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식세기 돌릴때마다 1Kw씩 써요

부담부담 조회수 : 4,957
작성일 : 2024-02-05 15:32:12

비스포크쓰고 강력에 헹굼 1회 추가하는데요.

전기사용량 앱에서 보면 1Kw씩 써요.

식세기 사용하고 전기요금 훅 올랐어요.

요금 별로 안 나오신다는 분들 어떤거 쓰시는지 메뉴 뭐 쓰시는지 여쭤보고 싶어요.

IP : 180.227.xxx.173
3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2.5 3:34 PM (220.117.xxx.26)

    누진 구간에 걸리나봐요
    1키로 라니 ..
    엘지도 쓰고 중소기업 식세기도 쓰지만
    그정도 아닌데요

  • 2. ㄱㄷ
    '24.2.5 3:35 PM (218.238.xxx.80) - 삭제된댓글

    전기사용량을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 3. ....
    '24.2.5 3:35 PM (118.235.xxx.81)

    불림세척 또는 강력새척 매일 돌렸더니 4만원 더 나왔어요, ㅠㅠㅠㅠ


    원인 이 식기 세척기 였네요..

  • 4. 저희는
    '24.2.5 3:36 PM (175.194.xxx.124)

    따로 1회 사용량을 측정하지는 않았습니다만...
    거의 매일 한번씩 돌리는데 전기요금은 3-4만원대입니다.
    혹시 냉수만 연결하셨나요?
    그럼 물 데우는데 전기가 많이 들겠어요
    보통은 온수 받아서 조금만 더 데우는 거거든요
    그리고 건조할 때 말고 모터돌리는 건 전력소모가 크지 않거든요

  • 5.
    '24.2.5 3:36 PM (113.131.xxx.169) - 삭제된댓글

    표준 코스로 하루 한 번 돌리고
    건조는 패쓰해요.

  • 6. ..
    '24.2.5 3:36 PM (118.235.xxx.60)

    누진범위 넘어서 쓰는데요 식세기 쓰고 2-3만원이상 올랐어요 전 표준코스만 돌립니다 1일 1회이상 돌리구요

  • 7. 스마트씽즈
    '24.2.5 3:40 PM (180.227.xxx.173)

    그냥 삼성앱에 나와요.
    저도 식세기쓰고 요금 3만원 이상 추가로 나오고요.
    식세기 불신론자 엄마가 오셔서 한달 이상 안쓰니 원래 요금으로 돌아갔거든요;;

  • 8. ...
    '24.2.5 3:42 PM (222.236.xxx.238)

    식기세척기가 온수를 만들 때 전기를 많이 쓴다고 하더라구요.

  • 9. EX
    '24.2.5 3:43 PM (211.114.xxx.72)

    1KW 나왔다고 하는데 누진구간하고는 상관이 없죠. 요금이 얼마냐에 누진구간이 상관있는거지 소비된 전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직접 코드에 연결된 측정장비가 아니라 앱에서 계산한 거면 예상치가 아닐까 싶네요.

  • 10.
    '24.2.5 3:48 PM (175.124.xxx.136) - 삭제된댓글

    몇인용인가요?
    이왕이면 에코로 쓰세요.
    시간은 더 걸려도 전기요금 덜 나온대요

  • 11. ...
    '24.2.5 3:49 PM (58.234.xxx.222)

    온수나 건조 기능을 안써야죠..

  • 12. 12인용이고
    '24.2.5 3:50 PM (180.227.xxx.173)

    에코는 뭘까요.. 메뉴는 자동,표준,강력,유리잔,급속,다운로드인데 다운로드에 있을까요?

  • 13. ...
    '24.2.5 3:51 PM (223.38.xxx.165)

    식세기에 온수를 선택할 수 있어요??? 그냥 기본으로ㅇ헹굼시 온수 쓰는거 아닌가요??

  • 14. 음..
    '24.2.5 3:53 PM (175.124.xxx.136) - 삭제된댓글

    전 6인용 삼성인데 에코가 선택에 있어서 말씀드린거예요
    설명서 찾아보고 맞는걸 골라보세요.

  • 15. 건조
    '24.2.5 3:56 PM (116.87.xxx.30)

    건조를 하지 않고 건조 시작되면 문 열어두는 방법도 있어요. 뜨거운 그릇이라 한 두 시간이면 바짝 말라요.

  • 16. 2~3
    '24.2.5 3:59 PM (210.223.xxx.17) - 삭제된댓글

    2~3만원 오르지도 않았지만
    전기를 썼으면 오르는게 당연한거죠
    그 돈 내더라도 내 관절 허리 아껴야 하니 쓰는거지
    엘지전자엔 왜 돈냈나요?

  • 17. 2-3
    '24.2.5 4:00 PM (210.223.xxx.17) - 삭제된댓글

    2~3만원 오르지도 않았지만
    전기를 썼으면 오르는게 당연한거죠
    그 돈 내더라도 내 관절 허리 아껴야 하니 쓰는거지
    삼성전자엔 왜 돈냈나요?

  • 18. ...
    '24.2.5 4:00 PM (1.244.xxx.34) - 삭제된댓글

    저도 식세기 매일 사용하다가 손설거지를 했더니 3만원이 적게 나오더라고요
    수도량도 줄었습니다

    그런데 폐경이 되면서 손설거지를 하면 손가락이 아파요
    헹금할 때 손에 힘주고 빡빡 문질렀더니 그런가봐요

    그래서 간단코스를 돌리거나
    손으로 문질러서 대충 헹군 다음에 헹굼 코스로만 돌리기도 해요
    헹굼코스는 찬물만 나오더라고요

  • 19. 사용량은
    '24.2.5 4:05 PM (211.250.xxx.112)

    누진제와 무관하죠. 누진제는 요금계산할때 적용하는 거고요. 열풍건조만 안해도 덜 나올걸요.

  • 20. ……
    '24.2.5 4:08 PM (175.204.xxx.215) - 삭제된댓글

    회당 1kwh 쓰는 거 맞을 거에요. 엘지 식세기에도 전기사용량 그렇게 표기되어있고.. 하루 한 번이면 한 달 30kwh 이고 누진제 적용 안힌 전기요금으로는 8,000원 미만인데.. 집집마다 누진제 적용구간에 따라 몇 만원 차이가 될 수도 있겠죠.

  • 21. 헹굼코스만
    '24.2.5 4:09 PM (180.227.xxx.173)

    돌릴수는 없네요. 에코모드도 6인용 전용인가봐요.
    강력건조는 따로 메뉴가 있긴한데 안씁니다.
    맞아요. 식세기에 온수나 냉수 선택은 없구요.
    메뉴에 따라 온도가 조금씩 달라지는 듯 해요.
    다운로드에 가보니까 별것도 없구요.
    수동으로 설정 변경할 수 있음 좋을거 같은데 중국에서 만든거라 바라지도 않아요.
    우선 표준에 헹굼추가로 변경해서 돌려봐야겠어요.
    이거 고장나면 다른 회사거 사기로 하구요.

  • 22. 바로 위에
    '24.2.5 4:12 PM (180.227.xxx.173)

    엘지거도 똑같이 1Kw라고 써주셨네요..
    기본 30Kw에 누진구간 걸려 넘어가서 요금이 많이 나오나봅니다. 그러려니 해야겠네요.

  • 23. ……
    '24.2.5 4:17 PM (175.204.xxx.215)

    회당 1kw 정도 쓰는 거 맞을 거에요. 엘지 식세기에도 전기사용량 시간당 1kw 라고 표기되어있고.. 하루 한 번이면 한 달 30kw 이고 누진제 적용 안힌 전기요금으로는 8,000원 미만인데.. 집집마다 누진제 적용구간에 따라 몇 만원 차이가 될 수도 있겠죠.
    빨래 건조기는 식세기의 1.5배 정도고 전기소모하고 돌아가는 시간도 더 길어서 매일 사용한다면 식세기의 2배 또는 그 이상 소비할거에요.
    저희 집은 이것들 다 사용해도 2만원 좀 넘는 2인 가구라서 거뜬합니다만, 건조기는 항상 건조정도 약 으로 돌리고 식기세척기는 헹굼 끝나고 건조 넘어가면 끄고 문 열어두어서 습기 날아가게 해요.

  • 24. 저도
    '24.2.5 4:18 PM (121.165.xxx.26)

    누진 구간에 걸려서 16만원 더 나온적 있어요
    그 뒤로 식세기는 최대한 안 쓰고 있어요

  • 25. ....
    '24.2.5 4:20 PM (116.41.xxx.107)

    하루 한번씩 돌리면 한달에 30kw잖아요.
    보통 300kw 쓰면 46000원 정도인데
    330쓰면 55000원 정도.
    즉 만원도 안 되죠.
    식세기 써서 2-3만원 오르려면
    평소 전기를 얼마를 써야 하나요?
    그리고 저는 2-3만원 올라도 식세기 씁니다.

  • 26. 어머
    '24.2.5 4:20 PM (218.147.xxx.180)

    저희집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데 ;;; 식세기가 원인이였으려나요?
    모드 바꿔서 해봐야겠네요. 습관적으로 쓰는 전기매트 때문인가 했는데

  • 27. 바람소리2
    '24.2.5 4:32 PM (114.204.xxx.203)

    만원 안되던대요 하루 1ㅡ2회

  • 28. 저의 경우..
    '24.2.5 4:48 PM (219.255.xxx.39) - 삭제된댓글

    커피머신,식세기,카피포트,렌지,전기오븐 등 전열기를
    골고루 안쓰고 하나 꺼내면 줄기장창 쓰거든요.
    그럴때마다 1가전당 1만원 전기료가 더 나와요.

    가령 이번달에 커피머신을 샤로들여 그기에 꽂혀 하루 몇잔 마셔댔다?
    담달 +1만원..
    놀래서 원두도 떨어지고 걍 카누먹기로 하고
    설거지 귀찮아서 식세기 열심히 돌리니 역시나 +1만원~

    설거지도 열심히 해봤고 커피도 지겨우면 제자리평소요금...

    저희집은 어김없이 빼박~

  • 29. ㅇㅂㅇ
    '24.2.5 5:20 PM (182.215.xxx.32)

    평소 400넘는 집에서는 크죠

  • 30. 저기요
    '24.2.5 5:22 PM (213.89.xxx.75)

    이틀에 한 번 돌리는데요. 전기료 그닥 이에요.
    모든 전기제품은 전기차단 콘센트에 꽂아놓고 안쓸때는 꺼놓고요.
    혹시 컴퓨터 뭐 쓰나요? 노트북으로만 사용해요. 일반 컴퓨터가 전기먹는 하마라고 알고있어요.
    세탁기 전기밥솥 건조기 티비 이것들 지금 어떤 상태 인가요?
    전기차단 콘센트에 연결해서 차단해놓고 있는지요.
    대기전력 소모량이 어마어마 하더라고요. 85인치 티비 안보는데도 전기코드 꼭지 잡아보니까 뜨끈뜨끈해서 무서워서 안볼땐 손으로 잡아빼놓고 있어요.

  • 31. 저기요
    '24.2.5 5:23 PM (213.89.xxx.75) - 삭제된댓글

    전기 거의 안먹는다는 스탠드김냉 제일 작은 사이즈 300리터짜리도 집에 들여놓았더니만 5천원이 더 나오더이다. 한 달 5천원이요.

  • 32.
    '24.2.5 5:43 PM (39.122.xxx.188) - 삭제된댓글

    그렇게 나와도 전 그냥 쓸 것 같아요.
    돌려놓고 다른 일 하기도 좋고 전 신세계라
    그리고 전자제품이 전기료가 더 안 나올 순 없죠. 전기료로 비교는 해보시되 저라면 다른 걸 아낄 것 같아요.

  • 33. 럭키
    '24.2.5 6:42 PM (58.123.xxx.185)

    엘지 12인용 쓰는데, 일주일에 5번정도 사용하고 전기세 4만원전후로 나와요.
    강력으로는 사용안하고, 55분짜리 세척만되는걸로 돌려서 문 열어놓고 말리면 전기 사용량 크지 않은것 같아요

  • 34. ,,,
    '24.2.5 10:10 PM (116.44.xxx.201)

    가족이 쓴 그릇이 더러운 것도 아니고 굳이 강력코스 할 필요 없어서
    저는 일반코스도 아닌 스피드코스만 거의 쓰는데 전혀 지장없어요
    대신 애벌을 성의껏 해서 기계에 넣어요

  • 35. 대신
    '24.3.3 7:40 PM (180.64.xxx.133)

    물이아껴질거에요,
    팔목도 아끼고, 허리도 아끼고,
    시간도 아끼고,
    훨씬 훨씬 좋아요.
    최대로 쓰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2148 의료시스템 최고 선진국인데 왜 이런 걱정을 해야 하는건가요? 7 .. 2024/02/07 923
1552147 550월급에 200만원 저축 괜찮은가요 14 외벌이 2024/02/07 4,688
1552146 후라이팬 살때 28사이즈는 4 2024/02/07 1,811
1552145 단무지가 얼어왔어요 2 2024/02/07 994
1552144 실비 과잉진료는 정형외과가 제일 심한듯 해요 18 2024/02/07 2,902
1552143 하루에 1억을 줘도 노인돌보미는 못할꺼 같아요 31 ㅎㅈㅂ 2024/02/07 7,167
1552142 식탁에 고기 식지않게 미니화로 추천해주세요. 3 미니화로 2024/02/07 1,419
1552141 CMA 좀 아시는 분? RP형 CMA도 안전한가요? 3 .. 2024/02/07 943
1552140 식사대접하면 지적질 하는 시모 6 ..... 2024/02/07 3,613
1552139 김혜경이 뻔뻔하긴 하네요. 60 ㅇㅇ 2024/02/07 5,118
1552138 사업으로 명절에 바쁜 며느리 음식준비 6 설명절 2024/02/07 2,512
1552137 설연휴 서울에서 보내시는분들 뭐하시나요?? 0000 2024/02/07 404
1552136 5일간 놀아요 6 ㅇㅇ 2024/02/07 1,633
1552135 제일 못생긴 사람 카드로 계산해주세요 7 ㅇㅇ 2024/02/07 3,394
1552134 지퍼없는 등받이 쿠션 어떻게 할까요 1 ** 2024/02/07 514
1552133 ”너무“ 쓸 자리에 “노무”라고 쓰는 사람 13 궁금 2024/02/07 2,113
1552132 부산에서 분당서울대병원 가려면 ktx?srt?뭐 타야 되나요? 5 ㅇㅇ 2024/02/07 1,447
1552131 양가 부모님 안계시면 명절이 편한가요? 22 ㅇㅇ 2024/02/07 4,566
1552130 팔십 넘어서 병원에 입원하거나 요양원에 들어가면 안락사 가능한 .. 5 노인문제 2024/02/07 2,514
1552129 귀 뒤쪽 림프절염 통증 극심해서요 2 ㅇㅇ 2024/02/07 1,434
1552128 18세 독일유학시절 손흥민 영상 2 ,,, 2024/02/07 1,611
1552127 가장 재미있던 딴나라 축구경기는 카타르 결승전 2 ㅇㅇ 2024/02/07 1,246
1552126 김민재 윤후 닮았어요 ㅋㅋ 4 뿌뿌야 2024/02/07 1,055
1552125 세작 보시는분 5 보는중 2024/02/07 1,635
1552124 실비 추천 받아유 1 @@ 2024/02/07 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