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당뇨2년차..병원 바꿀까요?

당뇨 조회수 : 3,098
작성일 : 2024-04-27 23:30:27

 10년간 당뇨전단계 였다가 2년전 폐경후 당화혈색소  6.8 나와서 메트포르민 서방정 한알씩 먹고 6.3~6.4유지 중  인데 생각처럼 5점대로 안떨어지네요. 

몸무게는 당뇨전에 급격한 감량으로 요요가 3번쯤 와서 (60에서 52로 오르락 내리락)

서서히 빼고 있는데 당뇨진단시 58 현재 56 이예요.

51까지 빼면 좋아질 것 같은데

서서히 빼야 할텐데 더 힘든거 같아요. 

무리해서라도 빨리 빼야 할까요?

식생활은 밀가루  당류 다 엄청 줄이고 

단 음료도 절대 안먹는 편이구요

야채  단백질 통곡물 위주로 잘 지키는 편입니다.

당뇨 진단받고 빨리 관리했어야 했는데

일 하고 스트레스 받느라 잘 못했어요.

이제 관리 하려하는데 전문병원으로 옮기는게 좋을지... 현재 동네 병원은 메트포르민 먹고 6.3 이면 유지 잘 하고 있다 그러네요

 너무 느슨 한 느낌이예요

 

 

IP : 218.239.xxx.7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래
    '24.4.27 11:40 PM (182.227.xxx.251)

    당뇨환자는 적정한 당화혈이 6.3 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요.
    그 보다 더 낮아봐야 더 이득될건 없다고 했던가??

    그런데도 관리 하는 당뇨환자들은 노력해서 5점대로 내려가고 싶어 하고
    그래서 단약도 하고 싶어 해요.

    제가 관리해서 5점 초반대 당화혈인데 저는 그래도 멧폴민 제일 작은 용량 1알 유지 하고 있어요.

    관리하면서 느낀건 몸은 정말 정직 하다.
    먹지 말아야 할거 먹지 말고 먹어야 할거 먹고
    운동 꼬박꼬박 해서 혈당 내려 주고 하는것만이 혈당 내리는 방법 이고요

    아울러 마른당뇨 아니라면 적정 몸무게로 내려줘야 혈당이 내려가요
    사실 관리 잘하면 몸무게가 빠질수 밖에 없어요.
    몸무게가 찔끔 빠지고 안빠진다는건 관리를 잘 못하고 있다는 거거든요.

    다만 단순히 몸무게 감량이 중요한게 아니라 근육은 키우고 지방은 없애야 하는 거에요.
    그래서 힘든 거죠.

    사실 2년전에 진단 받으시고 바로 빡센 관리로 내렸어야 하는데 좀 늦으신 감이 있긴 합니다.
    보통은 진단 받고 1년안에 몸무게를 20% 까지 빼고 혈당 내려야 관해의 가능성이 커진다고 했던가? 10% 였나 그랬어요.

    저는 20% 몸무게 감량 했고 그래서 당화혈이 확 내려갔어요. 6개월만에요.

    병원을 옮겨봐야 달라질게 없어요.
    결국 당뇨와 싸워서 이겨야 하는건 내 스스로 이거든요.
    저도 병원에서 의사샘이 6.3 유지 하시면 되니까 넘 힘들게 하지 마시라 이야기 들었었지만
    내가 목표를 정하고 관리 한거에요.

    스스로 식단과 운동을 통한 관리 시작 하세요.

  • 2. ㅇㄱ
    '24.4.27 11:47 PM (218.239.xxx.72)

    거의 탄수화물을 안먹고 야채 단백질 무염으로 급속 감량했었는데 그렇게라도 급속 감량후 유지를 시도해야 할지.. 현재 의사쌤은 요요 오지 않게 서서히 하라고 하는데
    한달 1키로 감량이 더 힘든것 같아요.
    암튼 빡세게 관리 하겠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3. 탄수화물
    '24.4.27 11:59 PM (182.227.xxx.251)

    안드시면 안됩니다.
    적은 양이라도 끼니마다 꼭 챙겨 드세요.
    초반에 저도 욕심껏 탄수화물을 뺴버렸더니 머리카락이 술술 빠져서 대머리 될뻔 했어요.
    그 후에 적게라도 꼭 챙겨 먹어 버릇 하고 신경써서 머리카락 다시 나오기 시작 했어요.

    그리고 탄수화물 너무 절제 하면 나중에 탄수화물을 조금이라도 먹으면 예민해져서 확 스파이크 옵니다.
    그렇다고 평생 탄수화물을 전혀 안먹고 살수 없잖아요.
    내 몸에 탄수화물이 들어 온다는 걸 알아야 내 몸이 그런 극단적인 상황을 만들지 않습니다.
    원글님이 요요가 심하게 오신 이유가 댓글 속에 있네요.

    무염에 탄수화물절제해서 급속 감량 했었으나 그걸 평생 유지 할 수 없고
    조금이라도 식단이 이전처럼 돌아가면 별수 없이 요요가 오게 되고 혈당도 요동 치는 거죠.

    그래서 유지가 가능한 식단으로 천천히 빼면서 조절 해야 해요.
    아 이 정도면 내가 평생 이렇게 먹어도 되겠구나 싶어야 꾸준하게 오래 할수 있는 거죠.
    운동도 꼭 하루에 1시간 이상 하시고요.

  • 4. ㅇㄱ
    '24.4.28 12:05 AM (218.239.xxx.72)

    운동은 요가로 근력 주3회 매일 생활속에서 빠르게 걷기 7000~10000보 정도
    현미밥을 조금만 먹어도 혈당이 올라서 놀랐는데
    냉장고에 현미밥 넣어둔 후에 먹고.. 야채 많이 먹고
    좀 더 엄격히 해야 겠어요. 무리하지 말고 ㅠ

  • 5. 나름 관리
    '24.4.28 12:29 AM (58.123.xxx.123)

    잘하시는 것 같은데요.
    저는 3년차인데 많이 느슨하긴해요. 의사도 괜찮다괜찮다.너무.걱정이 많다고. 오히려 뭐라하고요
    저도.당화혈은 비슷한데. 운동하는것 말고는 아무거나.먹어요. 살도 못뺐고요.
    원글님글보니 저도 다시 노력해야겠네요 ㆍ

  • 6. ...
    '24.4.28 1:13 AM (114.204.xxx.203)

    근력운동도 하세요
    하체 근육 중요해서 스쿼트.계단오르기등 많이해요

  • 7. ..
    '24.4.28 10:56 AM (39.7.xxx.95)

    주식을 잡곡으로 하지마시고요
    소고기로 바꿔보세요
    밥은 굳이 안드셔도 되요

  • 8. 요가
    '24.4.28 2:50 PM (182.227.xxx.251)

    보다는 헬스 같은 근력운동 위주로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8277 모임에서 불편해진 지인. 그만둬야할까요.. 9 .. 2024/04/29 3,552
1578276 전자렌지로 수란 만들기(추가) 12 간단 2024/04/29 1,773
1578275 부산왔는데요 18 2024/04/29 2,966
1578274 눈물의 여왕은 내용은 둘째치고 영상이 너무 멋있었어요 ㅎㅎ 6 여왕 2024/04/29 3,013
1578273 글씨 교정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예쁜글씨 2024/04/29 635
1578272 의대 다 돌고 서울대 공대라고 20 미쳤나 2024/04/29 4,634
1578271 쉬운 동남아지만 해외 자유 여행인데 스케쥴 보는 거 짜증 났다는.. 13 여행계획 2024/04/29 1,974
1578270 광화문 식당에서 전광훈 봤어요 9 어제 2024/04/29 2,757
1578269 전여옥을 봐도 그렇고 대체로 보수 지지자들이 그쪽인가 보네요 18 정치적성향 2024/04/29 2,769
1578268 갱년기 여성호르몬 3 갱년기 2024/04/29 1,965
1578267 밤에 기침에 너무 심해지네요 10 ..... 2024/04/29 1,844
1578266 아들이 고등어구이 먹고난 후 하는 말이 ㅎㅎ 16 고등어 2024/04/29 5,670
1578265 묵묵하게 살고 싶어요 4 세렝게티 2024/04/29 1,885
1578264 자녀학폭 하차한 김승희 호**바 출신 15 2024/04/29 15,333
1578263 아침마당 진짜 끝판왕이네요 4 저녁 2024/04/29 6,640
1578262 아파트서 택배차에 2살 아이 숨져…운전자 "미처 못 봐.. 43 hippos.. 2024/04/29 6,965
1578261 손연재가 은퇴 뒤 정도를 걸으며 잘사는거같아요 40 ㅇㅇ 2024/04/29 12,597
1578260 박민수차관 중국인의사 들여오나요? 3 ㅇㅇ 2024/04/29 1,337
1578259 포케의 보리밥 1 ㅇㅇ 2024/04/29 1,254
1578258 윤 지지율 3주연속 떨어진 30.2%…재작년 8월 이후 최저 6 리얼미터 2024/04/29 1,389
1578257 어떤게 좋은가요 연근 2024/04/29 357
1578256 혹시 우드 샐러드볼 쓰시는 분~ 3 uㅈㄷ 2024/04/29 1,149
1578255 데친 무시래기, 삶은 시래기 2 요리초보 2024/04/29 870
1578254 유치원 교사한테 사랑 고백하는 애아빠 9 에휴 2024/04/29 7,165
1578253 애 하나 vs 애 둘 25 궁금 2024/04/29 2,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