨요.
    그래야 비린내가 덜해요.

  • 7. 부세굴비
    '24.5.4 5:13 PM (121.147.xxx.48)

    댓글님 고맙습니다. 추석상 생선을 말리다가 망해서 앞으로는 짜게 말린 걸 해야 할 것 같아요.
    제사 음식 양을 많이 만들면 고통이 시작됩니다. 음식모형제조한다는 느낌으로 한 상을 만들고 대부분 사서 그대로 올리는 걸로 채우면 그나마 할만해요.

  • 8. 원글
    '24.5.4 5:27 PM (119.64.xxx.75)

    네 감사합니다.
    다른것보다도 마른대추가 참 늘 처치곤란이었어요.
    더구나 건강문제로 온식구가 식이조절 하고 있어서요
    전은 몇개씩만 사는거 좋네요.
    과일도 한개씩만 사고 황태포는 즐겨쓰는 식재료니까 좋고
    나물도 괜찮고요

    남편이 제사 중요하게 생각하고 저도 괜찮아요.
    물론 자식들에게 강요할 생각은 조금도 없구요.

  • 9. .....
    '24.5.4 5:29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양가 제삿상차림이 달라(당연하죠), 제가 원글님같은 맘으로 상당히 뒤져본 적이 있어요. 80년대 책자였는데 이게 기본이었어요. 이 기사가 그 책 기반으로 보여요.

    https://m.yna.co.kr/amp/view/GYH20231102000600044

    메,국,떡,물김치,탕,조기 이게 기본이고, 여기에 나물, 전, 과일 늘려가는 것이더군요. 가짓수도 1,3,5,7 늘리구요. 집안특색물(문어 등) 놓구요.

    전 물김치에서 좌절. 국과 탕이 구별하기 어려웠구요.
    전 그냥 저녁 짓듯이 메, 탕, 조기, 나물, 과일 1가지씩 차려요.

  • 10. 원글
    '24.5.4 5:40 PM (119.64.xxx.75)

    아 대추가 꼭 있어야 하는게 아니라 과일 가짓수에 포함되는 거라면 다행이네요.

    지금 제 생각은

    전 3가지- 생선전 동그랑땡 육전등, 나물 3가지-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 과일 3종 - 사과 배 참외나 포도 , 어포, 술, 육탕, 삶은돼지고기 .. 이렇습니다

    이정도면 예법(?) 에 어긋나는건 아니겠죠???

  • 11. ...
    '24.5.4 5:44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훌륭하신데요.

  • 12. .....
    '24.5.4 7:18 PM (112.169.xxx.47) - 삭제된댓글

    앞으로의 세상에서는
    제사를 없앴습니다 라는 글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저도 원글님과 거의 비슷한 상황으로 시가 제사 가져왔었는데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저 혼자만의 몹쓸 일이었습니다
    진짜 세상 쓰잘떼기없는ㅠㅠ

  • 13. 원글
    '24.5.4 8:28 PM (119.64.xxx.75)

    저는 남편 위해서 제가 해줄 수 있는 몇 안되는 일중에 하나에요 제사 간단히 모시는거요.
    자식들에게 강요할생각은 저도 남편도 없지만, 할 수 있는만큼만 남편 하고싶은대로 하게 해줄 생각입니다.
    그동안 가족들 위해 참 열심히 살아온 사람이 남편이라 제남편 위한다는 생각으로요... 그리고 시조부모님 저 결혼할때 두분 다 생존해 계셨었고 이뻐해주셨어요. 얼굴도 모르는 조상은 아니니까요 ^^
    가벼운 마음으로 하겠습니다.
    여러 댓글들 감사합니다

  • 14. .....
    '24.5.4 10:10 PM (112.169.xxx.47) - 삭제된댓글

    저도 똑같았습니다ㅜ
    남편에 대한 생각도 이해심도 배려도 똑같았구요
    무려 15년전이구요
    근데요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아무 쓰잘데기없는 나만 괴롭히는짓이었습니다ㅠ
    내 조상도 아니구요
    시간지나보면 아실겁니다ㅜㅜ
    아무짝에도 쓰잘떼기없는 시가조상을 위한 제사요
    심지어 자식들한테도 교훈이 되지않는일이었구요ㅜ

    차라리
    내 친정조상님들을 위해 제사를 지낼것을ㅜ

  • 15. ...
    '24.5.5 6:41 AM (221.165.xxx.229)

    그런데 어른 편찮으신 집은 제사 안지내는거라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5787 저는 사주에 흙(土)이 하나도없어요 23 2024/07/04 4,537
1595786 등통증 호흡곤란 심장? 조임 9 등통증 2024/07/04 2,675
1595785 12시간째 단식중인데 배가 안고파요 2 궁금 2024/07/04 1,610
1595784 홈쇼핑 까사리빙 냉감 괜찮나요 2024/07/04 542
1595783 냉동실 정리통 괜찮나요?? 7 .... 2024/07/04 2,369
1595782 오늘 읽은 제일 웃겼던 이야기 5 00 2024/07/04 4,428
1595781 이밤 정말 환장하겠네요^^ 7 기억상실 2024/07/04 6,365
1595780 고등엄마 진짜불안하네요. 9 인컷 2024/07/04 4,811
1595779 100일 넘은지 얼마 안 되어도 말을 하나요 4 귀여워라 2024/07/04 2,657
1595778 일반폰으로 통화한 그 시간에 윤석열은 전화할 상황이 아니었다 6 그럼 2024/07/04 2,448
1595777 (제보자)명신이 친구 등장 11 ... 2024/07/04 6,502
1595776 푼돈 쓴거 모아보니 무섭네요 5 야금야금 2024/07/04 4,638
1595775 디즈니/쿠팡/넷플 드라마 추천하주세요. 8 Qqq 2024/07/04 2,623
1595774 헤어지고 질척거린 허웅 심리가 뭘까요? 46 .. 2024/07/04 16,334
1595773 제가 프랑스를 선진국이라 생각하는 이유 17 파리 2024/07/04 5,293
1595772 아이디어 좀 주세요~ 3 어떻하지 2024/07/04 746
1595771 이건 봐야해! 사랑스런 초보 냥엄마의 실수 ㅎㅎ 3 2024/07/04 1,837
1595770 놀아주는 여자 시청률 좀 올려주세요~ 14 부탁드려요 2024/07/04 3,484
1595769 삼권분립 무시하고 언론 검찰 장악해서 시행령으로 지멋대로 한게 .. 3 2024/07/04 1,136
1595768 어떻게 좀 몸에 나무를 지녀야 할까요? 9 2024/07/04 2,177
1595767 '막말' 이진숙 "문재인은 개버린", 이태원 .. 17 ... 2024/07/04 2,428
1595766 엄마에게 맨날 고마운 아기 9 솔이 2024/07/04 3,558
1595765 초딩 코로나 열 4일째..이렇게 오래가나요? 3 2024/07/04 1,494
1595764 전 프랑스 너무 좋았어요 7 2024/07/04 3,125
1595763 가계빚 잡겠다더니 특례대출 확대…정책 '엇박자' 5 ... 2024/07/04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