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저 사고력 수학 하는게 나을까요

교육 조회수 : 1,293
작성일 : 2024-02-18 12:15:41

초2 올라가는 아이인데 맞벌이라 집에서는 연산만 해주고 있어서.

동네 수학 공부방 주3회 보내고 있고, 주5회로 늘리고 싶어서.. 알아보다가,

그냥 교과는 주3회 다니는 곳 보내고, 주1회 두시간 사고력 수학으로 넣어볼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사고력은 초저때 시작해야지 된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요.

아이는 일년 교과 선행은 하고 있지만, 수학 머리 있는 아이는 아니여서 사고력 수학은 생각도 안했는데, 테스트 한번 받아 볼까 싶은 마음이 있어요.

6세인가 7세 때 사고력 수학 무료 수업 받은적 있는데, 잘 따라 온다고 얘기는 들었는데 등록은 안했고요.

사고력을 다닐지, 아님 교과 수업시간을 늘려야 할지..

혹시..조언 부탁 드립니다.

(사고력 수학 교재는 사다 놓고 집에서 해줄  시간이 안나네요..-_-;)

참, 동네에 ㅅ ㅗ ㅁ ㅏ와 와이ㅈ ㅡ만 있는데,, 두 학원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IP : 14.5.xxx.10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2.18 12:24 PM (110.15.xxx.207)

    전 사고력 수학은 결국 심화문제라 생각해서
    학년별로 교과 개념부터 심화까지 여러문제집 차곡차곡 쌓아가는게 낫다고 생각해요.

  • 2. 원글..
    '24.2.18 12:26 PM (14.5.xxx.100)

    음님.. 아..그럴까요.. 제가 수학은 잘 몰라서.. 사고력이 정확히 어떤 문제들인 건지 책도 안 펴본 상태라.. 네,, 교과 심화까지 잘 다지는게 낫다는 글을 예전에 본적이 있었어서.. 사고력은 생각도 안했었는데..
    덧글 감사합니다.

  • 3. ....
    '24.2.18 12:37 PM (61.75.xxx.185)

    학원 안 다녀도 사고력 키울 수 있어요
    공부를 할 때 꼼꼼히 깊이있게 하는 습관
    들여야 하고 공부하면서 항상 의문을 가져야죠.
    주입식으로 배워야할 걸 익혀야 한다는
    수동적인 공부방법과 사고방식이 아니라
    항상 의문을 가지고 공격적으로 공부하는 거에요
    사각형의 넓이를 배우잖아요
    가로 곱하기 세로잖아요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를 알고
    구구단을 알면 다 풀 수 있습니다.
    사각형의 넓이, 원의 넓이 공식 외우는 게
    공부가 아니고 왜 가로와 세로를 곱하면 넓이인지.
    왜 반지름×반지름×3.14가 원의 넓이인지
    이유까지 잘 이해하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사고력도 같이 키워질 거라 생각해요.
    아인슈타인이 사고력학원 다닌 거 아니잖아요 ^^

  • 4. ca
    '24.2.18 1:10 PM (39.115.xxx.58) - 삭제된댓글

    초저인데 수학학원 주 5회면 아이가 힘들어할 거 같다는 생각부터 드는데요. 아이가 잘 받아들이나요?
    저희 아이는 2학년부터 ㅅㅁ 다녔었고, 3시간씩 주 2회 수업이었어요. 일주일에 한번은 사고력, 한번은 디딤돌 응용이나 최상위로 교과 선행을 나갔어요. 그리고 숙제가 꽤 많았구요.
    수학을 받아들이는건 문제가 아니었는데 긴 풀이과정을 일일이 다 쓰고 숙제하는걸 넘나 귀찮아해서 다니면서 갈등이 많았네요. 피아노, 방과후수업, 축구 등 병행하면서 사고력 2회 다니는 것도 스케줄이 넘 빡빡한 거 같았어요. 영어도 뺐는데도 힘들더라구요.

    참, ㅅㅁ기준 P반이나 챌린지반 아니면 교과 안하고 사고력만 주 1회 다니는거 가능할거에요.

    시중 사고력 학원의 교재들은 1031이라는 원조격 사고력 문제집 시리즈를 비슷비슷하게 편집한 걸로 알아요.

    시중에서 초등용 사고력 수학이라고 일컫는 것은 1031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요. 궁금하시면 1031pre부터 한번 찾아보세요.

  • 5. ca
    '24.2.18 1:23 PM (39.115.xxx.58)

    초저인데 수학학원 포함 주 4-5 시간이면 아이가 힘들어할 거 같다는 생각부터 드는데요. 아이가 잘 받아들이나요?
    저희 아이는 2학년부터 ㅅㅁ 다녔었고, 3시간씩 주 2회 수업이었어요. 일주일에 한번은 사고력, 한번은 디딤돌 응용이나 최상위로 교과 선행을 나갔어요. 그리고 숙제가 꽤 많았구요.
    수학을 받아들이는건 문제가 아니었는데 긴 풀이과정을 일일이 다 쓰고 숙제하는걸 넘나 귀찮아해서 다니면서 갈등이 많았네요. 피아노, 방과후수업, 축구 등 병행하면서 사고력 2회 다니는 것도 스케줄이 넘 빡빡한 거 같았어요. 영어도 뺐는데도 힘들더라구요.

    참, ㅅㅁ기준 P반이나 챌린지반 아니면 교과 안하고 사고력만 주 1회 다니는거 가능할거에요.

    시중 사고력 학원의 교재들은 1031이라는 원조격 사고력 문제집 시리즈를 비슷비슷하게 편집한 걸로 알아요.

    시중에서 초등용 사고력 수학이라고 일컫는 것은 1031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요. 궁금하시면 1031pre부터 한번 찾아보세요.

  • 6. . ..
    '24.2.18 6:58 PM (121.135.xxx.82)

    사고력 경제적으로 부담되면 보내볼만해요. 1031 위에 얘기했는데 그책 사서 한번보면 이건집에서 못해주겠다 샆우살거에요. 애들이랑 다같이 생소한 문제접하면서 즐겁게 다니는 경우 많아요. P반이런거 신경안쓰면...아이가 싫어하거나 안다니겠다고 하면 굳이 안해도 되구요. 그나이에 한번 해볼만한 학원이에요. 와이즈만보다는 소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5879 포트메리온 생각보다 사용 만족도가 높네요~ 27 .... 2024/02/19 3,961
1555878 나라 망하면 집값 떨어지지 않나요? 14 oo 2024/02/19 2,088
1555877 동양인 인종차별은 어느 정도인가요? 11 동양인 2024/02/19 2,226
1555876 이런 쌀은 처음... 13 특등급아님 2024/02/19 3,039
1555875 25평 벽길이가 3200인데 소파 4인용 3000은 너무 답답할.. 3 ... 2024/02/19 1,124
1555874 디트리쉬 인덕션 쓰시는 분들 만족하세요? 8 2024/02/19 1,659
1555873 이재명..의대증원 점진적.. 26 2024/02/19 2,120
1555872 웃긴 이야기(주제 : 오해) 12 옛날꺼 2024/02/19 1,694
1555871 일본처럼 치대약대도 대폭확대해서 미달될때까지 뽑으면 5 2024/02/19 1,087
1555870 푸바오 3월3일까지만 볼수 있데요 16 아쉽 2024/02/19 2,085
1555869 당근나눔 7 당근 2024/02/19 1,030
1555868 단어가 빨리 안나와서 문장을 버벅대요 9 50대 초반.. 2024/02/19 1,317
1555867 자꾸 되새김질 생각이 나면 어떻게 하세요? 3 ddd 2024/02/19 863
1555866 52세 빨간구두는 안어울릴까요? 28 구두 2024/02/19 1,930
1555865 유투브에서 세로방송 3 이상해 2024/02/19 732
1555864 화장실 타일 경사가 없는지 물이 안내려가고 그대로, 인테리어업체.. 9 인테리어한지.. 2024/02/19 1,598
1555863 리솜리조트 와있는데 호반 며느리 진짜 부럽네요 2 2024/02/19 4,584
1555862 강아지만 나를 위로해주네요. 8 ㅇㅇ 2024/02/19 1,566
1555861 자라 와이드 팬츠 색깔 촌스러울까요? 17 ........ 2024/02/19 2,053
1555860 민주당 조국신당 밀어주고 싶은데 어떻게 투표하면 되나요? 23 ㅇㅇㅇ 2024/02/19 1,402
1555859 14년전 손흥민 밥상 - 짠해요…ㅠㅠ 9 ㅠㅠ 2024/02/19 5,964
1555858 공인중개업에 대해 잘 아시는 분 2 이게 뭔지?.. 2024/02/19 936
1555857 시모 말투 좀 봐주세요.. 6 ㅇㅇ 2024/02/19 2,409
1555856 오상진 부인은 인스타에서 하루종일 물건 파네요 61 Rrrr 2024/02/19 36,278
1555855 의사나 테러리스트나 똑같은것 같은데요? 14 뭐가 다르죠.. 2024/02/19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