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아이와 밤새고 진로 고민(AI관련 학과는 막차일까요?)

... 조회수 : 2,121
작성일 : 2024-02-11 11:43:16

예비고1 남자 아이입니다. 

문.이과 성향 반반인 아이이고 수학은 좋아하지만 물리,화학 싫어합니다. 

전,화.기나 바이오쪽은 본인은 도저히 공부 못할것 같다면서 중학교때부터 인공지능,AI,정보보안,데이터 사이언스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더군요.

 

그런데, 어제 저에게 '엄마..시간 되면 나랑 얘기좀 해요' 하더니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진짜 '탑 티어' 가 아니라면 그쪽에서는 살아남기 힘들것인데 자기는 그 정도까지는 자신이 없다. 

 

그렇다면 결국 30년 후에 살아남을수 있는 과를 선택해야 하는게 아닐까? 하면서 

그게 어떤건지는 아무도 모르니 전.화.기 같은 계속 살아남을수 있는 기초 학문을해야할거 같은데

그건 자기가 못할것 같으니 

차라리 경영,경제학쪽으로 진로를 틀어

문과쪽을 가는게 나을것 같다 하더라구요. 

 

서울대가(울 아들은 서울대 갈 실력은 당연 안됩니다 ㅎㅎ) 그런 과가 없는건 다 이유가 있을 것이라면서. 

 

아들과 거의 밤새고 이야기를 했는데, 결론없는 문제지요

남편은 '쓸데 없는 생각말고 공부나 해라 ㅠㅠ' 는 말....(이게 정답은 맞는데 ㅎㅎ)

 

선택은 아이가 하는게 맞겠지만, 앞으로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요? 

그리고 어른인 제가 조언을 해줄수 있는건 어떤게 있을까요? 

 

IP : 175.116.xxx.96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2.11 11:49 AM (1.232.xxx.61)

    30년 후를 내다 볼 안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게 에러네요.
    어차피 계속 생각은 바뀝니다.
    그냥 공부나 하는 게 정답 ㅋㅋㅋ

  • 2. ㅁㅁ
    '24.2.11 11:49 AM (121.183.xxx.63)

    그냥 국영수 열심히하고 내신 생기부관리 잘하는게 다죠
    학교학과는 성적봐서 쓰는거구요

  • 3. 바람소리2
    '24.2.11 11:51 AM (114.204.xxx.203)

    경영 좋죠

  • 4. 고3맘
    '24.2.11 12:02 PM (210.100.xxx.239)

    지금 디테일한 진로를 정할 필요도 없고
    정해나봐야 학교에서는 관심도 없고요
    학교보다 성적이..
    어떤 쪽으로 잘나올지는 최소 한학기는 지나봐야합니다
    계열정도만 정해놓는 건 찬성인데
    것도 이과인지 문과인지 모르겠으면
    지켜봐야해요
    반반이래도 수학 죽을 쓰면 경영 경제도 아닐 수도 있고
    생각보다 과학이 재밌으면 물화해보고 공대쪽으로 바뀔 수도 있고 성적보고 결정해야합니다

  • 5. ……
    '24.2.11 12:15 PM (210.223.xxx.229)

    수학좋아하고 과학별로면
    통계학과나 데이터사이언스 경제 추천합니디

  • 6. ...
    '24.2.11 12:18 PM (175.116.xxx.96)

    닥치고 (!) 내신하고 국.영.수만 하라는 남편 말이 정답이긴한데
    아이는, 목표가 있어야 공부도 잘된다고ㅜㅜ

    하기사 3년후의 세상도 못 내다보는데 30년후의 세상을 누가 알까요
    아이와 어제 이런저런 얘기하면서 끝까지 살아남을 직업이나 학문이 뭐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종교랑 철학?? 정도 생각이 나더군요.
    그렇다고 내가 스님이나 신부님이 될수는 없지 않냐고 하는데 ㅎㅎ

  • 7. 아이가
    '24.2.11 12:31 PM (211.215.xxx.160)

    정말 똑똑하네요. 아무 생각없는 울 아들보다는 백배 낫네요. 학종은 과를 정하고 가면 좋은데 일단 성적이 좋으면 교과로 어느과든 어느 대학이든 갈 수 있어요. 지금 정하지 말고 공부 열심히 하라고 하세요. 문과는 취직이 힘들죠

  • 8. ...
    '24.2.11 12:37 PM (59.14.xxx.42)

    문과면 스카이급 이과면 이공겨열이면 오케이.
    무조건 성적업업요~~

  • 9. ...
    '24.2.11 12:38 PM (59.14.xxx.42)

    문송은 더 심해질듯...ㅠㅠ
    정 기술 배우면 모를까? 미용 등

  • 10. 이십년전에
    '24.2.11 12:39 PM (211.234.xxx.238)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ㅡㅡㅡㅡㅡ
    이십년 전에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기술의 진보는 빠를지언정 그걸 사회가 똑같이 따라가지는 않아요.

  • 11.
    '24.2.11 1:03 PM (122.153.xxx.34)

    저희 예비고1 아들녀석도 요새 고민이 많나 봐요.
    사회의 변화 속도는 따라가기 힘들 정도인데,
    학교의 공부라는 것은 또 아직도 예전과 큰 변화가 없으니.

    아이들이 학종준비 때문에 전공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해야한다는
    조급함이 있는것 같아요.
    부모 생각에는 그 시간에 수학을 하나더 풀어라 싶은데요.
    저희는 고1 중간고사 성적 받아보고
    그 이후를 도모하자고 했어요.

    미리 이런저런 얘기해봐야 성적이 나쁘면 아무짝에도 소요없는거라고..ㅎㅎ

    원글님 아드님도 현명한 결정하길 바랍니다.

  • 12. ...
    '24.2.11 1:04 PM (121.124.xxx.172)

    코딩이나 컴프로그램밍이 컴학원만 다할수 있는 정도는 누구나 접근할수있는 저급한 수준이고 이쪽 분야가 적성을 많이 타더라구요

  • 13.
    '24.2.11 1:42 PM (121.183.xxx.173)

    아이가 약간 완벽주의 성향이 있네요.
    남편말이 정답인거 아시니 그대로 따르시길

  • 14. 요새
    '24.2.11 2:32 PM (211.205.xxx.145)

    전공적합성 넓게 봐요.
    그냥 세부과 안정하고 수학 과학 심화해도 다 들어가요.
    공부 먼저 하세요

  • 15.
    '24.2.11 2:50 PM (114.201.xxx.215) - 삭제된댓글

    경기도교육청에서 3개월전에 10년뒤 유망직업 발표한게 있는데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2-YeHsLqeQk

  • 16. 어차피
    '24.2.11 5:07 PM (211.250.xxx.112)

    조직에 잘 들어가는수밖에 없어요. 엔비디아가 AI를 미리 준비해서 뜬게 아닌것처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3645 ㅅㅌ벅스커피 8 서민 2024/02/14 2,169
1553644 부모님과 자식에 대한 마음이 동일한거 같아요 5 = 2024/02/14 1,541
1553643 의대정원 2000명 밀어 붙이는 것처럼 비급여 진료 좀 막았으.. 56 2024/02/14 2,663
1553642 스포츠 즐기지 않는 50대 하와이 여행 어떤가요? 8 .. 2024/02/14 1,597
1553641 두유 제조기 저도 드뎌 첫사용 19 2024/02/14 3,239
1553640 자녀가 결혼했는데 아집과 지적질 심한 부모 23 2024/02/14 5,133
1553639 "사지마, 먹지마, 아무것도 하지마"…디플레 .. 3 ... 2024/02/14 4,253
1553638 치매예방차 뜨개질을 배워보고 싶은데 13 ㅜㅜ 2024/02/14 2,116
1553637 정시 추합은 언제까지 발표가 되는가요 3 정시 2024/02/14 1,446
1553636 유시민 진보당(옛통진당)대한 비례연합논평 15 유시민 2024/02/14 1,700
1553635 재개발 되어 토지수용당하신분 계신가요? 8 참나 2024/02/14 2,091
1553634 일이 있으면 덜 외로운가요? 19 ㅇㅇ 2024/02/14 4,203
1553633 등쪽 코어가 탄탄해지려면 어떤 운동을 해야 하나요? 13 운동 2024/02/14 3,393
1553632 시어머니가 트로트 공연 같이 가고 싶으시대요. 37 ㅇㅇ 2024/02/14 5,544
1553631 너무싫은동료vs힘든 업무 뭐가 나을까요? 7 .. 2024/02/14 2,233
1553630 단기알바가는데 신분증 통장사본 2 있다가 2024/02/14 3,180
1553629 쿠팡 포장 비닐 재활용 안되는거죠? 8 난감 2024/02/14 3,967
1553628 정용진 수준이 ㅜㅜ 38 어휴 2024/02/14 22,984
1553627 류근 시인, 민주당에 분노 폭발.jpg 29 주루룩 읽히.. 2024/02/14 5,989
1553626 여행은 다녀와서 추억이 되는 순간부터 더 좋은듯 해요 7 .. 2024/02/14 3,003
1553625 윤석열 의료보험료 인상없이 필수의료 건보 수가 개편 31 ㅇㅇ 2024/02/14 3,761
1553624 노인들의 장보기 15 @@ 2024/02/14 6,897
1553623 심플리 피아노 앱 9 bb 2024/02/14 2,174
1553622 백화점 푸드코트 인수 28 창업 2024/02/14 11,389
1553621 안귀령은 뭐하는 여자인가요? 33 으이그 2024/02/14 6,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