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97년에 백화점에서 산 키친에이드 냉장고 새 것으로 바꿀까요?

지혜로운의견 조회수 : 3,003
작성일 : 2024-02-04 10:12:04

결혼할 때 새로 물건을 들이지 않고 서로 자취하던 살림을 합쳤어요.

그래서 불편하긴 했지만 아주 작은 소형냉장고 두 개로 살았죠. 

그러던중 97년도에 남편이 처음으로 월급을 많이 받아와서 당시 최고급이라는 키친에이드 냉장고를 백화점에서 샀고 지금까지 고장이나 불만없이 썼어요.

냉동실 냄새도 거의 없고 전기요금도 1등급이고 내부 조금 부서진 서랍은 대충 고쳐서 쓰니 별 불편이 없더라고요. 

4년전에 지금의 새 아파트로 넓혀오면서 다들 새 냉장고를 빌트인으로 해넣는데 그렇게 할까 했더니 남편이 냉장고가 고장도 안났고 고맙게 써온 걸 어떻게 그냥 버리느냐고 열심히 새 것처럼 닦아놓더니 그냥 쓰자고 해서 그렇게 했지요. 다들 새 집에는 새 것으로 들이지 그러느냐고 해도 그러려니, 환경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고 냉장고 기능도 좋으니 됐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어젯밤부터 갑자기 냉장고 소음이 커졌어요. 이리저리 알아보니 결론은 출장비까지 30만원 들이면 고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사실 요즘 일이 너무 많아서 바쁜데 꼭 이럴 때 일이 생기니 새 것으로 바꾸려면 알아볼 게 너무 많고 어찌해야 현명한 선택일지 고민입니다.

요즘은 후회없는 현명한 선택을 하자면 왜그리 알아볼 게 많은지 진짜 물건 사기가 겁나는 세상이잖아요.

얼마 있으면 AI 기능이 추가된 최신의 냉장고가 나온다는 말도 있고요.

기후위기 생각하면 최후까지 고쳐 쓰는 게 맞긴 하겠죠. 냉장고는 단순한 기능이라서 이번에 고치면 문제 없을 것 같기는 해요. 환경문제도 제 관심분야라서 정말 고민입니다.

냉장고 한번 사면 이젠 죽을 때까지 쓸 것 같은데 대체 어찌해야 좋을지 지혜로운 의견들 부탁드립니다.

요즘 냉장고들은 냉동실 음식에서 냉동실 냄새 난다는 얘기도 있던데 사실 지금 쓰는 냉장고는 그런 느낌 거의 없었거든요. 이 부분도 걱정입니다.

현명한 선택이 될 새 냉장고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새로 산다면 빌트인으로 하려고요.

IP : 1.234.xxx.98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퓨
    '24.2.4 10:14 AM (58.123.xxx.102)

    소음이 커진거지 고장 난 게 아니니까 일단은 냉장고 음식 다 드시고.. 고장나면 바꾸세요.

  • 2. Pp
    '24.2.4 10:16 AM (122.36.xxx.47)

    새거로 사세요. 냉장고도 가전입니다. 기술력이 좋아졌으니, 너무 오래된걸 오래쓰는 미덕보다는, 기술발달의 편의를 선택하세요.

  • 3. Pp
    '24.2.4 10:16 AM (122.36.xxx.47)

    중고차와 견주어 생각해보시면 바꾸겠다는 결심이 쉬워집니다.

  • 4. 바람소리2
    '24.2.4 10:19 AM (114.204.xxx.203)

    바꿔요 고장난 뒤엔 더 골치아파요

  • 5. 이제 그만
    '24.2.4 10:22 AM (180.80.xxx.68)

    27년이면 독립시켜야쥬~

  • 6. WWW
    '24.2.4 10:23 AM (221.140.xxx.80)

    와~~저랑 같은분 계시네요
    전 96년 결혼때 구입한 키친에이드 냉장고 아직도 사용해요
    고장 안나서 계속 사용중인데
    저도 매년 고민해요
    새로 사나해서요?

  • 7. WWW
    '24.2.4 10:24 AM (221.140.xxx.80)

    살때 대를 물려주는 냉장고라해서 그런지 고장도 없고
    냉장고안에 전등도 교체 안하고 그대로
    교체는 아깝고
    갈등중

  • 8. ㅇㅇ
    '24.2.4 10:26 AM (210.178.xxx.120)

    97년생을 24년까지 쓰셨으면 27년인데 천수를 누렸다고 봅니다.
    냉장고다른 가전과 달라서 1년 365일 가동하는게 디폴트인데 잠시라도 멈추면 데미지가 엄청나요. 세탁기가 고장나면 며칠 빨래를 안하거나 빨래방이라는 대안이 있지만 냉장고가 멈추면 식자재가 그대로 쓰레기가 됩니다.
    그리고 냉장고는 오늘 사서 오늘 설치가 어려워요. 배송까지 최소 2일은 걸리죠.

    저는 몇번 전조증상이 있었는데도 절약이라는 숭고한 생각으로 버티다가 한여름에 냉장고가 퍼져서 모든 식자재를 버렸던 경험이 있어요. 냉동실에 고기 생선 등등 대충만 따져도 백만원은 훌쩍 넘겠더라궁. 그 냉장고도 19년차였어요.

    그정도 쓰셨으면 환경에대해 할만큼 하신거니 편안한 마음으로 보내주세요.

    그리고 요즘 냉장고 따질거 많다고 생각하시는데 별거 없어요. 도어 2개냐 4개냐, 상냉장하냉동쓸거냐 정도만 결정(도어만 결정)하면 나머지는 가용할수 있는 금액대에 걸리는거 사면 됩니다. 삼성 좋아하시면 삼성 사시고, 엘지 좋아하시면 엘지 사세요. 삼성 엘지중에 뭐가 좋아요? 묻는건 아들이 좋아요 딸이 좋아요 수준의 질문이라 그냥 원글님 맘대로 사면 되요.

  • 9. 1등급
    '24.2.4 10:31 AM (106.101.xxx.156)

    그 당시 1등급 제품은
    현재 3.4등급 제품이에요.

    저도 2000년에 산 디오스 양문형 잘 썼는데
    자꾸 바닥에 물이 흘러서 몇번 AS 받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온 집안에 타는 냄새가 나서 주방에 가보니
    세상에나 불이 났는지 연기가 스멀스멀...
    아무도 없었으면 번져서 큰 불 났을 거에요ㅜㅜ

    그래서 용량 왕창 큰 4도어 새 냉장고 샀는데
    전기요금이 확 줄었어요.
    예전 제품은 1등급 기준이
    요즘 3등급 보다 못한 기준이라고 하더라구요.

    고치는 것 보다 새거 사세요.
    저처럼 불 날수도 있어요ㅜㅜ

  • 10. 지혜로운의견
    '24.2.4 10:35 AM (1.234.xxx.98)

    지금 검색하며 보니 전기사용 면에서 월 29킬로와트시 정도 나아질 것 같아서 환경문제는 다소 마음을 놓고 바꿀 수 있겠어요.
    지혜로운 의견들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위의 저와 비슷하신 분들 반갑네요.
    저 롯데백화점에서 샀었어요.
    전자렌지는 심지어 중고로 94년에 산 탱크 2년전까지 썼어요.
    고장이 안나고 기능도 그대로라서 매일 사용했는데도 참 오래 썼지요.

  • 11. 27년이면
    '24.2.4 10:40 AM (123.199.xxx.114)

    플라스틱도 삭아요.
    바꾸세요 흡입하지 마시구

  • 12. 지혜로운의견
    '24.2.4 10:45 AM (1.234.xxx.98)

    텔레비전은 50인치 10년쯤 썼는데 음향을 보스로 보충하면서 계속 쓰고 있어요.
    계속 바꾸고 싶은데 알아볼 게 너무 많아서 계속 알아보다 말고 알아보다 말고 세월만 가네요.
    집전화 KT 80년대 중반에 보증금 내고 받은 거 아직까지 쓰고 있는데 며칠 뒤에 SK로 바꾸고 보증금 돌려받을 생각이예요.

    요즘은 누군가가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놓은 최신의 물건들을 활용하며 살아보는 것도 촣겠다 싶기도 해서 아이패드도 알아보고 있어요.
    환경공부하다가 그레타툰베리가 테슬라 탄다기에 테슬라 알아보다가 지난해말 자동차도 36만킬로 탄 경유차에서 테슬라로 바꿨더니 백만프로 만족되더라고요.
    스티브잡스 읽고 아이패드, 아이폰에도 관심갔는데 핸드폰은 바꾸면 불편한 게 많을 것 같아서 계속 고민중인데 그냥 아이패드만이라도 경험해 볼까 싶어서 탐색중이었네요.

    다시한번 지혜로운 의견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13. ^^ 김치 넘좋아
    '24.2.4 11:27 AM (223.39.xxx.136) - 삭제된댓글

    가전~참고로 도움될 글 많아좋네오

  • 14. ^^ 김치 넘좋아
    '24.2.4 11:31 AM (223.39.xxx.136)

    ᆢ가전 참고할 글 인듯 ᆢ좋네요

    원글님 어떤모델 선택할지 궁금해요
    가전 1번 사면 진짜 오래 잘써야하는거라서요

  • 15. 냉장고
    '24.2.4 11:40 AM (61.100.xxx.112)

    저였다면 3번은 바꿨을거예요
    원글님 알뜰하세요
    일단 소음이 들리고
    그게 거슬리면 힘들거예요

  • 16. 으아
    '24.2.4 12:13 PM (61.76.xxx.186)

    97년 스무살이 현재 마흔 중반 아줌마.
    저입니다 ㅎㅎ
    냉장고 오래되면 전기효율이 떨어져서..

  • 17. 지혜로운의견
    '24.2.4 9:25 PM (1.234.xxx.98)

    지금까지 검색한 결과 합리적인 유튜브 발견했네요.
    참고용으로 공유합니다.
    https://youtu.be/PaCky31EHRE?si=QDGlY8nITqHAKkZh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1806 박지윤 최동석네는 28 ㅇㅇ 2024/02/06 28,424
1551805 항공대 항공운항학과 vs 숭실대 글로벌미디어 19 답답 2024/02/06 3,243
1551804 승무원 오래하셨다는데 18 전직 2024/02/06 7,429
1551803 듀오링고와 당뇨글 감사~ 8 듀오링고 2024/02/06 2,430
1551802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잘 기억하세요 5 노인 2024/02/06 3,160
1551801 보내고싶은 대학 예비떴는데 9 .. 2024/02/06 2,326
1551800 주방용품 좋은 거 자꾸 탐나네요 9 냄비 2024/02/06 3,016
1551799 행운 대박터트리기 17 문제시 삭제.. 2024/02/06 3,285
1551798 내 남편과 결혼.. 10 2024/02/06 5,458
1551797 목에 이물감..ㅠㅠ 9 2024/02/06 2,312
1551796 손흥민이 미남인가요? (팬들은 스킵하세요) 63 ㅇㅇ 2024/02/06 4,000
1551795 자사특목고 상위권 학생들은 폰 많이 안하죠? 10 ㅁㄴㅇ 2024/02/06 1,465
1551794 축구때문에 멕시칸 요리 미리 배달 시켰네요. 3 대한민국 2024/02/06 1,605
1551793 70세 어머니 기운없을때 홍삼정 괜찮나요? 7 모모 2024/02/06 1,531
1551792 80대 어머니 모시느라 한달에 500만원 들어간다는 분도 알아.. 71 ㅇㅇ 2024/02/06 21,702
1551791 이 아저씨는 진짜 망했네요 103 ㅇㅇ 2024/02/06 37,808
1551790 항생제 꼭 다먹어야 하나요? 6 .. 2024/02/06 2,314
1551789 1만원 선물 뭐가 좋을까요? 17 ... 2024/02/06 2,173
1551788 의대정원 대부분 지역인재라는 건 문제가 있네요. 23 2024/02/06 3,333
1551787 수육 돼지고기 끓은 물에 넣는건가요? 7 ㅇㅇ 2024/02/06 2,751
1551786 간만에 상가집갔다가 6년만에 아는 선배를 만났는데 7 네컷 2024/02/06 3,751
1551785 [내남편]에서 이이경 나올때만 재밌네요 18 -- 2024/02/06 4,106
1551784 갈비찜은 다음날 먹어야 되죠? 7 2024/02/06 1,721
1551783 친정엄마께서 시어머니에 설선물로 홍삼 드린다는데 5 2024/02/06 1,800
1551782 화알못은 쿠션이 조아요 5 2024/02/06 1,894