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글보면 집에 사람 초대하는 문화가 없어진거 같아요

교포 조회수 : 1,943
작성일 : 2024-02-08 12:45:44

예전엔 집에서 동네 지인이랑 차도 마시고 간단 브런치도 만들어 먹고  다른 도시 사는 형제 자매나 친인척 오면 하루 자기도 했던 거 같거던요

요즘은 밖에서 먹을 곳도 많고 잠잘 곳도 많고 소가족화 되다보니 남의ㅡ집에 가는 게 좀 민폐가 된듯 해요.

전 이민 20년차이고 한국 방문시에도 부모님 댁 아니면 10분거리에 형제가 살아도 호텔에 투숙합니다.

부모님댁도  사위랑 오래 있으면 힘드실 까봐 며칠 있다 다른 곳 숙소 가곤 해요. 

이제 나이가 있으니 찬구들 자녀를  몇달 보내고 싶어하기도 하고  자기들 해외 놀러 오는 데 가이드,숙소,식사 다 해주길 바라네요. 한국에서 좋은 인연이었는데 일부러 연락 끊어버린 지인도 생기고 생각보다 많이 부담인데 한국에 사는 사람들은 당연한건가 봐요

영어도 운전도 못하는 사람들 24시간 케어하는 거랑 한국 가더라도 스스로 바쁜 교포들 접대랑은 차이가 많아요.

비용 또한 많이 들어요. 요즘 한국은 경제가 많이 발전해서 돈을  쉽게 쓰는데 이민자 살림 그럭저럭 산다해도 손님 한번 휩쓸고 가면 힘들더라구요. 천만원 쓰는 거도 쉬워요.

 

여름 방학에 자녀들 보태고 싶다고 하는데 따로 방 잡으라 해야할 지 가이드 알아 보라고 해야할지 걱정이네요

저희집은 남는 방도 없는데 당연히  집에서 자는 걸로 생각하네요 .

 

IP : 45.134.xxx.15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세상에
    '24.2.8 12:49 PM (58.29.xxx.185)

    요즘도 자기 자녀를 외국 사는 지인 집에 몇 달씩 보내는 몰상식한 사람들이 있어요?
    지인들이 부탁해도 님 선에서 잘라서 말하세요
    그 전에 우리애들 너네 집에 몇 달 지내면 어떨까? 하고 먼저 물어보세요

  • 2. .....
    '24.2.8 12:50 PM (220.118.xxx.37) - 삭제된댓글

    숙박은 집 크기가 좀 좌우하는 듯. 한국이든 미국이든 게스트침실 있으면 아무래도 좀 쉽죠. 쓰는 방 내주려면 대책없구요.
    원글님 말씀 맞아요. 서울은 지하철로 어디든 가는데, 미국은 차 없으면 힘들죠. 저도 한국에선 운전하는데 미국 동생네 가면 운전 안해서 집에 박혀있다 와요. 세 끼 밥해주고 청소 세탁해주고.. 동생보러 가는 거니까요.

  • 3. ㅁㅁ
    '24.2.8 12:52 PM (115.21.xxx.227)

    그렇게 있을꺼면 식대랑 숙박비도 넉넉하게 주고 그러지 않나요?그러면서도 불편끼치는거 같아 호텔이나 기숙사 있어요. 요즘 서울도 친척오면 그렇게 지내는 사람 별로 없어요. 정말 민폐죠.

  • 4. ...
    '24.2.8 12:52 PM (106.102.xxx.203)

    걱정 말고 자르세요
    그건 문화 차이 아닙니다
    그들이 진상인 겁니다
    고민할 가치도 없어요

  • 5. ..
    '24.2.8 1:11 PM (58.231.xxx.145)

    안된다고, 한번씩 가서 보거나
    부탁할일있을때 도움주겠다
    하루정도 집에 초대해서 식사정도면 충분히 넘칩니다.
    한국에서도 남의집 방문을 잘 안합니다.
    전업들도 동네엄마들끼리도 밖에서 커피마시고 밥사먹죠
    집으로 오라고하면 욕합니다. 밖에서 간단히 차마시면 되는데 왜 집으로 부르냐, 그럼 나도 한번은 불러야될텐데 부담스럽다 그러죠.

  • 6. 교포
    '24.2.8 1:18 PM (45.134.xxx.153)

    경비 절감 목적으로 저희집에 보내는 거라 따로 비용을 얼마나 줄지는 기대도 안하고요
    한식 먹는 아이들 아침 저녁 해 주는거도 만만치 않을 것 같아요 .
    외로운 이민 생활에 이런 이유로 한국 지인들 정리가 되어가니 씁쓸해요.

  • 7. 교포시면
    '24.2.8 1:28 PM (58.224.xxx.2)

    솔직히 저런 사람들은 님이 거절해도 타격감 1도 없어요.
    도움 받을거나 생각하고,지인이 해외산다 자랑거리나 되지,지척에 두고 살면서
    서로 챙기는 사이는 아니잖아요?
    이렇게 원글님처럼 성격 깔끔하게,남의 도움 받는건 부담스럽고 민폐일까봐 알아서 거리두고,
    남이 부탁하면
    거절 못해서 전전긍긍하고.....

    진상과 호구는 한세트가 맞는거 같아요.합이 맞으니까 들러붙는거예요.

    한국분위기 예전하고 많이 달라요..커피숍 많이 생겨서 밖에서 사람 만나지
    집에 사람 들이지를 않아요.우리나라도 서양처럼 개인생활 굉장히 중시하게 되었어요.
    코로나 이후로 더 그런듯요.
    그러니 저들이 진상이니,이런 고민 자체를 하지 마시고
    누가 부탁하면
    남는 방도 없고,어려울거 같다고 거절하세요.구구절절 미안해하면서 설명도 마시구요.그러면 그들은 괘심해하죠.마치 자기들이 갑이 된거 같고,님이 을이여서 안절부절하는것처럼 느껴요.
    거절해서 그들이 님을 멀리하면 그냥
    그들과 님의 관계가 그정도일뿐이고,너무 인간관계 연연마세요.
    솔직히 해외사는 친구나 지인을,언제든지 볼수 있는 국내 친구들보다
    더 가깝게 생각할까요?절대 아닙니다..
    언제 끊어지고 헤어져도 이상하다 생각하질 않아요.물리적 거리감이란거 무시 못해요.

  • 8. 교포
    '24.2.8 2:06 PM (45.134.xxx.153)

    마음의 짐이 조금이나마 덜어지는 답글들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날아 온 말 한마디에 며칠동안 전전긍긍하는 시간도 힘들고 한국사람들은 어떤 사고방식일 까 궁금해서 글 올리고 많이도움 되었습니다.
    한 두 달 캠프 프로그램도 많고 반년 단기 유학생 받는 유학원도 있는데 그쪽알아 보라 해야겠어요

  • 9. ...
    '24.2.8 4:21 PM (58.231.xxx.145)

    원글님은 무리해서 힘들지만 해줬다해도
    그들은 돌아서면 딴소리 합니다.
    좋은마음에 데리고있으면서 진짜 나름 잘해줬는데
    나중에 말도 안되는 우리집 흉을 많이 보드라고요.
    집집마다 분위기,환경이 다른걸 자기집과 비교질해서요.
    기가 막혀서.. 저게 인간인가싶어요.
    안해줘도 섭섭다고 할 인간들이지만
    해줘도 고마운건 딱 1시간정도? 돌아서서 서운하네,너무하네, 나는 그래는 못살겠드라 등등 두고두고 씹혀요.
    절대 노노!!

  • 10. ㆍㆍ
    '24.2.8 10:12 PM (211.235.xxx.104)

    고민 거리가 되나요? 미치지 않고서야 어떻게 친구집에 자기 자식을 떠넘기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3539 민주당의 이언주 쓰임이 이거인가 보아요 39 아하 2024/02/12 5,599
1553538 미국은 초.중.고 학교급식 안하나요? 14 학교 급식 2024/02/12 3,474
1553537 수능영어 전문선생님 계실까요? 제 고민 좀 읽어봐주세요 9 조언 2024/02/12 1,479
1553536 애초에 이공계가 언제 죽었나요? 19 잘살던데 2024/02/12 1,912
1553535 기업은행 DC형 퇴직연금으로 ETF를 사고싶은데요 7 .. 2024/02/12 1,935
1553534 국장2 장학금 3 국장 2024/02/12 1,761
1553533 외국인 포비아... 23 한국인 2024/02/12 3,574
1553532 와 진성씨도 티비에 빅쇼를 하네요 4 좋네요 2024/02/12 2,260
1553531 대통령실, 의대증원에 "돌이킬 수 없어…단체행동 명분없.. 37 ㅇㅇ 2024/02/12 3,800
1553530 조국교수님 응원합니다. 32 처음부터지금.. 2024/02/12 2,057
1553529 체코 프라하는 살기 어떤가요? 11 ..... 2024/02/12 4,366
1553528 링크샵스 파산? ㅠㅠ 2024/02/12 675
1553527 꽃꽂이 강사는 어떻게 될수있는건가요? 6 ㅁㅁ 2024/02/12 1,493
1553526 유시민, 이낙연 신당 창당..무슨 말못할 사정이 있나보다. 30 나를찾아줘 2024/02/12 5,328
1553525 의대 2천명 증원은 확정인가요? 32 ㅁㅁ 2024/02/12 2,655
1553524 의대생엄마도 공대생엄마도.. 9 ..... 2024/02/12 4,080
1553523 형님이 며느리와 하는 통화를 듣게 됐어요 36 2024/02/12 27,258
1553522 결혼식에 양가 엄마들 양장 입는 거 어떤가요? 83 결혼식 2024/02/12 7,989
1553521 국립대 사범대학교 등록금은 얼마정도 하나요 7 땅지 2024/02/12 1,706
1553520 트라이탄 소재 반찬통 괜찮나요? 5 .. 2024/02/12 2,106
1553519 쿠팡에서 닥스 가방 구매해도 될까요? 7 구매 2024/02/12 2,339
1553518 2층침대 바라는 외동아이 .. 30 ㅇㅇ 2024/02/12 4,370
1553517 요즘 결혼하면 부조하는 작은아버지한테 선물하나요? 7 요즘시대 2024/02/12 1,965
1553516 목이 자주 쉬는것도 폐암증상일 수 있나요? 12 2024/02/12 3,619
1553515 미국에서 의사되기 (의대학부생& 가족만 클릭) 34 업데이트 2024/02/12 3,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