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아이와 밤새고 진로 고민(AI관련 학과는 막차일까요?)

... 조회수 : 2,174
작성일 : 2024-02-11 11:43:16

예비고1 남자 아이입니다. 

문.이과 성향 반반인 아이이고 수학은 좋아하지만 물리,화학 싫어합니다. 

전,화.기나 바이오쪽은 본인은 도저히 공부 못할것 같다면서 중학교때부터 인공지능,AI,정보보안,데이터 사이언스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더군요.

 

그런데, 어제 저에게 '엄마..시간 되면 나랑 얘기좀 해요' 하더니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진짜 '탑 티어' 가 아니라면 그쪽에서는 살아남기 힘들것인데 자기는 그 정도까지는 자신이 없다. 

 

그렇다면 결국 30년 후에 살아남을수 있는 과를 선택해야 하는게 아닐까? 하면서 

그게 어떤건지는 아무도 모르니 전.화.기 같은 계속 살아남을수 있는 기초 학문을해야할거 같은데

그건 자기가 못할것 같으니 

차라리 경영,경제학쪽으로 진로를 틀어

문과쪽을 가는게 나을것 같다 하더라구요. 

 

서울대가(울 아들은 서울대 갈 실력은 당연 안됩니다 ㅎㅎ) 그런 과가 없는건 다 이유가 있을 것이라면서. 

 

아들과 거의 밤새고 이야기를 했는데, 결론없는 문제지요

남편은 '쓸데 없는 생각말고 공부나 해라 ㅠㅠ' 는 말....(이게 정답은 맞는데 ㅎㅎ)

 

선택은 아이가 하는게 맞겠지만, 앞으로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요? 

그리고 어른인 제가 조언을 해줄수 있는건 어떤게 있을까요? 

 

IP : 175.116.xxx.96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2.11 11:49 AM (1.232.xxx.61)

    30년 후를 내다 볼 안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게 에러네요.
    어차피 계속 생각은 바뀝니다.
    그냥 공부나 하는 게 정답 ㅋㅋㅋ

  • 2. ㅁㅁ
    '24.2.11 11:49 AM (121.183.xxx.63)

    그냥 국영수 열심히하고 내신 생기부관리 잘하는게 다죠
    학교학과는 성적봐서 쓰는거구요

  • 3. 바람소리2
    '24.2.11 11:51 AM (114.204.xxx.203)

    경영 좋죠

  • 4. 고3맘
    '24.2.11 12:02 PM (210.100.xxx.239)

    지금 디테일한 진로를 정할 필요도 없고
    정해나봐야 학교에서는 관심도 없고요
    학교보다 성적이..
    어떤 쪽으로 잘나올지는 최소 한학기는 지나봐야합니다
    계열정도만 정해놓는 건 찬성인데
    것도 이과인지 문과인지 모르겠으면
    지켜봐야해요
    반반이래도 수학 죽을 쓰면 경영 경제도 아닐 수도 있고
    생각보다 과학이 재밌으면 물화해보고 공대쪽으로 바뀔 수도 있고 성적보고 결정해야합니다

  • 5. ……
    '24.2.11 12:15 PM (210.223.xxx.229)

    수학좋아하고 과학별로면
    통계학과나 데이터사이언스 경제 추천합니디

  • 6. ...
    '24.2.11 12:18 PM (175.116.xxx.96)

    닥치고 (!) 내신하고 국.영.수만 하라는 남편 말이 정답이긴한데
    아이는, 목표가 있어야 공부도 잘된다고ㅜㅜ

    하기사 3년후의 세상도 못 내다보는데 30년후의 세상을 누가 알까요
    아이와 어제 이런저런 얘기하면서 끝까지 살아남을 직업이나 학문이 뭐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종교랑 철학?? 정도 생각이 나더군요.
    그렇다고 내가 스님이나 신부님이 될수는 없지 않냐고 하는데 ㅎㅎ

  • 7. 아이가
    '24.2.11 12:31 PM (211.215.xxx.160)

    정말 똑똑하네요. 아무 생각없는 울 아들보다는 백배 낫네요. 학종은 과를 정하고 가면 좋은데 일단 성적이 좋으면 교과로 어느과든 어느 대학이든 갈 수 있어요. 지금 정하지 말고 공부 열심히 하라고 하세요. 문과는 취직이 힘들죠

  • 8. ...
    '24.2.11 12:37 PM (59.14.xxx.42)

    문과면 스카이급 이과면 이공겨열이면 오케이.
    무조건 성적업업요~~

  • 9. ...
    '24.2.11 12:38 PM (59.14.xxx.42)

    문송은 더 심해질듯...ㅠㅠ
    정 기술 배우면 모를까? 미용 등

  • 10. 이십년전에
    '24.2.11 12:39 PM (211.234.xxx.238)

    자기가 사회에 본격적으로 나가는 20년 후가 되면
    이제 인공지능, 정보보안 쪽은 이미 포화가 되어 있을 거고, 코딩 같은것은 이미 컴퓨터가 다 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도 학원만 다니면 접근할수 있는 분야가 되어 있을 것이다.
    ㅡㅡㅡㅡㅡ
    이십년 전에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기술의 진보는 빠를지언정 그걸 사회가 똑같이 따라가지는 않아요.

  • 11.
    '24.2.11 1:03 PM (122.153.xxx.34)

    저희 예비고1 아들녀석도 요새 고민이 많나 봐요.
    사회의 변화 속도는 따라가기 힘들 정도인데,
    학교의 공부라는 것은 또 아직도 예전과 큰 변화가 없으니.

    아이들이 학종준비 때문에 전공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해야한다는
    조급함이 있는것 같아요.
    부모 생각에는 그 시간에 수학을 하나더 풀어라 싶은데요.
    저희는 고1 중간고사 성적 받아보고
    그 이후를 도모하자고 했어요.

    미리 이런저런 얘기해봐야 성적이 나쁘면 아무짝에도 소요없는거라고..ㅎㅎ

    원글님 아드님도 현명한 결정하길 바랍니다.

  • 12. ...
    '24.2.11 1:04 PM (121.124.xxx.172)

    코딩이나 컴프로그램밍이 컴학원만 다할수 있는 정도는 누구나 접근할수있는 저급한 수준이고 이쪽 분야가 적성을 많이 타더라구요

  • 13.
    '24.2.11 1:42 PM (121.183.xxx.173)

    아이가 약간 완벽주의 성향이 있네요.
    남편말이 정답인거 아시니 그대로 따르시길

  • 14. 요새
    '24.2.11 2:32 PM (211.205.xxx.145)

    전공적합성 넓게 봐요.
    그냥 세부과 안정하고 수학 과학 심화해도 다 들어가요.
    공부 먼저 하세요

  • 15.
    '24.2.11 2:50 PM (114.201.xxx.215) - 삭제된댓글

    경기도교육청에서 3개월전에 10년뒤 유망직업 발표한게 있는데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2-YeHsLqeQk

  • 16. 어차피
    '24.2.11 5:07 PM (211.250.xxx.112)

    조직에 잘 들어가는수밖에 없어요. 엔비디아가 AI를 미리 준비해서 뜬게 아닌것처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1298 총리후보로 권영세가 하마평에 오르다니... 7 ㅇㅇㅇ 2024/04/13 3,112
1571297 천안아산역 약속장소 4 sara 2024/04/13 1,247
1571296 동내과일가게 순수익이 월2천 26 .. 2024/04/13 20,178
1571295 최은순 거의 매일 구치소 나와 병원 간다고 하네요 7 ... 2024/04/13 4,037
1571294 '탄핵' 언급한 조선일보 "윤 대통령 부부, 모든 문제.. 12 ... 2024/04/13 6,210
1571293 오늘 시청앞. 세월호 참사 10주기 4.16기억문화제 4 코코2014.. 2024/04/13 811
1571292 430스텐 식기로 사용해도 될까요? 2 스뎅 2024/04/13 1,089
1571291 오펜하이머 왜 R등급이었을까요? 5 ㅇㅇ 2024/04/13 2,712
1571290 제가 쓸 아이폰을 새로 개통해볼까해요 8 백만년만 2024/04/13 1,040
1571289 쿠팡이 이기나 내가 이기나 보자 27 끝까지간다 2024/04/13 6,398
1571288 자녀 대학 보내면 편할줄 알았는데 전공 고민 19 끝이 없네요.. 2024/04/13 4,506
1571287 임대주택,행복주택 평수 더 좁아지게 법이 바뀌네요. 9 ... 2024/04/13 2,298
1571286 간장게장 얼마나 둬야할까요? 1 ㅅㅈㅅ 2024/04/13 652
1571285 저도 목동 이사 10 남아 2024/04/13 2,831
1571284 말을 참 안이쁘게하는 동료 9 2024/04/13 3,416
1571283 전기 오븐 예열시간 메뉴 마다 다른가요? 3 .. 2024/04/13 740
1571282 의대 증원은 윤석열이 마무리하게 둬야합니다 55 ㅇㅇㅂ 2024/04/13 4,793
1571281 저는 늙기 싫어서 지금 죽어도 괜찮아요 29 ㅇㅇ 2024/04/13 4,608
1571280 쿠팡 없이 못살것 같다 라고 .말한 사람입니다 36 동그라미 2024/04/13 5,497
1571279 유영하도 당선 23 ㅋ ㅋ 2024/04/13 3,588
1571278 반려견 관련 조언 부탁드려요 11 조언 2024/04/13 1,295
1571277 하루에 한끼는 쌀밥이외의 식사를 하고 싶어요 5 어떡해 2024/04/13 2,190
1571276 흉터로 인한 피부색 변한곳에 흉터연고 바르면 ? 3 색소침착 2024/04/13 1,303
1571275 아이들(중고딩) 때문에 힘든 점 14 2024/04/13 3,217
1571274 청소방법좀 알려주세요 8 으악악 2024/04/13 2,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