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아이와 밤새고 진로 고민(AI관련 학과는 막차일까요?)

... 조회수 : 2,120
작성일 : 2024-02-11 11:43:16

예비고1 남자 아이입니다. 

문.이과 성향 반반인 아이이고 수학은 좋아하지만 물리,화학 싫어합니다. 

전,화.기나 바이오쪽은 본인은 도저히 공부 못할것 같다면서 중학교때부터 인공지능,AI,정보보안,데이터 사이언스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더군요.

 

그런데, 어제 저에게 '엄마..시간 되면 나랑 얘기좀 해요' 하더니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진짜 '탑 티어' 가 아니라면 그쪽에서는 살아남기 힘들것인데 자기는 그 정도까지는 자신이 없다. 

 

그렇다면 결국 30년 후에 살아남을수 있는 과를 선택해야 하는게 아닐까? 하면서 

그게 어떤건지는 아무도 모르니 전.화.기 같은 계속 살아남을수 있는 기초 학문을해야할거 같은데

그건 자기가 못할것 같으니 

차라리 경영,경제학쪽으로 진로를 틀어

문과쪽을 가는게 나을것 같다 하더라구요. 

 

서울대가(울 아들은 서울대 갈 실력은 당연 안됩니다 ㅎㅎ) 그런 과가 없는건 다 이유가 있을 것이라면서. 

 

아들과 거의 밤새고 이야기를 했는데, 결론없는 문제지요

남편은 '쓸데 없는 생각말고 공부나 해라 ㅠㅠ' 는 말....(이게 정답은 맞는데 ㅎㅎ)

 

선택은 아이가 하는게 맞겠지만, 앞으로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요? 

그리고 어른인 제가 조언을 해줄수 있는건 어떤게 있을까요? 

 

IP : 175.116.xxx.96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2.11 11:49 AM (1.232.xxx.61)

    30년 후를 내다 볼 안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게 에러네요.
    어차피 계속 생각은 바뀝니다.
    그냥 공부나 하는 게 정답 ㅋㅋㅋ

  • 2. ㅁㅁ
    '24.2.11 11:49 AM (121.183.xxx.63)

    그냥 국영수 열심히하고 내신 생기부관리 잘하는게 다죠
    학교학과는 성적봐서 쓰는거구요

  • 3. 바람소리2
    '24.2.11 11:51 AM (114.204.xxx.203)

    경영 좋죠

  • 4. 고3맘
    '24.2.11 12:02 PM (210.100.xxx.239)

    지금 디테일한 진로를 정할 필요도 없고
    정해나봐야 학교에서는 관심도 없고요
    학교보다 성적이..
    어떤 쪽으로 잘나올지는 최소 한학기는 지나봐야합니다
    계열정도만 정해놓는 건 찬성인데
    것도 이과인지 문과인지 모르겠으면
    지켜봐야해요
    반반이래도 수학 죽을 쓰면 경영 경제도 아닐 수도 있고
    생각보다 과학이 재밌으면 물화해보고 공대쪽으로 바뀔 수도 있고 성적보고 결정해야합니다

  • 5. ……
    '24.2.11 12:15 PM (210.223.xxx.229)

    수학좋아하고 과학별로면
    통계학과나 데이터사이언스 경제 추천합니디

  • 6. ...
    '24.2.11 12:18 PM (175.116.xxx.96)

    닥치고 (!) 내신하고 국.영.수만 하라는 남편 말이 정답이긴한데
    아이는, 목표가 있어야 공부도 잘된다고ㅜㅜ

    하기사 3년후의 세상도 못 내다보는데 30년후의 세상을 누가 알까요
    아이와 어제 이런저런 얘기하면서 끝까지 살아남을 직업이나 학문이 뭐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종교랑 철학?? 정도 생각이 나더군요.
    그렇다고 내가 스님이나 신부님이 될수는 없지 않냐고 하는데 ㅎㅎ

  • 7. 아이가
    '24.2.11 12:31 PM (211.215.xxx.160)

    정말 똑똑하네요. 아무 생각없는 울 아들보다는 백배 낫네요. 학종은 과를 정하고 가면 좋은데 일단 성적이 좋으면 교과로 어느과든 어느 대학이든 갈 수 있어요. 지금 정하지 말고 공부 열심히 하라고 하세요. 문과는 취직이 힘들죠

  • 8. ...
    '24.2.11 12:37 PM (59.14.xxx.42)

    문과면 스카이급 이과면 이공겨열이면 오케이.
    무조건 성적업업요~~

  • 9. ...
    '24.2.11 12:38 PM (59.14.xxx.42)

    문송은 더 심해질듯...ㅠㅠ
    정 기술 배우면 모를까? 미용 등

  • 10. 이십년전에
    '24.2.11 12:39 PM (211.234.xxx.238)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ㅡㅡㅡㅡㅡ
    이십년 전에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기술의 진보는 빠를지언정 그걸 사회가 똑같이 따라가지는 않아요.

  • 11.
    '24.2.11 1:03 PM (122.153.xxx.34)

    저희 예비고1 아들녀석도 요새 고민이 많나 봐요.
    사회의 변화 속도는 따라가기 힘들 정도인데,
    학교의 공부라는 것은 또 아직도 예전과 큰 변화가 없으니.

    아이들이 학종준비 때문에 전공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해야한다는
    조급함이 있는것 같아요.
    부모 생각에는 그 시간에 수학을 하나더 풀어라 싶은데요.
    저희는 고1 중간고사 성적 받아보고
    그 이후를 도모하자고 했어요.

    미리 이런저런 얘기해봐야 성적이 나쁘면 아무짝에도 소요없는거라고..ㅎㅎ

    원글님 아드님도 현명한 결정하길 바랍니다.

  • 12. ...
    '24.2.11 1:04 PM (121.124.xxx.172)

    코딩이나 컴프로그램밍이 컴학원만 다할수 있는 정도는 누구나 접근할수있는 저급한 수준이고 이쪽 분야가 적성을 많이 타더라구요

  • 13.
    '24.2.11 1:42 PM (121.183.xxx.173)

    아이가 약간 완벽주의 성향이 있네요.
    남편말이 정답인거 아시니 그대로 따르시길

  • 14. 요새
    '24.2.11 2:32 PM (211.205.xxx.145)

    전공적합성 넓게 봐요.
    그냥 세부과 안정하고 수학 과학 심화해도 다 들어가요.
    공부 먼저 하세요

  • 15.
    '24.2.11 2:50 PM (114.201.xxx.215) - 삭제된댓글

    경기도교육청에서 3개월전에 10년뒤 유망직업 발표한게 있는데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2-YeHsLqeQk

  • 16. 어차피
    '24.2.11 5:07 PM (211.250.xxx.112)

    조직에 잘 들어가는수밖에 없어요. 엔비디아가 AI를 미리 준비해서 뜬게 아닌것처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4459 서울) 100% 동물성 생크림 케이크 전문점 4 케이크 2024/02/15 2,363
1554458 월세 2년후 집판다고 하는데요 2 oo 2024/02/15 1,674
1554457 세작, 신세경 진짜 연기 너무 못하네요 20 ... 2024/02/15 4,873
1554456 배우 이장우 노래 잘하네요 12 나혼산 2024/02/15 2,970
1554455 유동규, 전광훈당 입당…이재명에 도전장ㅋㅋㅋㅋㅋ 33 으엌ㅋㅋㅋ 2024/02/15 1,644
1554454 지난 겨울부터 제대로 꽂힌 스넥이에요 6 냠냠 2024/02/15 2,267
1554453 와인 자주 드시는 분 3 ㅇㄴㄹ 2024/02/15 1,107
1554452 훌륭한 손흥민 더 더 흥해라! 9 축알못 2024/02/15 1,952
1554451 주식은 알려 줄 수가 없어요 3 2024/02/15 2,725
1554450 리셋코리아 시즌1 2 리셋코리아 .. 2024/02/15 421
1554449 텐트밖은 유럽 남프랑스편 한다던데 22 그냥이 2024/02/15 4,366
1554448 주식 뒷북 치는 나 7 말려줘요 2024/02/15 1,948
1554447 백내장 초기 5 수술까지 2024/02/15 1,828
1554446 어제나솔에서 사과즙 가져온 남자 10 어제 나솔에.. 2024/02/15 2,777
1554445 앞으로는 인성이 경쟁력이 될거라더니 20 . 2024/02/15 4,680
1554444 취업한 아이한테 받는 생활비 8 생활비 2024/02/15 4,158
1554443 따뜻한 양갱이 있나요? 7 happy 2024/02/15 1,089
1554442 모던하우스 그릇중에 2 여쭘 2024/02/15 1,639
1554441 이번주말 서울가는데 외투 뭐가 좋을까요? 5 또로로로롱 2024/02/15 805
1554440 조국신당 " 총선 이후에도 민주당에 발목잡는 정당이 되.. 32 응원합니다 2024/02/15 2,294
1554439 윤가. 순방 연기 사유 10 qaws 2024/02/15 3,100
1554438 노후에 집 빼고 현금 여유분 얼마정도면 현실적 만족하시겠어요? 18 ........ 2024/02/15 4,747
1554437 실비 보험료 21만원이 되었네요 22 모모 2024/02/15 4,798
1554436 새마을금고 2등급이라는데 예금해도 될까요? 8 예금 2024/02/15 1,823
1554435 저 요즘... 2024/02/15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