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아이와 밤새고 진로 고민(AI관련 학과는 막차일까요?)

... 조회수 : 2,121
작성일 : 2024-02-11 11:43:16

예비고1 남자 아이입니다. 

문.이과 성향 반반인 아이이고 수학은 좋아하지만 물리,화학 싫어합니다. 

전,화.기나 바이오쪽은 본인은 도저히 공부 못할것 같다면서 중학교때부터 인공지능,AI,정보보안,데이터 사이언스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더군요.

 

그런데, 어제 저에게 '엄마..시간 되면 나랑 얘기좀 해요' 하더니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진짜 '탑 티어' 가 아니라면 그쪽에서는 살아남기 힘들것인데 자기는 그 정도까지는 자신이 없다. 

 

그렇다면 결국 30년 후에 살아남을수 있는 과를 선택해야 하는게 아닐까? 하면서 

그게 어떤건지는 아무도 모르니 전.화.기 같은 계속 살아남을수 있는 기초 학문을해야할거 같은데

그건 자기가 못할것 같으니 

차라리 경영,경제학쪽으로 진로를 틀어

문과쪽을 가는게 나을것 같다 하더라구요. 

 

서울대가(울 아들은 서울대 갈 실력은 당연 안됩니다 ㅎㅎ) 그런 과가 없는건 다 이유가 있을 것이라면서. 

 

아들과 거의 밤새고 이야기를 했는데, 결론없는 문제지요

남편은 '쓸데 없는 생각말고 공부나 해라 ㅠㅠ' 는 말....(이게 정답은 맞는데 ㅎㅎ)

 

선택은 아이가 하는게 맞겠지만, 앞으로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요? 

그리고 어른인 제가 조언을 해줄수 있는건 어떤게 있을까요? 

 

IP : 175.116.xxx.96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2.11 11:49 AM (1.232.xxx.61)

    30년 후를 내다 볼 안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게 에러네요.
    어차피 계속 생각은 바뀝니다.
    그냥 공부나 하는 게 정답 ㅋㅋㅋ

  • 2. ㅁㅁ
    '24.2.11 11:49 AM (121.183.xxx.63)

    그냥 국영수 열심히하고 내신 생기부관리 잘하는게 다죠
    학교학과는 성적봐서 쓰는거구요

  • 3. 바람소리2
    '24.2.11 11:51 AM (114.204.xxx.203)

    경영 좋죠

  • 4. 고3맘
    '24.2.11 12:02 PM (210.100.xxx.239)

    지금 디테일한 진로를 정할 필요도 없고
    정해나봐야 학교에서는 관심도 없고요
    학교보다 성적이..
    어떤 쪽으로 잘나올지는 최소 한학기는 지나봐야합니다
    계열정도만 정해놓는 건 찬성인데
    것도 이과인지 문과인지 모르겠으면
    지켜봐야해요
    반반이래도 수학 죽을 쓰면 경영 경제도 아닐 수도 있고
    생각보다 과학이 재밌으면 물화해보고 공대쪽으로 바뀔 수도 있고 성적보고 결정해야합니다

  • 5. ……
    '24.2.11 12:15 PM (210.223.xxx.229)

    수학좋아하고 과학별로면
    통계학과나 데이터사이언스 경제 추천합니디

  • 6. ...
    '24.2.11 12:18 PM (175.116.xxx.96)

    닥치고 (!) 내신하고 국.영.수만 하라는 남편 말이 정답이긴한데
    아이는, 목표가 있어야 공부도 잘된다고ㅜㅜ

    하기사 3년후의 세상도 못 내다보는데 30년후의 세상을 누가 알까요
    아이와 어제 이런저런 얘기하면서 끝까지 살아남을 직업이나 학문이 뭐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종교랑 철학?? 정도 생각이 나더군요.
    그렇다고 내가 스님이나 신부님이 될수는 없지 않냐고 하는데 ㅎㅎ

  • 7. 아이가
    '24.2.11 12:31 PM (211.215.xxx.160)

    정말 똑똑하네요. 아무 생각없는 울 아들보다는 백배 낫네요. 학종은 과를 정하고 가면 좋은데 일단 성적이 좋으면 교과로 어느과든 어느 대학이든 갈 수 있어요. 지금 정하지 말고 공부 열심히 하라고 하세요. 문과는 취직이 힘들죠

  • 8. ...
    '24.2.11 12:37 PM (59.14.xxx.42)

    문과면 스카이급 이과면 이공겨열이면 오케이.
    무조건 성적업업요~~

  • 9. ...
    '24.2.11 12:38 PM (59.14.xxx.42)

    문송은 더 심해질듯...ㅠㅠ
    정 기술 배우면 모를까? 미용 등

  • 10. 이십년전에
    '24.2.11 12:39 PM (211.234.xxx.238)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ㅡㅡㅡㅡㅡ
    이십년 전에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기술의 진보는 빠를지언정 그걸 사회가 똑같이 따라가지는 않아요.

  • 11.
    '24.2.11 1:03 PM (122.153.xxx.34)

    저희 예비고1 아들녀석도 요새 고민이 많나 봐요.
    사회의 변화 속도는 따라가기 힘들 정도인데,
    학교의 공부라는 것은 또 아직도 예전과 큰 변화가 없으니.

    아이들이 학종준비 때문에 전공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해야한다는
    조급함이 있는것 같아요.
    부모 생각에는 그 시간에 수학을 하나더 풀어라 싶은데요.
    저희는 고1 중간고사 성적 받아보고
    그 이후를 도모하자고 했어요.

    미리 이런저런 얘기해봐야 성적이 나쁘면 아무짝에도 소요없는거라고..ㅎㅎ

    원글님 아드님도 현명한 결정하길 바랍니다.

  • 12. ...
    '24.2.11 1:04 PM (121.124.xxx.172)

    코딩이나 컴프로그램밍이 컴학원만 다할수 있는 정도는 누구나 접근할수있는 저급한 수준이고 이쪽 분야가 적성을 많이 타더라구요

  • 13.
    '24.2.11 1:42 PM (121.183.xxx.173)

    아이가 약간 완벽주의 성향이 있네요.
    남편말이 정답인거 아시니 그대로 따르시길

  • 14. 요새
    '24.2.11 2:32 PM (211.205.xxx.145)

    전공적합성 넓게 봐요.
    그냥 세부과 안정하고 수학 과학 심화해도 다 들어가요.
    공부 먼저 하세요

  • 15.
    '24.2.11 2:50 PM (114.201.xxx.215) - 삭제된댓글

    경기도교육청에서 3개월전에 10년뒤 유망직업 발표한게 있는데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2-YeHsLqeQk

  • 16. 어차피
    '24.2.11 5:07 PM (211.250.xxx.112)

    조직에 잘 들어가는수밖에 없어요. 엔비디아가 AI를 미리 준비해서 뜬게 아닌것처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3254 내 남편과 결혼해줘에서 보아 (스포) 10 오글오글 2024/02/13 5,685
1553253 지하철이나 집중하기 어려운 곳에서 어떤 책 읽으세요? 3 독서 2024/02/13 1,075
1553252 사교적성격아니면 골프 힘든가요? 2 ㅇㅇ 2024/02/13 1,922
1553251 해외직구 배송대행지 관련 도와주세요 2024/02/12 508
1553250 화제의 바이든 대통령 트윗 2 ㅇㅇ 2024/02/12 3,160
1553249 책 제목 아시는 분... ... 2024/02/12 1,029
1553248 친구 자녀 결혼식 축의금 7 ㄱㄱ 2024/02/12 5,072
1553247 남편 바람vs 돈사고 12 ㅇㅇ 2024/02/12 5,804
1553246 시댁에서 반찬 주시면 맛있기만 한데 25 반찬 2024/02/12 13,044
1553245 백두야~니땜에 설날민속장사경기를 다봤다 6 모래에도꽃이.. 2024/02/12 1,708
1553244 eye love you 잼있나요? 8 ㅇㅇㅇ 2024/02/12 1,791
1553243 곰국이랑 돈까스 보고 든생각 11 곰국과돈까스.. 2024/02/12 4,567
1553242 90세에 이 정도면 대단하지 않나요? 31 .. 2024/02/12 12,176
1553241 드래그하면 복사 웹검색등 5 알려주세요 2024/02/12 601
1553240 저는 최대한 명정에 애들 데리고 다닐까봐요. 7 2024/02/12 3,075
1553239 연휴에 엄마집 정리 6 ㅇㅇ 2024/02/12 4,844
1553238 집에서 한 만두는 쪄서 구워야 하나요? 8 만두 2024/02/12 2,184
1553237 진짜 응급의학과 교수부터 사직 하고 있나요? 32 국민 2024/02/12 6,895
1553236 카톡으로 돈을 받았는데 어떻게 찾나요? 1 핸드폰 무지.. 2024/02/12 3,222
1553235 한반도 전쟁 위기... 넘 무서워요 57 공포ㅠ 2024/02/12 17,242
1553234 작년 유럽 패키지 여행이 참 좋았어요. 7 ㅇㅇ 2024/02/12 4,418
1553233 만38세인데 임신 가능할까요 17 걱정만태산 2024/02/12 6,051
1553232 불닭볶음면에 파김치먹으니 잃었던 입맛이 돌아오네요 2 2024/02/12 1,640
1553231 83세 아버님 입원 문제 7 2024/02/12 3,280
1553230 늙은호박 삶은 물? 어떻게 먹어야하나요? 3 .. 2024/02/12 1,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