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저 사고력 수학 하는게 나을까요

교육 조회수 : 1,314
작성일 : 2024-02-18 12:15:41

초2 올라가는 아이인데 맞벌이라 집에서는 연산만 해주고 있어서.

동네 수학 공부방 주3회 보내고 있고, 주5회로 늘리고 싶어서.. 알아보다가,

그냥 교과는 주3회 다니는 곳 보내고, 주1회 두시간 사고력 수학으로 넣어볼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사고력은 초저때 시작해야지 된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요.

아이는 일년 교과 선행은 하고 있지만, 수학 머리 있는 아이는 아니여서 사고력 수학은 생각도 안했는데, 테스트 한번 받아 볼까 싶은 마음이 있어요.

6세인가 7세 때 사고력 수학 무료 수업 받은적 있는데, 잘 따라 온다고 얘기는 들었는데 등록은 안했고요.

사고력을 다닐지, 아님 교과 수업시간을 늘려야 할지..

혹시..조언 부탁 드립니다.

(사고력 수학 교재는 사다 놓고 집에서 해줄  시간이 안나네요..-_-;)

참, 동네에 ㅅ ㅗ ㅁ ㅏ와 와이ㅈ ㅡ만 있는데,, 두 학원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IP : 14.5.xxx.10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2.18 12:24 PM (110.15.xxx.207)

    전 사고력 수학은 결국 심화문제라 생각해서
    학년별로 교과 개념부터 심화까지 여러문제집 차곡차곡 쌓아가는게 낫다고 생각해요.

  • 2. 원글..
    '24.2.18 12:26 PM (14.5.xxx.100)

    음님.. 아..그럴까요.. 제가 수학은 잘 몰라서.. 사고력이 정확히 어떤 문제들인 건지 책도 안 펴본 상태라.. 네,, 교과 심화까지 잘 다지는게 낫다는 글을 예전에 본적이 있었어서.. 사고력은 생각도 안했었는데..
    덧글 감사합니다.

  • 3. ....
    '24.2.18 12:37 PM (61.75.xxx.185)

    학원 안 다녀도 사고력 키울 수 있어요
    공부를 할 때 꼼꼼히 깊이있게 하는 습관
    들여야 하고 공부하면서 항상 의문을 가져야죠.
    주입식으로 배워야할 걸 익혀야 한다는
    수동적인 공부방법과 사고방식이 아니라
    항상 의문을 가지고 공격적으로 공부하는 거에요
    사각형의 넓이를 배우잖아요
    가로 곱하기 세로잖아요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를 알고
    구구단을 알면 다 풀 수 있습니다.
    사각형의 넓이, 원의 넓이 공식 외우는 게
    공부가 아니고 왜 가로와 세로를 곱하면 넓이인지.
    왜 반지름×반지름×3.14가 원의 넓이인지
    이유까지 잘 이해하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사고력도 같이 키워질 거라 생각해요.
    아인슈타인이 사고력학원 다닌 거 아니잖아요 ^^

  • 4. ca
    '24.2.18 1:10 PM (39.115.xxx.58) - 삭제된댓글

    초저인데 수학학원 주 5회면 아이가 힘들어할 거 같다는 생각부터 드는데요. 아이가 잘 받아들이나요?
    저희 아이는 2학년부터 ㅅㅁ 다녔었고, 3시간씩 주 2회 수업이었어요. 일주일에 한번은 사고력, 한번은 디딤돌 응용이나 최상위로 교과 선행을 나갔어요. 그리고 숙제가 꽤 많았구요.
    수학을 받아들이는건 문제가 아니었는데 긴 풀이과정을 일일이 다 쓰고 숙제하는걸 넘나 귀찮아해서 다니면서 갈등이 많았네요. 피아노, 방과후수업, 축구 등 병행하면서 사고력 2회 다니는 것도 스케줄이 넘 빡빡한 거 같았어요. 영어도 뺐는데도 힘들더라구요.

    참, ㅅㅁ기준 P반이나 챌린지반 아니면 교과 안하고 사고력만 주 1회 다니는거 가능할거에요.

    시중 사고력 학원의 교재들은 1031이라는 원조격 사고력 문제집 시리즈를 비슷비슷하게 편집한 걸로 알아요.

    시중에서 초등용 사고력 수학이라고 일컫는 것은 1031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요. 궁금하시면 1031pre부터 한번 찾아보세요.

  • 5. ca
    '24.2.18 1:23 PM (39.115.xxx.58)

    초저인데 수학학원 포함 주 4-5 시간이면 아이가 힘들어할 거 같다는 생각부터 드는데요. 아이가 잘 받아들이나요?
    저희 아이는 2학년부터 ㅅㅁ 다녔었고, 3시간씩 주 2회 수업이었어요. 일주일에 한번은 사고력, 한번은 디딤돌 응용이나 최상위로 교과 선행을 나갔어요. 그리고 숙제가 꽤 많았구요.
    수학을 받아들이는건 문제가 아니었는데 긴 풀이과정을 일일이 다 쓰고 숙제하는걸 넘나 귀찮아해서 다니면서 갈등이 많았네요. 피아노, 방과후수업, 축구 등 병행하면서 사고력 2회 다니는 것도 스케줄이 넘 빡빡한 거 같았어요. 영어도 뺐는데도 힘들더라구요.

    참, ㅅㅁ기준 P반이나 챌린지반 아니면 교과 안하고 사고력만 주 1회 다니는거 가능할거에요.

    시중 사고력 학원의 교재들은 1031이라는 원조격 사고력 문제집 시리즈를 비슷비슷하게 편집한 걸로 알아요.

    시중에서 초등용 사고력 수학이라고 일컫는 것은 1031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요. 궁금하시면 1031pre부터 한번 찾아보세요.

  • 6. . ..
    '24.2.18 6:58 PM (121.135.xxx.82)

    사고력 경제적으로 부담되면 보내볼만해요. 1031 위에 얘기했는데 그책 사서 한번보면 이건집에서 못해주겠다 샆우살거에요. 애들이랑 다같이 생소한 문제접하면서 즐겁게 다니는 경우 많아요. P반이런거 신경안쓰면...아이가 싫어하거나 안다니겠다고 하면 굳이 안해도 되구요. 그나이에 한번 해볼만한 학원이에요. 와이즈만보다는 소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5108 90년대 대학생때 파일은 왜 들고다녔나.. 23 ..... 2024/02/18 4,026
1555107 국힘 43% vs 민주 37%'…與로 향하는 서울 민심 [한경 .. 40 ... . 2024/02/18 3,878
1555106 코뼈골절로 전신마취 수술시..소변줄도 하나요? 18 QQQ 2024/02/18 2,916
1555105 카이스트 졸업생 엄마가 본 당시 현장... "미쳤구나&.. 9 qsdf 2024/02/18 4,979
1555104 저희 엄마를 위해 기도 좀 부탁드릴게요. 30 바램 2024/02/18 3,798
1555103 동생이 형아 먹을꺼 갖다줘요 15 난감 2024/02/18 4,889
1555102 키작은20대남자 양복추천해주세요 6 작은키 2024/02/18 1,244
1555101 결혼생활이 너무 지옥이에요ㅠ 17 2024/02/18 19,075
1555100 친정 아버지가 청소를 안해요 7 .... 2024/02/18 3,768
1555099 애들 성격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ㅇㅇ 2024/02/18 2,718
1555098 나솔17기 현숙 상철 결혼하네요 31 2024/02/18 19,324
1555097 어쩌다보니 마흔 넘어버렸어요 6 2024/02/18 3,096
1555096 사촌 동생의 늦은 결혼생활 21 쿠찌 2024/02/18 7,470
1555095 스텐ㄴ검비 추천요~~ 희망으로 2024/02/18 376
1555094 조국 장관 라이브 중이여요!! 9 ... 2024/02/18 1,683
1555093 영어어플 어떤게 좋나요 3 .... 2024/02/18 1,440
1555092 의대 정원 늘린다고 난린데 15 미친정부 2024/02/18 1,742
1555091 어떤쌀 사드시나요? 30 000 2024/02/18 3,241
1555090 10년만에 미용실가는데 펌 열펌 매직 차이점 설명 4 알려주십쇼 2024/02/18 1,884
1555089 재직중에 다른회사 신입으로 합격하면 3 .. 2024/02/18 1,347
1555088 빗소리 좋네요~~ 5 .. 2024/02/18 1,406
1555087 아파트 온라인 커뮤니티 2 ㅇㅇ 2024/02/18 1,484
1555086 스포) 살인자 ㅇ난감 질문이요 4 살인 2024/02/18 3,048
1555085 대통령에게 항의하다 쫓겨난 카이스트 졸업생 기자회견 8 멋지다요 2024/02/18 3,352
1555084 함마스텐이 양은냄비랑 비슷한가요? 6 냄비 2024/02/18 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