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365일 책상 앞에 붙어 있는 남편

궁금 조회수 : 4,321
작성일 : 2024-04-23 02:02:57

도대체 뭘 하는 걸까요?

저랑 같은 분야에서 일하는데 남편은 10년 전쯤 명퇴 당하고 지금은 계약직으로 제가 따다 주는 일 조금씩만 하고 있거든요. 무슨 일인지 아니까 그거 하느라고 주구장창 책상에만 앉아있을 필요 없다는 거 제가 누구보다 잘 아는데 말이죠. 자는 시간 아니면 언제나 컴앞에 앉아 있어요. 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고 서재를 가족 다 같이 써서 야동을 본다거나 무슨 은밀한 활동을 할 수도 없어요. 

저는 정규직으로 하루 종일 일하고 집에 오면 책상은 근처에도 가기 싫어요. 저녁 차려 먹고 치우고 나면 아이랑 거실에서 얘기하고 주말엔 영화도 보고 하는데 남편은 밥 먹으라고 부르면 겨우 나와서 먹고 또 누가 기다리는 마냥 책상으로 복귀하네요. 도대체 뭘하길래? 다른 남편들도 그러나요?

IP : 74.75.xxx.126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4.23 2:11 AM (73.148.xxx.169)

    책상이 가장 안정되고 행복한 장소인가 보죠.
    밥먹고 앉아있는 것이 누워있는 모습보다 낫다고 위안드려요.

  • 2. ㄴㄴ
    '24.4.23 2:52 AM (119.149.xxx.229)

    원글님 남편은 퇴직전에도 늘 책상앞에 있았나요?

    울 집 남편도 늘 뭔 공부를 하는지..
    항상 책봐요
    새벽6시에 나가서 스벅서 책보고 아침 먹고 회사 출근하고
    퇴근 후에도 책보고..
    휴일에도 아침 댓바람부터 도서관이나 카페가서 책 봐요
    그리고 명절이나 휴가때도 책 봐요
    친정가서도 가족단체여행가서도..
    진짜 왜 그러는지 모르겠어요

  • 3. ㅇㅇ
    '24.4.23 3:32 AM (174.231.xxx.209)

    저는 제가 책상 좋아해요
    윗 댓글처럼 계속 책 보는 사람은 저희 아이가 그렇고요
    ㅎㅎㅎ

  • 4. ...
    '24.4.23 6:37 AM (58.78.xxx.77)

    맨날 책보는거 예전에 제가 그랬는데
    일종의 도피처같은거였어요
    현실에서 도망치고 싶은데 그럴수는 없고 어딘가 다른곳으로 정신이라도 매어두는게 저는 책이었어요
    제일 쉬운 방법이거든요
    지금은 이전 현실에서 벗어나서 이제 책 안봐요
    봐도 탭으로 가벼운 책만 가끔 봐요

  • 5. 제 시아버지가
    '24.4.23 6:53 AM (121.133.xxx.137)

    셤니 잔소리 피해서 맨날 책상앞에
    앉아계시더니 다리근육 쇠퇴로 일찌감치부터
    못 걸으심요
    싸돌아다니는게 노년 건강을 위해
    훨 나은듯

  • 6. ////
    '24.4.23 7:21 AM (180.224.xxx.208)

    주식 하시는 거 아닌가요?
    아니면... (설마 아니겠지만) 인터넷 불법 스포츠 도박 같은 거...
    스포츠 토토인가 그런 거 하는 아재들
    경기 결과랑 상황 확인하느라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있더라고요.

  • 7. ㄱㄷ
    '24.4.23 7:44 AM (218.238.xxx.80)

    저도 도피처가 책이였어요.
    사는게 넘 힘들어서 1년에 4백권 책본듯.

    가족과 함께 있는게 힘들었어요.

  • 8. 에혀
    '24.4.23 8:18 AM (175.120.xxx.173)

    냅두세요. 잘못된 행동도 아닌데...
    글마다 님은 왜그렇게 남편을 내려보나요.

    불만이 있으면 포커스를 그 불만에 두세요.
    도대체 남편에 대한 불만이 뭔지 내속을 좀 들여다보시길.

  • 9. 아마
    '24.4.23 8:19 AM (74.75.xxx.126)

    주식이나 도박은 불가능할 거예요. 투자할 돈이 없는 거 아니까요.
    책이나 논문 많이 읽는 것 같고 최신 영화도 물어보면 다 봤다고 하더라고요. 그런 영화 구하면 아이랑 저랑 다같이 보자고 할 수도 있잖아요. 명퇴 당한 이후에 제대로 된 직장에 재취업 못한 게 자존심에 스크레치가 심했던 건지요. 언제나 너무나 바쁜 척 하고 중요한 일이 있는 것처럼 컴앞에 앉아 있는 게 짠하기도 하고 때론 짜증나기도 하고요. 내가 모르는 뭔가 있는가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 10. 365일
    '24.4.23 8:23 AM (114.206.xxx.130) - 삭제된댓글

    주부인 저도 책상 앞에 붙어 있어요.
    집안일 할 때 움직일 때 제외 늘 책상 앞입니다.
    티비 전혀 안봐요.
    제가 책상 앞에 늘 앉아 있으니 남편도 자기 책상 앞이 자기 자리인 줄 알고
    우리는 늘 그렇게 해왔는데 그게 많이 이상한가요?
    식사는 모여서 하고 대화도 많은 집이에요.

  • 11. 에휴
    '24.4.23 8:42 AM (221.168.xxx.73)

    낮이고 밤이고 소파에 뿌리 내리고 자빠져있는 내 남편보다는 백만배 존경스럽...

  • 12. 혼자
    '24.4.23 8:49 AM (123.212.xxx.149)

    책읽고 컴퓨터 있고 폰있으면 책상에서 할 것 많죠.
    혼자있고 싶나봐요

  • 13. 이해가 안되는게
    '24.4.23 8:56 AM (180.227.xxx.173) - 삭제된댓글

    남편은 집에서 알바 조금 하면서 저녁도 안차리고 설거지도 안하나요??
    부르면 와서 밥먹고 밥 먹으면 책상으로 돌아가다뇨?
    제가 초딩때 하던 짓이네요.
    원글님은 직장도 다니고 밥도 차리고요?

  • 14. 아마
    '24.4.23 9:03 AM (74.75.xxx.126)

    남편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저녁 차려요. 설거지는 절대로 안 하고요. 제가 식세기에 모았다가 돌리고 남은 건 도우미 이모님이 해 주세요. 이제는 가사분담 문제로 싸우기도 지쳤고 그런 거 따지고 들 마음은 없는데요. 그 많은 시간을 컴앞에서 뭐하는지 가끔 참 궁금하더라고요. 예전엔 구직활동이 바쁘다고 했었는데 이젠 구직 가능한 나이 지난 거 서로 잘 알아서 그 말도 안 해요.

  • 15. 그냥
    '24.4.23 9:18 AM (221.168.xxx.73)

    남편 본인 이미지 관리하는건 아닐까요?

  • 16. 그럼 대놓고
    '24.4.23 9:42 AM (180.227.xxx.173) - 삭제된댓글

    남편한테 물어보세요. 뭐하냐고.. 오늘 뭐했냐고
    비꼬듯이 물어보지 마시고 진심 너의 일상이 궁금하다는 톤으로요.
    그래도 처음에는 남편이 방어적으로 나올수도 있는데요.
    그때도 진심 너의 일상과 안위가 알고싶다는 다정한 이유를 붙이셔야되요. 같이 싸우지 마시구요.
    그래서 뭐했다 한마디라도 나오면 그것에 관해 자세히 물어봐주시고요.
    서로의 관심사를 아는게 관계회복의 중요한 포인트죠.

  • 17. 제가
    '24.4.23 6:00 PM (74.75.xxx.126)

    뭐하냐고 물어보면 항상 별거 안 한다고 얼버무려요. 그러면서도 나와서 뭣 좀 도와 달라고, 예를 들어서 무거운 걸 옮긴 다거나 아이 라이드 나 대신 나가 달라거나 그러면 바로 나오는 법은 없고, 어, 이것만 마저 보고 하고 민적민적 책상을 안 떠나요. 일 관계 아니라도 평소 사람들한테 이메일을 많이 보내는 것 같아요. 누구랑 만나고 오면 그 사람과 했던 얘기 중에 연결되는 웹싸이트나 비디오 같은 거 링크 보내주고요. 전 못 봤는데 아이 말로는 아빠가 코딩도 한다더라고요. 저는 싸우자거나 비하하려는 게 아니라 남편이 저는 알 수 없는 자기만의 세계를 컴퓨터 인터넷을 통해서 책상머리에 구축한 것 같은데 같이 할 수 있는 취미가 아니라 좀 섭섭할 때는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0661 내가 알바 가는 날 우리 강아지는 .. 17 2024/07/21 3,362
1600660 화장실문 갇힘 사고때 문부수고 나왔다는 썰 들 보이잖아요. 8 ... 2024/07/21 4,353
1600659 역시 조선이 무서운건가... 12 ... 2024/07/21 3,389
1600658 유통기한 지난 영양제 먹어도 될까요? 1 영양제 2024/07/21 1,161
1600657 대학병원 교수들 퇴직후 개원시 1 2024/07/21 1,964
1600656 트위터(엑스) 보다가 본 발을씻자.. 5 .. 2024/07/21 2,186
1600655 한글 한문장 이해좀 시켜주세요. 5 qfkxhq.. 2024/07/21 1,072
1600654 생각해보니 새치가 안 나네요 7 저도 2024/07/21 3,076
1600653 故 이선균 유작 ‘탈출’서 장발남 연기한 주지훈 “선균이형 안타.. 5 지금보러갑니.. 2024/07/21 4,589
1600652 기른 과일 야채 먹지 않겠다. 하면 불같이 화내는 남편. 37 2024/07/21 16,941
1600651 혼자 사는 분 화장실에 갇히는 거 조심해야겠어요 27 ㅇㅇ 2024/07/21 7,168
1600650 매직이랑 염색 같은 날 하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5 염색 2024/07/21 1,454
1600649 신라스테이 광화문 부페 어때요? 12 ... 2024/07/21 3,674
1600648 경남 고성 맛집 8 여행 2024/07/21 1,439
1600647 테싯, 불가리 뿌르옴므 익스트림 -- 향 비슷한가요? ㅇㅇㅇ 2024/07/21 787
1600646 이진숙 법카로 특급호텔 5천만원, 고급식당 75백만원 24 인간이아니무.. 2024/07/21 4,482
1600645 남자 운동화 255mm면 샌들 250mm 260 중 어느 거 사.. 4 .. 2024/07/21 989
1600644 체코 헝가리 오스트리아 여행 도움구해요 13 30년만 2024/07/21 2,536
1600643 오늘 수박 사면 맛 없을까요? 3 수박 2024/07/21 2,294
1600642 3개월만 계약직으로 월급 200 ㅇㅇ 2024/07/21 3,714
1600641 한국엔 모기물린곳 휴대용치료기 없나요 43 모기 2024/07/21 4,092
1600640 빠리 올림픽 나라별 단복 40 재미로 2024/07/21 6,251
1600639 자녀 결혼시 얼마나 보태주시나요? 23 ^^ 2024/07/21 7,227
1600638 유럽의 모습 5 popooo.. 2024/07/21 3,756
1600637 친정 엄마랑 호주여행 조언부탁드려요. 5 호주 여행 2024/07/21 2,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